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拾玖年己亥 十一月 二十五日 婿 喪人 程 處 明文右明文事段 衿得 累年耕食是如多可移買次 昌平長北面 介甫坪伏在 臣字畓二斗落只 二夜味 卜負 四負九束廤乙價折錢文肆拾肆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一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紛紜之弊 則持此文記 告官憑考事畓主 氷丈 幼學 李允憲 [署押]證保 幼學 金日甫 [署押]筆執 幼學 李啓文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5년 한달효(韓達孝)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澤 韓達孝 韓澤[着名]韓元桂[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5년(철종 6) 2월 9일에 학실의 한택이 5촌숙 한달효에게 밭 1두락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55년(철종 6) 2월 9일에 한택(韓澤)이 한달효(韓達孝)에게 밭 1두락을 방매하며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자를 '학실(學室) 유학(幼學) 한택'이라고 적었으나, 학실 소유의 토지를 방매한 것인지 분명하게 쓰여 있지는 않다. 매매한 토지는 오지방(吾枝坊) 초가동(初佳洞) 여자원(女字員) 소재 밭 1두락지이고 값은 전문 3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六年乙卯 二月 初九日 五寸叔幼學 韓達孝前 明文右明文事段 要用所致 伏在吾枝坊初佳洞太種田 女字員第卜數 四負九束 一斗落㐣價折錢文參兩 依數交易捧上爲遣 家垈麻田四斗落代 分等代納次 右前 永永放賣而本文記一丈並以 出給爲去乎 日後如有異說 持此文卞正事田主 學室 幼學 韓澤 [署押]證筆 族侄 幼學 韓元桂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幼學李洙龍原情 本回白等伏以矣身卽有痛冤之事 冒死鳴金於法駕之前是白齊 矣身先山在於本邑北面基洞 而當初山地左右局內買得於金相壽之宗孫處 而其時文券與手蹟昭然尙在 于玆守護八十餘年矣 初買之時四山盡是童濯矣 矣身之守護以來 松楸長養鬱密連抱 而徃在庚寅年分 矣身之祖父 且繼葬於其五代祖母堦下 則非徒近百年守護之地也况又繼葬之先壠乎 其間歲月浸久 存亡尙爾 金之初賣之本孫 已爲身死 彼之墳墓 至於荒蕪也 而矣身憐其同山之誼 不忍見其榛莾 亦爲年年伐草者 此是一鄕所共稱誦矣 不意今者 龍潭居金箕聲任實居金相壽等 猜慾松楸長養 假託渠之先山 誣呈營邑 欲爲勒奪 世豈有如許不測之人心乎 若爲渠之先山 則地不過三四十里許也 年近于八九十年之間 都無一言 亦無一省矣 至今擧此生臆之事 豈非萠慾於松楸 欲爲抑奪橫財之計乎 伏乞天地父母 俯垂 鑑諒 亟令該曺 發關本道 非理健訟之金相壽金箕聲兩漢 嚴刑遠配 以杜後弊之地 千萬伏祝敎事甲午三月 日(題辭)令本道 詳査禁斷何如卄六日本回[刑曺之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2년 배종주(裵宗胄)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裵振默 裵宗胄 裵振默 3顆(원형), □…□(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2년 배진묵(裵振黙)이 배종주(裵宗胄)에게 발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가격: 130円 참여자: 매도인(賣渡人) 배진묵(裵振黙), 매수인(買受人) 배종주(裵宗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1년 배진만(裵鎭萬) 임야 소유권 이전(林野所有權移轉)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裵鎭萬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2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1년에 배진만(裵鎭萬)이 임야 소유권 이전 등기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등기대상: 1961년 3월 2일에 매매한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38번지 임야 8무보 1971년 7월 29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3년 이규호(李奎鎬)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鐘浩 李奎鎬 李鐘浩(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 1월 28일에 이종호(李鐘浩)가 이규호(李奎鎬)에게 발급한 영수증 이규호가 태전(太田) 가격 25円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백문오(白文五)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白文五 應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년 1월 4일에 백문오가 응춘 형에게 새해인사와 더불어 표피의 판매 시기와 곡물의 매매 관련하여 상의하는 간찰 계○년 1월 4일에 백문오(白文五)가 응춘(應春) 형에게 보낸 간찰이다. 