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4년 선순흥(宣順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3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張漢佐 宣順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4년(정조8) 12월 26일에 전주 상인 장한좌(張漢佐)가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촌에 있는 밭을 선순흥(宣順興)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784년(정조8) 12월 26일에 전주(田主) 상인(喪人) 장한좌(張漢佐)가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내서면(內西面) 학당촌(學堂村)에 있는 밭을 선순흥(宣順興)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장한좌는 자신이 매득한 밭을 긴요히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학당촌에 있는 장자(莊字) 저전(楮田) 3마지기(결부수: 6부)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5냥을 받고 팔았으며, 본문기도 함께 넘겨주었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전주 상인 장한좌와 필(筆: 문서작성자) 유학(幼學) 김덕겸(金德兼)이다. 토지주인은 서명하지 않고 문서 작성자만 서명하였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촌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의 일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契約書一金貳員五拾戔也 右金은 月四利로 借用인 바 期限은 陰十月望內로 幷本利 返償하기로 如是証書홈昭和七年 陰七月十八日契約人 張富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정해년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太東注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해년 윤2월 28일에 태동주가 진안군 소재 논 매매대금을 3월 15일까지 완납하겠다고 약속한 계약서 정해년 윤2월 28일에 태동주(太東注)가 논 매매대금 중 잔액 5천원을 음력 3월 15일까지 전부 지불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작성해 준 계약서이다. 매매한 논의 소재지는 진안군 백운면(白雲面) 동창리(東倉里)이며, 매도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적시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林面雙鳳 化民梁棋永梁相五梁俊默右謹言 伏以宗族間相訟 風化攸關 恐涉損軆 而事出於不淂已之事 民以宗家後麓基址事 已爲呈訴 題敎截嚴 至有都副正曉諭之擧 則族人相樂符同南廷洙 私相買賣 以成僞造文記云 故招致兩人 諭以義理 則廷洙自知理屈 順受價文 終無扁言 到今南廷洙三寸叔南俊龍 暗生奸計 又符同族人相樂 不知他人世基之所重 但知私賣之重價 一向頑拒 究厥所爲 則相樂之昧法尤甚 於南民私難措處 故玆敢冒昧仰達 伏乞參商敎是後 上項南俊龍叔侄梁相樂捉致法庭 一以繩不知宗基之所重 一以繩但知財利之所慾 累代宗基卽之還推 以杜日後起鬧之端 望良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 