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배석봉(裵錫奉)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完山泰峻 裵錫奉 □…□(3.5×3.5), 完山(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완산태준(完山泰峻)이 배석봉(裵錫奉)에게 작성해 준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和順郡 道谷面 大谷里) 152번지 畓 579坪 가격: 6200円 참여자: 매주(賣主) 완산태준(完山泰峻), 매수인(買受人) 배석봉(裵錫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1년 시장매매명문(柴場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金基哲 金基哲<着名>, 徐五賢 <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1년 10월 13일에 김기철이 발급한 시장매매명문 1841년 10월 13일에 김기철이 발급한 시장매매명문이다. 명문을 작성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옴천면(唵川面) 개산리(盖山里) 집터 뒤 산기슭에 있는 시장(柴場)을 전문 3냥으로 값을 쳐서 위 사람에게 영구히 방매하되, 기슭의 경계는 울타리 밖 초로(藮路)를 따라 장곡(長谷)까지로 하였다. 만약 뒷날 다른 말을 하거든 이 문서로 증빙하라는 내용이다.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명문에 기재된 매매 관련 사항은 명문의 작성일, 매수인의 신분과 성명,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 매매 이유, 매매목적물의 표시, 지불수단의 종류 및 액수, 본문기의 교부 여부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거래에 참여한 매도인, 매매 시 참여한 증인, 명문을 작성한 필집의 성명과 서명 등을 한다. 매매 계약이 성립한 후에는 새롭게 작성한 매매 명문인 신문기(新文記)와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가 적힌 구문기(舊文記)를 매수인에게 함께 양도해야 했다. 구문기로는 주로 분재기와 명문이 사용되었으며, 이들을 본문기(本文記)라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5년 이효영(李孝永) 등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李孝永 原州李氏門中圖印(흑색, 7.5×5.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02_001 1905년 11월 초6일, 전주이씨 문중의 집강 이효영 등 2인이 묘동 선산의 산지기 방을 중건하고자 문파의 배당액을 후록하여 보낸 통문. 1905년 11월 초6일, 전주이씨 문중의 집강(執綱) 이효영(李孝永) 등 2인이 묘동 선산의 산지기 방을 중건하고자 문파(門派)의 배당액을 후록하여 보낸 통문(通文)이다. 묘동(卯洞) 선산(先山)을 수호(守護)하는 산지기 방〔山直室〕이 무너져 중건(重建) 비용을 모으고자 하며, 각 문회(門會)에서 먼저 파전(派錢) 200냥을 모으기로 의논하였으니 올해 내로 돈을 모아서 보내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별지를 이용하여 점련해 놓은 후록지에는 묘동(卯洞), 산막(山幕), 맹진(孟津), 강진(康津) 각 파에 배당하는 금액(30냥~70냥)과 각 파의 돈을 모으는 유사(有司) 이름을 적어 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회계기(會計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회계기(會計記) 수입금액 및 수입처 등 기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회계기(會計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회계기(會計記) 지출금액 및 품목, 米의 수입처, 남은 수량 등을 기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15년 배승조(裵承祖), 배승조(裵承祖) 처(妻) 윤씨(尹氏) 묘적계(墓籍屆)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裵振黙 和順憲兵分隊長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5년 9월에 배진묵(裵振黙)이 화순헌병 분대장(和順憲兵分隊長)에게 신고한 묘적계(墓籍屆) 11世조(祖) 배승조(裵承祖)와 11世조모(祖母) 윤씨(尹氏)의 묘를 신고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3년 구교인(具敎仁)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具敎仁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3년(고종 30) 1월에 구교인을 조봉대부 호조좌랑에 제수하면서 발급한 고신 교지 1893년(고종 30) 1월에 구교인을 조봉대부 호조좌랑에 제수한 임명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회계기(會計記) 4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회계기(會計記) 지출액 및 지출내역 등 기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자년 김철흥(金喆興)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金喆興 綾州牧使之印(7.0x7.0),周挾□□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자년 김철흥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능주목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갑자년에 김철흥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능주목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호구문서이다. 능주목 회덕면 만년동에 거주하는 김철흥이 80세 때에 작성한 것으로, 자신의 사조(四祖)와 처(妻) 이씨의 사조, 아들 정필(珽弼)과 며느리 김씨, 그리고 소유 노비 1구(口)가 등재되어 있다. 호구단자는 국가에서 부세나 군역 등의 행정을 위한 기반자료로 삼기 위해 각 가호의 규모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호적대장에 반영하기 위한 문서인데 3년마다 식년(式年)에 작성되었으며, 일반적으로 2통을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구대장(舊臺帳)과 대조하여 확인한 뒤 1통은 제출자에게 돌려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구분하는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기재 방식이 열서(列書)인가 연서(連書)인가인데, 이 원칙이 18세기 이후에는 호주(戶主)가 호구단자 1통을 제출하여 그것을 대조 확인한 뒤에 지방관의 착압(着押)과 관인(官印)을 날인하여 되돌려주면 그 자체로 준호구의 기능을 겸하게 된다. 