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3년 흥신상회(興信商會)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興信商會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3년 1월 1일에 전주부 본정에 있는 흥신상회에서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에 사는 이규호씨에게 보낸 신년 인사 엽서. 1943년(소화18) 1월 1일에 전주부 본정(本町)에 있는 흥신상회(興信商會)에서 이규호(李奎鎬)씨에게 보낸 새해 인사 엽서이다. 내용은 신식연활자로 찍은 '근하신년(謹賀新年)' 4자만 적혀 있다. 수신자 이규호의 주소지는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7년 장부술(張富述)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魯正順 張富述 魯正順, 司法代書人嚴仁涉,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91_001 1927년(소화2) 5월 26일에 장부술이 노정순으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논을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27년(소화2) 5월 26일에 장부술(張冨述)이 노정순(魯正順)으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三峰里)의 논을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賣渡證書)이다. 매도증서에는 1927년 5월 26일자로 노정순이 자신의 부동산을 248엔(円)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103번지에 사는 장부술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장부술이 매입한 토지는 삼봉리 760-2번지 답(畓) 589평이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 2장이 붙어 있으며 금액은 12전(錢)어치이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등기를 접수하여 처리한 수부연월일(受附年月日)과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소화2년 5월 21일이며 수부번호는 제2235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제801호)와 순위(제4번)가 적혀 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대서인은 엄인섭(嚴仁涉)이고 대서기요금(代書記料金)은 16전(錢)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不動産ノ表示左記不動産表示ノ通リ此 代 金 貳百四拾八円也右不動産ハ拙者所有ノ處前記代金ヲ以テ貴殿ニ賣渡代金正ニ受領候事確實也然ル上ハ將來决シテ御迷惑相掛申間敷爲後日賣渡證書仍テ如件昭和貳年五月貳拾六日任實郡聖壽面三峰里壹百參番地賣渡人 魯正順[魯正順]任實郡聖壽面三峰里■■■■(七百六拾)〔壹百參〕番地■■(ノ貳)買受人 張冨述 殿不動産ノ表示任實郡聖壽面三峰里七百六拾番地ノ貳畓五百八拾九坪 價格金貳百四拾八円 [登記番號: 第八0一號, 順位番號: 第四番]際[受附: 昭和貳年六月貳拾壹日 第に二三五 登記濟][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登記料金拾六錢也 司法代書人 嚴仁涉[司法代書人嚴仁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호(李虎)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馥鉉 李虎 5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소화10) 3월 30일에 이호가 이복현으로부터 진안군 성수면 구신리의 임야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35년(소화10) 3월 30일에 이호(李虎)가 이복현(李馥鉉)으로부터 진안군(鎭安君) 성수면(聖壽面) 구신리(求臣里)의 임야(林野)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賣渡證書)이다. 매도증서에는 1935년 3월 30일자로 이복현이 자신의 소유 임야를 지분매매대금인 17원(圓)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호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본래 그 땅의 가격은 34원으로 두 사람 명의로 되어 있어 그 지분을 판다는 내용이다. 이호가 매입한 토지는 진안군 성수면 구신리 1104번지의 임야(林野) 3221평(坪)이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 1장이 붙어 있으며 인지의 금액은 2전(錢)이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접수 번호인 수부일자(受附日字)와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소화 10년 4월 2일이며 수부번호는 제22012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와 순위가 기재되어 있는데 그 번호는 제5495호이며 순위번호는 적혀 있지 않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진안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서사(司法書士)는 류희상(柳希相)으로 서기요금(書記料金)으로 16전(錢)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2년 이봉호(李鳳鎬) 근저당 계약(根抵當契約)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鳳鎬 任實金融組合 18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2년 5월 11일에 이봉호(李鳳鎬)가 임실금융조합(任實金融組合)에게 발급한 근저당 계약(根抵當契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7년 이규호(李奎鎬) 토지매매 계약서(土地買賣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朴順玉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01_001 1927년 음력 3월 4일, 매도인(賣渡人) 박순옥(朴順玉)이 증인 송진표와 함께 진안군에 있는 전답을 이규호(李奎鎬)에 매도하고자 하기 위하여 작성한 계약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18년 장욱(張旭)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張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8년 2월 27일에 장욱이 신랑측에 연길을 보내면서 날짜를 상의하는 간찰 1818년 2월 27일에 장욱(張旭)이 신랑측에 보낸 간찰이다. 가까운 데 살면서도 가까운 사이가 아니어서 뵙지 못하다가 다행히 벗 김이언(金而彦)을 통해 뵐 수 있었다고 인사하였다. 