乙亥十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양준묵(梁俊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綾州牧使 梁俊默 牧使[着押] *周挾字改印, 1顆(墨印, 14.6×3.8)*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53_001 1870년 능주목에서 유학(幼學) 양준묵(梁俊默, 5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46년 간재선생연보분질록(艮齋先生年譜分帙錄) 고문서-치부기록류-반사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 10월 이후부터 현곡정사에서 간재선생연보를 배포하면서 기록한 수취자 명단 1946년 10월 이후부터 현곡정사(玄谷精舍)에서 간재선생연보(艮齋先生年譜)를 배포하면서 기록한 수취자 명단이다. 가철(假綴)로 성책(成冊)한 필사본 문건으로 표제(表題)에는 '간재선생 연보발행록(艮齋先生年譜發行錄)'이라 기록하고 그 안쪽에는 '간재선생연보(艮齋先生年譜) 분질록(分帙錄)'이라 내제(內題)를 달아 놓았다. 총0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취자의 성명과 이칭을 기록한 뒤 몇 질을 받는지 수량을 적고, 사는 곳 주소를 적었다. 리(里)나 촌(村) 단위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우편 전달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간재(艮齋)는 한말 유학자인 전우(田愚, 1841~1922)의 호이다. 현곡정사는 간재의 제자인 현곡(玄谷) 유영선(柳永善, 1893~1961)이 1924년에 건립하여 강학활동을 하던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表紙)附文錄丙戌陽月以後 玄谷精舍艮齋先生年譜發行錄(內紙)艮齋先生年譜分帙錄田莊邨 鎰孝氏 二帙(幷文錄) 忠南大德鎭岑面南仙里田鎰健氏 一帙(幷文錄) 全北益山三箕面玄洞田鎰純 一帙(幷文錄) 扶安茁浦面穆中陽齋權純命氏 一帙(幷文錄) 井邑永元面隱仙吳鼎煥 一帙 忠北陰城大所面大豊里成悳泉璣運氏 一帙(幷文錄) 忠南燕歧錦南面達田朴師性昌鉉氏 一帙(幷文錄) 忠北陰城大所面五柳玄谷精舍 一帙 全州一帙, 泰錫一帙, 遺安堂一帙, 淳錫一帙, 德山齋一帙再從姪宇錫 一帙(幷文錄)族姪春錫 一帙辛鼎夏 一帙(幷文錄) 全南靈光郡面松亭金相源氏 一帙 長城北上面德在金德洙氏 一帙(幷文錄) 仝成夏鼎 一帙 全北高敞海里面松山金龍洙 一帙 雅山面盤岩文泰鉉 一帙 高敞面蛛谷丁本秀 一帙 仝林鍾秀 一帙(幷文錄) 仝石汀 文濟衆氏 一帙(幷文錄) 星內面玉堤義方齋 朴敬養 一帙(幷文錄) 井邑山外面■■(眞德)〔元象頭里〕柳重益 一帙 全南高興郡面虎東里梅囱 朴泰璿氏 一帙 寶城兼白面沙谷吳舜根 一帙(幷文錄) 忠北鎭川萬升面月城里金世基 一帙(幷文錄) 水原峯潭面烏霞里金學悅 一帙 龍仁器興面古梅里惺齋 金進士學祖氏 一帙 仝□景石 任憲瓚氏 一帙 忠南天安豊歲面龍井金煥珏氏 全北井邑七寶面鄭憲中 一帙(幷文錄) 全北高敞古水面牛坪里月潭 金載石氏 一帙 全北淳昌雙置面陽新里(元將巖里)又一帙 見住全州後峯 安圭噠氏 一帙 全南寶城文德面牛逢韓昇 愚山子 一帙 慶南河東玉宗面月橫 晋陽大谷面丹牧里松□ 盧秉權氏 一帙(幷文錄) 全北淳昌雙置面雲岩里危齋 金麗中氏 一帙 全北淳昌雙置面屯田里飛泉 田璣鎭氏 一帙 慶南宜寧七谷面陽泉□□ 鄭衡圭氏 一帙 陜川雙柏面平丘皐止堂 李定宰氏 一帙 忠北沃川郡伊院驛 無答慕陽 洪思哲氏 一帙 忠南大德郡懷德面法洞里 長子洪萬善■ 李參判貞烈氏 一帙 忠南牙山郡松岳面外岩里任璋淳 一帙 燕岐郡南面德洞里方丑里剛菴 申允中氏 一帙 全北高敞雅山面東邨里愼思範 一帙(幷文錄) 全北高敞富安面雲陽里洪鍾浩 一帙(幷文錄) 全北高敞海里面香山里斗南 吳海謙氏 一帙 井邑所聲面萬壽里柳炯相 一帙 靈光佛甲面仁山里望山 