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술년 마포장리(馬浦將吏) 강(姜) 사통(私通)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姜 馬浦將吏 姜<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2월 20일, 마포의 장리 강씨가 보낸 사통. 병술년 2월 20일, 마포장리(馬浦將吏) 강씨(姜氏)가 작성한 사통(私通)이다. 냉천(冷川)의 창문(昌順) 이름자로 받는 세미(稅米) 2두(斗)를 대신하여 그 집에서 황조(黃租) 5두로 받아 그 마을 호수(戶首)가 가지고 있으니 오늘 안으로 도정해서 창고에 납품하라는 내용이다. 문서 수신자는 창고의 색리(色吏)이거나 혹은 쌀을 거두어 놓은 마을의 이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서의 형식이 일반 통문과 달리 간단한 점으로 미루어 이서(吏胥) 간에 서로 주고 받은 통문인 사통(私通)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전주이씨 대문중 묘동(卯洞) 재실(齋室) 통문(通文) 초(草)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卯洞 齋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02_001 전주이씨 대문중인 묘동 재실에서 묘실 정비의 진행 상황을 알리고 배분한 파전을 속히 거두어 보내줄 것을 청한 내용의 통문 초안. 전주이씨 대문중인 묘동(卯洞) 재실에서 묘실 정비의 진행 상황을 알리고 배분한 파전(派錢)을 속히 거두어 보내줄 것을 청한 내용의 통문 초안이다. 산직실(山直室)을 중건하고, 향단(享壇)을 축성하고 신수문(神守門)을 새로 짓는 일에 대하여 이미 4개월이 넘었지만 아직 일이 완료되지 않았다며 가장 시급한 자금을 위하여 중의(衆議)에 따라 파전(派錢)을 분배하니 통문을 받는 대로 즉시 거두어 보내 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추기에는 각 파의 운역(運役) 상 도로 사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대신 돈으로 마련하고자 한다고 적었다. 발신일자와 발신자가 적혀 있지 않은 점, 글씨가 정돈되지 않고 수정할 부분에 줄을 그은 점 등을 통해 초본(草本) 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신 추감기(戊申秋監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 추감기(秋監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석소상문중 간평기(石所上門中看坪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석소상문중 간평기(石所上門中看坪記) 토지 위치 및 종류, 면적, 소출량 등 기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2년 이호(李虎) 등 변제증서(辨濟證書) 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任實金融組合 李虎 4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2년 5월 30일에 임실금융조합(任實金融組合)이 이호(李虎) 등 2명에게 발급한 변제증서(辨濟證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42년 이강휘(李岡輝) 토지분필등기신청(土地分筆登記申請) 2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岡輝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5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2년 12월에 신청자 이강휘(李岡輝)가 대리인(代理人) 삼본시일(三本矢一)로 하여금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분필 등기신청(土地分筆登記申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1년 최종업(崔鍾業) 등 매매계약증서(賣買契約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崔昌錫 崔鍾業 7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1년 12월 12일에 최창석(崔昌錫)이 최종업(崔鍾業) 등 2명에게 발급한 매매계약증서(賣買契約證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박찬규(朴燦珪)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1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朴燦珪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64_001 11월 28일에 작성한 박찬규(朴燦珪) 소유(所有)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성수면 삼봉리(聖壽面 三峰里) 72번지 등 7필지 지번, 지목, 면적, 가격 등의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신년 부춘사 유회소(富春祠儒會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富春祠儒會所 富春祠印(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에 부춘사(富春祠) 유회소(儒會所)에서 오는 26일에 백암(白巖) 손영렬(孫永烈)의 추배례(追配禮)를 거행하므로 참석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간찰 무신년 6월 15일에 부춘사(富春祠) 유회소(儒會所)에서 보낸 간찰이다. 이번 달 26일에 부춘사에서 백암(白巖) 손영렬(孫永烈)의 추배례(追配禮)가 거행되므로 특별히 참석해주기 바란다는 내용이다. 부춘사는 1927년에 건립되어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 둔재(遯齋) 문달환(文達煥), 화은(華隱) 양재해(梁在海), 백헌(栢軒) 이병섭(李秉燮), 신암(新巖) 박준계, 백암 손영렬을 향사하고 있는 곳이다. 1937년에 훼철되었다가 1945년에 복설되어 춘산사(春山祠)로 개칭된 곳으로, 전남 화순군 춘양면 부곡 마을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5년 정의림(鄭義林)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義林 金錫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28_001 1905년 5월 20일, 정의림이 어머니의 연제를 앞두고 있는 대곡 김석구에게 위문하고 자신이 참석하지 못하는 상황을 전한 서간. 1905년 5월 20일, 정의림(鄭義林, 1845~1910) 생(生)이 어머니 연제를 앞두고 있는 대곡(大谷)의 김석구(金錫龜)에게 보낸 위문편지이다. 