길일(吉日)을 잡아 연길(涓吉)을 보내드리니 이 날짜가 지장이 없겠는지 상대방의 의사를 묻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地邇人遐 尙稽候拜 幸因金友而彦甫 獲承聯楣之示荊願從可遂矣伏惟和昫靜候萬重 仰溸區區無任之地 吉日謹涓以呈 無碍於右日耶 示之如何 餘不宣伏惟戊寅二月二十七日張旭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0년 김시흥(金時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洙麟 金時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88_001 1780년(정조4) 5월 28일에 전주 유학 이수린(李洙麟)이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리 사평에 있는 밭을 유학 김시흥(金時興)에게 팔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 1780년(정조4) 5월 28일에 전주(田主) 유학(幼學) 이수린(李洙麟)이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내서면(內西面) 창랑(滄浪) 사평(沙坪)에 있는 밭을 유학 김시흥(金時興)에게 팔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이수린은 급히 쓸 곳이 있어서 밭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토지의 소유 경위는 명시하지 않았다. 방매 토지는 창랑리 사평에 있는 밭 2마지기(결부수: 5부 2속)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5냥을 받고 팔았으며, 본문기(本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불에 타 버려서 내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밭주인 이수린 1인이다. 주인이 자필(自筆)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 사평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十五秊庚子五月二十八日 幼學金時興前明文右明文事段 以極用所致 滄浪沙坪陽字田二斗落只負數五卜二束庫乙 價折錢文伍兩 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卞呈是乎矣 本文記段 以失火所致 未得出給爲去乎 從此憑考事田主自筆 幼學 李洙麟[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葉書_外面)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奎鎬 氏[郵便日附印: 全州, 18, 1.▣, 前0-8](葉書_內面)謹賀新年一月元旦全州府 本町 二丁目興信商會電話三五四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이동한(李東漢) 부의단자(賻儀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부의록 李東漢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53_001 이동한(李東漢)이 선대인 진사공(先大人進士公) 호상소(護喪所)에 보내는 부의단자(賻儀單子) 보낸 물목은 향촉대(香燭代) 10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18년 심성순(沈成淳)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서(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沈成淳 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6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8년 6월 3일에 신청자 침성순(沈成淳)이 대리인(代理人) 진재연(晉在沿)으로 하여금 광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서(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7년 이호(李虎) 매도증서(賣渡証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濟儀 李虎 李濟儀 4顆,,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司法代書人晉在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소화2) 3월 14일에 이호가 이제의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임야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27년(소화2) 3월 14일에 이호(李虎)가 이제의(李濟儀)로부터 임실군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峯里)의 임야(林野)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이다. 매도증서에는 1927년 3월 14일자로 이제의가 자신의 부동산을 174엔(円)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호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호가 매입한 토지는 삼봉리 36번지에 있는 임야(林野) 1정(町) 9반(反) 3묘보(畝步)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가격이 114원으로 적혀 있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 1장이 붙어 있으며 금액은 10전(錢)이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접수 번호인 수부일자(受附日字)와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소화3년 3월 3일이며 수부번호는 1208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제2922호)와 순위(제2번)가 적혀 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대서인은 진재연(晉在沿)이고 서기요금(書記料金)은 16전(錢)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8년 이봉호(李鳳鎬) 근저당권 일부 포기증서(根抵當權一部抛棄証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任實金融組合 李鳳鎬 8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6월 8일에 임실금융조합(任實金融組合)이 이봉호(李鳳鎬)에게 발급한 근저당권 일부 포기증서(根抵當權一部抛棄証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2년 한기성(韓寄誠) 경락허가결정서(競落許可決定)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全南地方法院 朝鮮總督府判事 韓寄誠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80_001 1932년 12월 14일에 경매에서 임실군에 있는 전답을 낙찰받아 전주지방법원이 경매인에게 지급한 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