高東是氏 一帙(幷文錄) 井邑古阜面江古里金容九允七氏 一帙 全南長城北下面細谷佩弦 金鍾昊氏 一帙 全北益山裡里邑梅橋裕齋 宋基冕氏 一帙(幷文錄) 金堤白山面蓼橋上井里姜孟熙 一帙 金堤白山面南山里薰齋 金鍾熙氏 扶安扶寧面禮洞宋衡柱氏 一帙(幷文錄) 高興豆原面誠邨陽泉丁大秀氏 一帙 全南靈光佛甲面鳳洞圃雲 李璇鎬氏 一帙 全北完州華山面柯亭子柳滿圭 一帙 全北井邑邑內市基里柳泳喆 一帙 全北井邑笠岩面丹谷里丁鳳泰 全南谷城邑內館洞金哲坤 全北井邑泰仁面黃河永 一帙 全北高敞星內面槽東夯齋 柳源模氏 一帙 全北井邑山外面五公里筆岩畏軒 任世準氏 全北井邑笠岩面芝仙里高炳五 一帙(幷文錄) 全南濟州島(濟州道南郡)大靜面上摹里南軫永氏 一帙(幷文錄) 江原道蔚珍蔚珍面井林里鄭然國 一帙 江原道蔚珍北面錦城里李鍾坤氏門中 一帙 全北扶安茁浦面木中里洪壯憙 一帙(幷文錄) 全南羅州茶道面道川鄭雲翰 一帙 京畿安成陽城面德峯鄭道鉉 一帙 慶南咸陽柳林面柳坪 無答莊邨所請 全大榮 一帙 忠南天安豐歲面道宗柳炳春 一帙 全北任實靑雄面九皐里元龍田李顔範 一帙 全北高敞星內面月峯成九鏞 一帙 忠南公州長岐面錦岩里成洛天 一帙 燕歧錦南面達田里吳龜泳 一帙 全北南原只沙面玄溪金龍鎭 一帙 高敞星松面蒲洞徐相旭 一帙 咸平嚴多面星泉邊復源氏 一帙 全南和順二西面柳坪鄭喬源氏 一帙 全北井邑所聲面新店鄭桂山稷源氏 一帙 全北潭陽南面芝谷里金永松 高敞大山面城南金魯東氏 一帙 忠南公州邑金鶴洞碧烏桐奇世萬氏 一帙(幷文錄) 全南光州林谷面廣谷双暒□金箕重氏 一帙 忠南大田府大興洞三區六五二 寶興商店 金在勛方高光瓚氏 一帙 全南潭陽昌平面三川高漢柱氏 全南光州石谷面長嶝里同春嗣孫 宋洛彬氏 一帙 忠南大德懷德面宋村張赫氏 一帙(幷文錄) 忠北陰城陰城面三生里李普林 慶南金海長有面德亭邊時淵 一帙(幷文錄) 全南長城金東江寗漢氏 一帙 京畿高陽崇仁面樊里權載春氏 慶南陜川大幷面竹田丁常鉉氏 一帙(丁酉春) 全北長水山西面社桂里月谷里權龍鉉氏 慶南陜川草溪面柳下李昌煥 一帙(幷文錄) 全北扶安白山面梧谷李鍾弼 一帙(幷文錄) 全南寶城福內面詩川李顧齋炳殷氏 一帙(幷文錄) 全州府淸水町金夏圭 舊名正機 一帙 忠北陰城邑內里面山水里 移居鎭川德山奇觀燮氏 一帙(幷文錄) 全南光州林谷面廣谷洪性熙 全北淳昌雙置面新坪宋悌永 一帙 忠南大德山內面舊完里李世燦 一帙 忠南公州 無答趙瀚奎 一帙 慶南咸安伽倻面儉岩文錄分給記 幷年譜分給者已載于上 【上家 五帙, 下家 五帙】成夏源 一帙 高敞松山柳然洪 一帙 全州淸水町李載元 一帙 高敞月峯邨李玟秀 一帙 古阜立石里裵聖洙 一帙 高敞金永松田鎰純 一帙 扶安容中里邊時淵 一帙 長城安平里徐仁楠 一帙 咸平張 爀 一帙 陰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고창(高敞) 고흥류씨(高興柳氏) 가승(家乘)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창에 살았던 고흥류씨 류성재 선생을 비롯한 7명의 류씨 선조 일생을 간략히 기록한 문서 고창(高敞)에 살았던 고흥류씨(高興柳氏) 서승공파종중(署丞公派宗中)의 유성재(柳城齋) 선생을 비롯한 7명의 류씨 선조 일생을 간략히 기록한 문서이다. 가승(家乘)이나 족보 등으로부터 췌록하여 모아 놓은 기록으로 호칭, 생년, 과거경력, 최고관직, 공적, 유명인물과의 교유, 제향된 곳 등에 관하여 적었다. 적힌 인물을 차례로 나열하면 류성재(柳誠齋, 여말), 류운(柳澐, 柳慶元과 柳東仁의 父), 류경원(柳慶元), 류동인(柳東仁, 1577~미상), 류철견(柳鐵堅, 1583~미상), 류여회(柳汝檜), 류지태(柳之泰)이다. 직계로 내려오는 가계가 아니라 방계를 포함하여 현달한 인물을 뽑아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누나 언간(諺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30_001 누나가 남동생에게 쓴 한글 편지 누나가 남동생[아ᄋᆞ]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편지지와 함께 전하는 봉투 기록에 따르면, 발신자는 임실군(任實郡) 관촌면(館村面) 신전리(新田里) 이영봉(李英奉)이고, 수신자는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에 사는 이규호(李奎鎬)이다. 