어머니 상중인 상대에게 돌아가신 어머니의 연기(練期)가 돌아왔다며 아픔이 어떠한지 물었다. 자신은 이치상 달려 가봐야 하지만 궁재(窮齋)에 매여 있고, 질병이 이어져 발을 빼낼 수가 없다고 말하며 부끄럽다고 전했다. 연제(練祭)를 잘 지내기를 바란다고 말하며 아드님이 돌아간다고 하여 급히 위장을 쓴다고 했다. 연제는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 돌아가신 어머니의 돌아가신 날로부터 12달 만에 지내는 소상(小祥)을 한 달 앞당겨 11달 만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수신자 김석구(1835~1885)의 자는 경범(景範), 호는 대곡(大谷),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전라북도 세산(細山: 지금의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태어났다. 노백헌(老柏軒) 정재규(鄭載圭),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과 함께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노사학파의 3대 제자로 불렸다. 문집으로 『대곡선생문집(大谷先生文集)』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35년 이백운(李白雲)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李白雲 綾州牧使之印(7.0x7.0), 周挾字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35년 능주목에서 북면 화남리에 거주하는 이백운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이백운에게 발급한 준호구 1735년 능주목에서 북면 화남리에 거주하는 이백운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이백운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이백운은 71세이고 본관은 광산이며 직역은 업유(業儒)이다. 업유는 유학을 닦는 서자(庶子) 출신으로 손자나 증손 대에 가서야 유학(幼學)으로 불릴 수 있었다. 호주 이백운의 사조(四祖) 즉 부·조·증조·외조를 기재하고, 67세의 처(妻) 한소사(韓召史), 그리고 한소사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다. 노비는 여종 1구(口)가 있다. 이백운 65세 때의 준호구에는 자녀가 올라있지 않은데 이 준호구에는 사망한 8세의 딸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5년 김조이(金召史)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金召史 綾州牧使之印(7.0x7.1), 周挾字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70_001 1765년 능주목에서 북면 화남리에 거주하는 김소사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김소사에게 발급한 준호구 1765년 능주목에서 북면 화남리에 거주하는 김소사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김소사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이 준호구는 김소사가 56세 때의 것으로, 사조(四祖)와 자녀가 기재되어 있다. 김소사의 아버지는 한량(閑良) 막생, 조부는 양인(良人) 막쇠, 증조는 납속(納粟)을 통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른 진(眞), 외조는 업무(業武)인 최논세(崔論世)이다. 자녀는 셋으로, 금위영의 보인(保人)인 25세 작은아기[者斤惡只] 아들과 두 딸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나득검(羅得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得儉 □…□, 周挾無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6_001 1840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1840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관의 확인을 거친 뒤 돌려받은 호구 문서이다. 나득검의 거주지는 동복현 내서면 보암리이고 나이는 72세이다. 나득검은 이때 홀아비였기 때문에 앞에 환부(鰥夫)라고 표기하였고, 아들 원익(元翼)과 원경(元慶)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처(妻)가 사망하여 처의 사조(四祖)를 적지 않는 대신 아들 원익과 원경의 사항에 외조(外祖)가 기재되어 있다. 높이를 낮추어 천구질(賤口秩)을 기재하였는데, 소유 노비는 도망한 노비 1구(口)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나득검(羅得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得儉 周挾無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6_001 1843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1843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관의 확인을 거친 뒤 돌려받은 호구 문서이다. 나득검의 거주지는 동복현 내서면 보암리이고 나이는 75세이다. 나득검은 이때 홀아비였기 때문에 앞에 환부(鰥夫)라고 표기하였고, 아들 원익(元翼)과 원경(元慶) 그리고 손자인 수성(綏成)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처(妻)가 사망하여 처의 사조(四祖)를 적지 않는 대신 아들 원익과 원경의 외조(外祖)와 손자 수성의 외조가 기재되어 있다. 높이를 낮추어 천구질(賤口秩)을 기재하였는데, 도망한 노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전남대관(全南大觀) 수단(收單)과 관련된 빈 영수증 영수증(領收證) 2칸과 신입서(申込書)로 구분 수단금(收單金), 예약금(豫約金), 발급날짜, 수령자 주소와 성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전남대관(全南大觀) 수단(收單)과 관련된 빈 영수증 영수증(領收證) 3칸과 신입서(申込書)로 구분 수단금(收單金), 예약금(豫約金), 발급날짜, 수령자 주소와 성명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