지난번에 바삐 작별했다가 어느덧 새해가 되었는데 춘부장과 작은아버지 및 식구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나이만 한 살 더했다는 인사를 하였다. 표피(豹皮)는 본가(本價) 대로 팔만한 곳이 있으니 우선 그대로 두었다가 늦은 봄 들어설 무렵에 값을 상의할 것이니 헤아려달라고 하였고, 맡겨둔 약간의 곡물은 사극(士極)에게 상의해서 양목(良木) 사람에게 팔고 혹 그렇지 않으면 모조(某条)로 처리해서 작전(作錢)할 터이니 기다려 줄 것을 당부하였다. 그리고 지난번에 올 때 중간에 새 달력 하나를 얻었는데 이를 춘부장 어른께 드린다고 하였고, 조만간 직접 뵙겠다는 말로 마무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3년 이달호(李達鎬)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93.12.10.] 李達鎬 漢城府 堂上官 官[着押] 3顆(8.8×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48_001 1893년(고종30) 12월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이달호가 선산을 수호하기 위해 한성부 당상에게 올린 상서. 1893년(고종30) 12월에 전라도 남원부에 사는 이달호(李達鎬)가 경조당상(京兆堂上)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이달호는 용담에 사는 종손 김(金)가에게서 산을 매득하고 80여 년 동안 소나무를 기르고 산을 울창하게 만드는 등 관리를 하던 중 김가 후손의 음흉한 계략으로 감영에 정소까지 하며 자신의 선산을 빼앗으려는 일을 고하며 해도의 순영에 관(關)을 내려 김가를 잡아들이고 멀리 유배를 보내고 자신이 선산을 빼앗기지 않게 해 달라고 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한성부에서는 '소장에서 청한 대로 해당 도(道; 전라도)에 관문(關文)을 보내라'고 초10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인년 김영채(金泳蔡)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泳蔡 茂長縣監 官[着押] 3顆(7.0×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59_001 경인년 11월에 무장현 장자산면 회룡에 사는 김영채가 호역의 면제를 청하기 위해 무장현감에게 올린 소지. 경인년 11월에 무장현(茂長縣) 장자산면(莊子山面) 회룡(會龍)에 사는 김영채(金泳蔡)가 무장현감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김영채는 자신이 훈신(勳臣)의 후예로 멀리 지방에서 살다가 정해년(丁亥年)에 특례로 은전을 입어 연호잡역(烟戶雜役)을 면제 받았는데 갑자기 호역(戶役)이 다시 부과 되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연호잡역을 면제 받을 때 받은 병조의 완문(完文) 등을 함께 올리니 살피신 후 본면(장자산면) 향약소에 명하여 호역을 전대로 면제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무장현감은 '이미 전례가 있으니 상세히 조사하여 감해주고 다시 번거롭게 하는 일이 없게 하라'고 13일 집강(執綱)에게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莊子山面 會龍 金泳蔡 單子恐鑑伏以 崇德報功 有國之盛典也 蠲减徭役 鄕邦之矜式也 民以勳臣之裔 流落遐鄕 忽於丁亥年分 自 朝家特有拔例 蒙受 恩典 而烟戶雜役 一倂頉下事 兵曺完文 與前等 城主題飭昭然 有考例蒙蠲减矣 今忽戶役更侵者 豈曰 法綱之正式乎 前後文蹟帖連仰稟爲白去乎 細細垂察 特下題飭于本面鄕約所 戶役依前例蒙頉 使此遐方知有 國典之盛 鄕綱之正 無任祈恳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 庚寅十二月 日官[署押](題辭)已有前題 詳査减給 無至更煩向事十三日執綱[官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53년 조후천(曹後天) 백패(白牌) 고문서-교령류-백패 英祖 曹後天 科擧之寶(9.5×3.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53년(영조29)에 유학 조후천이 소과에 진사로 입격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해 예조에서 담당하여 발급한 백패. 1753년(영조29)에 유학(幼學) 조후천(曹後天)이 소과(小科)의 진사(進士) 부문 3등 제2인으로 입격한 사실을 증명해 주는 백패이다. 백패는 예조에서 담당하여 교지(敎旨)의 형식으로 작성하며, 인장으로 과거지보(科擧之寶)를 찍는다. 조후천(1701~?)의 본관은 창녕, 자는 자윤(子允), 당시 거주지는 고부(古阜)로 아버지는 학생(學生) 조위한(曺緯漢)이다. 『숭정3계유식년사마방목(崇禎三癸酉式年司馬榜目)』에 과거합격사실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유년 손선남(孫善南)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孫善南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에 손선남(孫善南)이 상대방이 보내준 책자를 읽은 감회를 표하고 다시 책자를 인편을 통해 돌려주면서 쓴 간찰 정유년 1월 6일에 손선남(孫善南)이 보낸 간찰이다. 