그러나 편지의 글씨체가 〈1933년 누나 언간(諺簡) 1〉, 〈1933년 누나 언간(諺簡) 2-1〉, 〈1933년 누나 언간(諺簡) 2〉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편지지의 규격이나 편지봉투도 동일하여 발신자 또한 같은 인물로 추정된다. 즉, 편지봉투의 주소와 인명은 실제 편지를 주고받는 사람들과 같은 곳에 거주하는 세대주일 가능성이 높다. 아우가 바라던 대로 딸의 혼사를 치른 일에 대하여 기뻐하였고, 함께 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였다. 정신이 없어 이만 줄이며 아무것도 보내지 못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봉투 앞면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 根 雨 殿봉투 뒷면南原郡 周生面 上洞尹龍鎬ヨリ편지1-1 앞면ᄋᆞ오님 보시ᄋᆞᆸ우리 남ᄆᆡ 묵서도 두이 심즁 막〃 무산 말ᄒᆞᆫ 계ᄋᆞᆷ 읫듸 ᄀᆡ츈의ᄋᆞ오 ᄂᆡ외 평안ᄒᆞ신지요 우디아마님게서도 심화로 기ᄂᆡ신 즁쥬식디공한 무양신가요 딜ᄋᆞ남ᄆᆡ 츙실 다식한가요 소ᄃᆡᆨ이서ᄂᆞᆫ 두분 안영ᄒᆞ신지요 그 남ᄋᆞ오님 각〃 ᄂᆡ외 식기덜 다리고 평안덜 ᄒᆞ신ᄀᆞ요 ᄋᆞ오님 구근갓지 기시고 엇디 경손치번편지1-2ᄒᆞ신고 시〃 닐칸 ᄒᆞ나실 곳 업시니엇디 모도 모든 것 실ᄒᆞ시고 모잔ᄒᆞᆫᄀᆡ 그러ᄒᆞᆫᄀᆞ 몽즁 우디 남ᄆᆡ 상시갓치 만ᄒᆞᄃᆞ ᄭᆡ보먼 허ᄉᆞᄋᆞᆸ각처 동ᄉᆡᆼ 소식 중〃ᄒᆞ신ᄀᆞ요니곳산 무고 ᄉᆡᆨ기 여러 남ᄆᆡ 츙실 자근 딜부도 삼모여 무고큰ᄃᆡᆨ 무고ᄒᆞ시고 큰 딜부난 엇디펀ᄐᆞᄒᆞ되 중손 ᄆᆞᆫ니고 무활 중기ᄂᆡ오니 보시앗 착〃 무ᄉᆞᆫ 그리 서상도 고로디 못ᄒᆞᆫ고 부안ᄂᆡ편지1-3 앞면나로 ᄉᆞ심 줄 되니 엇디 ᄒᆞ야 자식그ᄒᆞᆫ 푼 보기 목〃ᄒᆞᄋᆞᆸ 으디 남ᄆᆡ정의 업서서 펀디 중〃 안처거신가어문 넘〃디 못ᄒᆞᆫ 타시ᄋᆞᆸ ᄉᆞ람은 늑고 남ᄆᆡ 정은 점〃 더 심난정을 엇다 두고 번ᄒᆞᆫ 거 일연도반연 넘다 ᄒᆞᄂᆡ 펀디 한 자 업시 넘무 먼ᄂᆡ ᄉᆞᆷ은 조흔 거신ᄀᆞ 시속서러고 맛친 서러고 이나 하서의부디 이서압 다시 뵈ᄋᆞᆸ고 모여디정둘고 세월 긴고 온 사ᄅᆞᆷ 우리편지1-3 뒷면어머님 뵈ᄋᆞᆸ고 싯퍼 못산닷이 시〃 죽거서 으디 어머님 실ᄒᆞ다시 모여 상봉 소원〃〃이ᄋᆞᆸ정말 실푸고 한심〃〃이나사으디 어머니 이리 가시고 니리 첩〃 고혼 되신고 이나 하시 뵈온고 ᄂᆞᆷ은 그 연서 다식타 잇ᄂᆞᆫᄃᆡ우디 어머님은 무산 그디 그ᄃᆡ 디반 부시던고편지1-2 뒷면시상의 니리 독ᄒᆞ고 모디 연 업실닷 남ᄆᆡ 간도 정을 근코 기ᄂᆡ일 ᄉᆡᆼ각 분〃 도 모디고 초목 인상 무원동계이나 순풍의무ᄆᆡ 정도 풀고 ᄂᆡ 소원 ᄒᆞᆫ 게ᄋᆞᆷ ᄆᆞᆫᄉᆡᆼ 남과 갓치 못 ᄉᆞ니 남ᄆᆡ간 정도 업고 도 못 인ᄉᆡᆼ 츅갓치 ᄉᆞ의 무원ᄒᆞᆫ고적글 말 무궁편지1-1 뒷면ᄒᆞ나 〃 니만 근삽 ᄌᆞ〃 잘 붓처 보시ᄋᆞᆸ 붓그어삽 근시기 구〃ᄒᆞ니 중〃 못ᄒᆞᄋᆞᆸ 그리김작ᄒᆞ시ᄋᆞᆸ계유연 니월 슌구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四十九年甲辰三月初二日 宣順興前明文右明文事段 以貧寒所致 滄浪沙坪陽字田二斗落只卜數五卜二束庫乙 價折錢文五兩五戔 捧上爲遣 右人前本文記一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卞呈事田主自筆 喪人 金時興[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上狀辛生員下執事 謹封伏以二姓之合 五倫攸始 僕之長子龍錫 年旣長成 敢望副乘龍之顔未及行奠禽之禮 恭承嘉命 許以◯令長孫女貺室先人有禮 敢不唯◯命 玆以薄幣用代儷皮 謹不備伏惟尊照上狀壬戌十一月十七日尙質后人張基洪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묘년 사주단자(四柱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랑측에서 신부측에 보낸 기묘생 신랑의 사주단자 신랑측에서 신부측에 보낸 사주단자이다. 