이 문서가 호구단자의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주묵(朱墨)으로 각 항목을 확인하였고, 오가작통(五家作統)의 흔적인 통호(統戶)가 기재되어 있으며, 관인(官印)과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날인되어 있기 때문에 준호구로 분류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무자년 김영규(金永奎)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金永奎 綾州牧使之印(7.0x7.0), 周挾字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자년 김영규가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능주목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무자년에 김영규가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능주목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호구문서이다. 능주목 회덕면 만년동에 거주하는 김영규가 38세 때에 작성한 것으로, 자신의 사조(四祖)와 어머니 김씨, 처(妻) 이씨의 사조, 그리고 소유 노비 1구(口)가 등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나득검(羅得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得儉 [同福縣監之印](6.5×6.5), 周挾無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6_001 1828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1828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관의 확인을 거친 뒤 돌려받은 호구 문서이다. 나득검의 거주지는 동복현 내서면 보암리이고 나이는 60세이다. 나득검은 이때 홀아비였기 때문에 앞에 환부(鰥夫)라고 표기하였고, 아들 정열(廷說)과 정윤(廷尹)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처(妻)가 사망하여 처의 사조(四祖)를 적지 않는 대신 아들 정열과 정윤의 사항에 외조(外祖)가 기재되어 있다. 높이를 낮추어 천구질(賤口秩)을 기재하였는데, 소유 노비는 도망한 노비 1구(口)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1년 박용승(朴龍昇) 고(考) 박문서(朴文瑞)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朴文瑞 施命之寶(10.0×10.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218_001 1871년(고종 8) 10월에 박문서에게 가선대부 한성부 좌윤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추증하면서 발급한 추증 교지 1871년(고종 8) 10월에 박문서를 가선대부 한성부 좌윤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으로 추증한 교지이다. 박문서가 경희장(慶熙將) 박용승(朴龍昇)의 부친이므로 법전의 규정에 따라 증직을 제수받은 것이다. 박용승의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가 함께 추증되어 모두 추증 교지를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의화영(義和永) 증서(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義和永 義和永 3顆(2.4×1.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4월 2일에 의화영(義和永)에서 물건을 팔고 대금을 받은 후에 작성해 준 물품 구입 명세 증서 1920년 4월 2일에 의화영(義和永)에서 물건을 팔고 대금을 받은 후에 작성해 준 증서(證書)이다. 첩계자(鉆系子), 백옥판지(白玉板紙), 고문지(古聞紙), 화권지(花卷紙) 등의 물품명과 수량, 금액을 적은 후 총합 27엔이라고 적었다. 의화영에서 찍은 도장 3개가 찍혀 있어 의화영에서 발급해 준 물품 구입 명세서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오년 김영철(金永喆)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金永喆 金永喆<着名> □…□ 3顆(2.3×2.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8월 12일에 김영철(金永喆)이 권씨 문중으로부터 돈을 받고 채무를 갚았음을 증명해 주기 위해 쓴 수표 갑오년 8월 12일에 김영철(金永喆)이 돈을 받고 채무를 갚았음을 증명하기 위해 작성해 준 수표(手標)이다. 문서의 상단이 결락되어 있어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으나 권씨(權氏) 문중의 채무에 관한 문제로 전문(錢文) 200냥을 받고 채무이행이 끝났음을 증명해 주기 위해 쓴 수표로 보인다. 자신이 돈을 받는 문제로 읍(邑)과 감영(監營)에 올려 받은 제지(題旨: 관의 처분) 5장도 함께 준다고 명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0년 정제현(鄭濟玄)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鄭濟玄 施命之寶(10.0×10.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270_001 1880년(고종17) 9월에 정제현(鄭濟玄)을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 1880년(고종17) 9월에 정제현(鄭濟玄)을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임명하는 4품 이상 고신이다. 정제현은 전년도에 절충장군(정3품 당상) 행용양위부호군 첩(帖)을 성급 받았으며 1880년에는 종2품 하(下)의 관계에 해당하는 본 임명을 수여 받았다. 가선대부는 조선시대 문·무관 종2품 하의 관계이며, 동지중추부사는 중추부에 소속된 종2품 관직이다. 동지사로 줄여 부르며 가설(加設)이 없는 경우 총 인원은 7명이다. 중추부는 조선시대 일정한 직무가 없는 당상관(堂上官)들을 우대하기 위해 설치된 관청이다. 고신에 인장을 찍는 법칙은 연호의 한 글자와 숫자를 겹치게 찍는 것인데 본 문서에는 연호 글자에 인장이 찍히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首再拜言先大人喪事 寔出於千萬夢外 患候雖云沈重 以尊哀之純孝 想期勿藥矣 蒼天不諒 遽至此承 訃之境耶 驚怛何已 伏不審此時體候想不無受損矣 伏乞節哀順變 毋至傷孝若何 東漢 揆以情禮 固當趁時趨慰 而所居路左 未遂素誠 以書替慰亦後於人 極切悚惶 儻可恕諒此情否 餘不備 謹疏上丙戌十月十一日李東漢 再拜李駿泳氏 大孝 苫前(皮封_前面)任實郡 聖壽面 三峯里李駿泳氏 大孝 苫前單子同封(皮封_後面)謹封全州府內李東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