만남이 있은 이후 어느덧 해가 바뀌어 새해가 되었는데 상대가 편안한지 안부를 묻고 몹시 그립다고 인사하였다. 상대방이 보내준 책자를 잘 받아 열람하니 자신의 더러움을 씻어낸 듯했다고 하고 상대방의 정밀한 안목을 칭찬하였다. 이후 돌려주는 일을 지체하다가 인편이 돌아가는 길에 보냈으니 잘 받아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훗날 직접 만나서 회포를 나누자고 기약하면서 편지를 끝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산야약도(山野略圖) 3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72_001 배규표(裵奎表)가 묘소(墓所) 증빙을 위해 작성한 산야약도(山野略圖) 전라남도 능주군 대곡면 대곡리(全羅南道 綾州郡 大谷面 大谷里) 후록(後麓)을 그린 것 면적(面積): 貳反八畝二十一步 소유자(所有者): 배규표(裵奎表) 주소(住所): 능주군 대곡면 내 대곡리(綾州郡 大谷面 內 大谷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산야약도(山野略圖) 4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72_001 배규표(裵奎表)가 묘소(墓所) 증빙을 위해 작성한 산야약도(山野略圖) 전라남도 능주군 호암면 운주동(全羅南道 綾州郡 虎巖面 雲柱洞) 산(山)을 그린 것 면적(面積): 貳町九反三畝十四步 소유자(所有者): 배규표(裵奎表) 주소(住所): 능주군 대곡면 내 대곡리(綾州郡 大谷面 內 大谷里)배규표(裵奎表)가 묘소(墓所) 증빙을 위해 작성한 산야약도(山野略圖) 전라남도 능주군 대곡면 대곡리(全羅南道 綾州郡 大谷面 大谷里) 후록(後麓)을 그린 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유도식(柳道寔)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柳道寔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모년 모월 25일에 유도식이 덕성의 바깥사돈에게 안부 인사와 사문의 주자서절요 간행 소식 등을 전한 간찰 25일에 사제(査弟) 유도식(柳道寔)이 덕성(德城)의 바깥사돈에게 안부와 사문(斯文)의 소식 등을 전한 간찰이다. 겨울이 절반이 지나 날씨가 조금 따뜻해지는 계절에 사돈과 아드님과 큰댁의 여러 식구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별다른 일 없이 지내고 각 집안도 그럭저럭 지내고 있어 다행이고 당저(棠底)의 길례(吉禮)를 이미 치렀는데 신랑과 신부가 아주 칭찬할만해서 이 일이 근래의 즐거운 일이라고 소식을 전하였다. 사문(斯文)들이 근래 안동부에서 발의하여 퇴계선생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간행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자신 집안의 보첩(譜牒)을 찾아 보내겠다는 약속을 했는데 아이들이 일에 바쁘다보니 지금까지 늦어지게 된 것에 대해 죄송하다는 것과 날이 따뜻해지면 한번 방문해주셔서 회포를 털어놓을 수 있기를 바란다는 말로 마무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인(門人)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문인(門人) 명단(名單)을 적은 기록 이주혁(李周爀), 이지혁(李之爀)의 字, 號, 본관, 주소를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사주 기록(四柱記錄) 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사주 기록(四柱記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5년 이흥림(李興林)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海南鄕校 李興林 □…□ 1顆(6.0x5.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 7월 15일에 해남향교에서 유학 이흥림을 삼상원(三相院) 추향헌관(秋享獻官)에 선정하는 망기 1925년 7월 15일에 해남향교에서 유학 이흥림(1857~?)을 삼상원(三相院) 추향헌관(秋享獻官)에 선정하는 망기이다. 이흥림은 이동흠(李東欽, 1829~?)의 손자로 해남현 마포면 냉천동에 거주해 왔다. 삼상원은 세 명의 재상(宰相)을 모시는 공간으로 보이나 정확하지 않다. 망기는 해당 직임에 합당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선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이다. 일반적으로 3명의 후보자를 적었으나[三望] 1명만을 적는 경우도 빈번하였다[單望]. 후보자를 적어 올리면 임명자가 이를 확인한 뒤 적합한 후보자의 이름 위아래에 낙점(落點)하고 인장을 찍어 선정하였는데, 이 문서의 경우 후보자가 1명이므로 따로 낙점하지 않았다. 망기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용어로는 망단자(望單子)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幼學曹後天進士三等第二人入格者乾隆十八年▣月初四日[科擧之寶] 1箇(背面)籤紙: 幼學曹後天進士三等題二人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