신랑의 생년월일시는 기묘년 윤3월 27일 자시이다. 사주(四柱)는 사성(四星)·주단(柱單)·단자(單子)라고도 한다. 양가에서 중매인을 통하여 의사를 교환한 뒤 혼인하기로 결정하면, 처음 보내는 서신이 사주이다. 사주에는 신랑의 생년월일을 간지(干支)로 적고, 그것을 다섯 번 접어 봉투에 넣는다. 봉투의 전면에는 '사주' 또는 '사성'이라 쓰고, 후면에는 '근봉(謹封)'이라고 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四星己卯閏三月二十七日子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35년 양시영(梁始永)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化民 梁始永 等 陵州牧使 使[着押] 3顆(7.0×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35_001 1835년(헌종1) 9월에 능주 하동면에 사는 양시영(梁始永)·양직영(梁直永)·양주영(梁柱永)·양상후(梁相垕) 등 4인이 능주목사에게 올린 소지 1835년(헌종1) 9월에 능주(綾州) 하동면(下東面)에 사는 양시영(梁始永)·양직영(梁直永)·양주영(梁柱永)·양상후(梁相垕) 등 4인이 능주목사(綾州牧使)에게 올린 소지이다. 산송의 일은 성주께서 이미 통촉해 주시어 투장한 남준옥(南俊玉)이 아직 감옥에 갇혀있지만 우매한 백성을 상법으로 다스리니 그가 너그럽게 교유(敎誘)하는 정책인지 모르고 도리어 큰소리로 말하길, "형제가 돌아가며 갇히다가 6년이 지나면 우리 장지(葬地)를 보존할 수 있다"고 원망하고 미운 말을 한다는 것, 이때에 마침 수령께서 서울로 행차를 떠나시게 됨에 풀려나기를 꾀한다며 저들의 완악함이 더욱 심해지고 있고 우리들의 분을 씻을 수가 없다며 그들을 엄히 다스리고 즉시 무덤을 독굴(督掘: 강제로 파내는 것)해 달라고 청하였다. 이에 대해 능주목사는 남준옥이 또 죄를 지었으니 감옥에 가두라는 판결을 11일에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四十九年甲辰十二月二十六日 宣順興處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是如可 要用所致以 伏在學堂村莊字楮田三斗落其卜數六卜㐣 價折錢文五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幷以 右處永永放賣爲去乎 如有雜談是去等 持此文卞呈事田主 喪人 張漢佐筆 幼學 金德兼[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涓吉納幣壬申正月二十六日奠鴈同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인년 연길단자(涓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부 집에서 신랑 집에 대례와 전안, 납폐를 행할 일자를 택일하여 보낸 연길단자 신부 집에서 신랑 집에 혼례 날짜를 택일하여 보낸 연길이다. 대례는 3월 24일 갑인일 신시초(申時初) 곤시(坤時)이고 전안(奠鴈)과 납폐(納幣)는 대례날과 같은 날 같은 시간으로 정하였다. 곤시는 오후 2시 30분부터 3시 30분 사이를 말한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