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1년 이호(李虎)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1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55_001 1931년 8월 29일에 이호(李虎)가 근저당권(根抵當權)을 설정(設定)한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임실금융조합으로부터 500원을 빌리기 위해 근저당권을 설정한 토지 지번, 지목, 면적 등의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영수증(領收証)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鄭尙金 鄭尙金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35_001 1933년(소화8) 음력 9월 26일에 정상금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임야를 매도하면서 매도금 일부를 받고 발급해 준 영수증 1933년(소화8) 음력 9월 26일에 정상금(鄭尙金)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임야를 매도하면서 매도금 일부를 받고 발급해 준 영수증(領收証)이다. 앞서 동년 9월 12일에 정상금은 삼봉리 182-2번지를 매도하면서 일금 20원(圓)을 받기로 하였다. 그 중 계약당일에 계약금 3원을 받은 바 있다. 본 영수증에는 매도대금 잔액 17원 중에 12원을 영수하고 남은 금액 5원은 상대의 명의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할 때에 받겠다는 내용을 적었다. 일자를 소화8년 음력 9월 26일로 적고 영수인 정상금의 주소(임실군 오천면 선천리)와 이름, 도장을 찍었다. 문서작성에 사용된 언어는 국한문 혼용으로 한자로 문서를 작성하고 하고, 은, 의, 로, 하기로 등을 한글로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証一金拾貳圓也 右金은 三峯里壹八貳ノ貳番林野代金殘額拾七圓中 拾貳圓은 領收하고 餘金五圓은 貴下의名義로 移轉後推尋하기로 如是 証書홈昭和八年陰九月貳拾六日任實郡烏川面仙川里領收人 鄭尙金[鄭尙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2년 이호(李虎) 근저당권 설정 계약서(根抵當權設定契約書)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任實金融組合 李虎 13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59_001 1932년 12월 8일에 임실금융조합(任實金融組合)과 이호(李虎)가 맺은 근저당권 설정 계약서(根抵當權設定契約書) 임실금융조합으로부터 1,200圓을 빌리기 위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및 태평리의 논 등을 근저당권으로 설정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13년 이규호(李奎浩)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甲乭 李奎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3년(대정2) 8월 29일, 매주 이갑돌과 매주 이규호가 임실군 상동면 세동 중산평에 있는 논을 매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계약서 1913년(대정2) 8월 29일, 매주(賣主) 이갑돌과(李甲乭)과 매주(買主) 이규호(李奎鎬)가 임실군(任實郡) 상동면(上東面) 세동(細洞) 중산평(中山坪)에 있는 논을 매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계약서이다. 매매 토지는 세동 중산평에 있는 출자(黜字) 32번 답(畓) 4마지기(결부수: 16부)이다. 매매일자는 대정2년 8월 20일이고, 매매대금은 80엔(円)이다. 계약서의 문구에는 이갑돌이 이규호로부터 대금을 전부 영수하고 이규호의 소유가 되었음을 밝히고 보증인이 이 계약의 확실함을 증명해 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문서 발급에 참여한 사람은 매주(賣主, 전북 임실군 상동면 삼봉리 4통 5호 거주), 매주(買主, 임실군 상동면 삼봉리 3통 6호 거주), 보증인 윤병길(尹秉吉, 임실군 상동면 양암리 3통 2호 거주)이다. 서명은 모두 이름자를 새긴 원형주인(圓形朱印)을 사용하여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李弼淳 昌平 田慶爀 長水李慶奭 寶城 申學休 長水金壽一 茂長 金章漢 茂長朴桂升 興陽 李道亥 樂安安秉㻸 谷城 李琦淳 谷城鄭冕奎 淳昌 金遇植 光州卓基豊 全州 林荷休 同福金相俊 任實 黃啓樑 寶城鄭洪基 長興 宋永象 南原尹範孝 順天 李汶奎 潭陽鄭亨錫 谷城 劉廷一 順天【會入】韓世裕 光州【會入】 黃廷采 興陽辛酉淳昌式 上試金直淵初場 終場裴現煥 順天 三 李大震 興陽朴周相 潭陽 六 崔炳一 和順 一趙永仁 南原 十 朴萬洙 康津權三錫 興陽 四 潘泓達 長城【會入】呂渭永 潭陽 奇用衍 長城【會入】朴敦和 任實 二 金在琫 玉果 三權益濟 珍山 一 尹在學 南原金履祐 長城 三 李鎭邦 光州鄭宗祿 淳昌 九 李奎潤 潭陽權喆浩 興陽 范昌祚 光州廉在涉 寶城 三 高泰柱 昌平 一申錫載 龍潭 五 梁俔標 南原李龍善 光陽 四 羅源采 潭陽具龍五 淳昌 尹相瓊 光州李圭尙 長興 四 金興錫 南原金璣源 長水 四 李寬皓 綾州 一姜沇 求禮 一 成啓益 潭陽許珪 茂朱 二 金龜瑞 南原金礪商 南原 沈樂柃 玉果金斗厦 光陽 金柃煥 長興鄭普現 康津 四 權柄喜 玉果李錫▣ 南原 金狑喜 康津金裕遠 鎭安 一 姜珣齡 樂安李震烈 興陽 李錫疇 龍潭金學燧 光陽 趙源錫 順天金斗承 全州 二 金錫珪 淳昌洪承祚 南平 一 白秋鎭 全州河在萬 茂朱 尹秉鼐 南原申貞模 淳昌 盧榮壽 南原范玹駿 光州 八 韓基履 任實車壽煥 光州 金仁河 長水許藿 順天 柳圭濟 淳昌任泳魚 龍潭 劉永基 長水洪鍾贊 淳昌 薛文學 淳昌朴春煥 淳昌 金耀 光州李鉀 谷城 一 朴文鎭 淳昌朴來龍 同福 一 劉道豊 泰仁 二朴濟升 光州 尹柱八 長興李容煥 光陽 李龍圭 龍潭李震林 南原 魏榮彬 長興李基榮 寶城 韓昌玉 雲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오년 사성록(四星錄) 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庚午年 7월 2일 寅時에 때어난 사람의 사주를 풀이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5년 양기영(梁棋永) 등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化民 梁棋永 等 陵州牧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39_001 1875년(고종12) 10월에 도림면 쌍봉리에 사는 양기영·양상오·양준묵 등 3인이 능주목사에게 종가 터를 사적으로 매매한 이들을 고발하며 이를 무효화해야 한다고 해결을 청원한 소지의 초안 1875년(고종12) 10월에 능주목 도림면(道林面) 쌍봉리(雙峯里)에 사는 양기영(梁棋永)·양상오(梁相五)·양준묵(梁俊黙) 등 3인이 능주목사에게 종가 터를 사적으로 매매한 이들을 고발하며 이를 무효화해야 한다고 해결을 청원한 소지의 초안이다. 종족 간에 서로 소송을 하는 일은 풍화에 관련한 것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 이지만 부득이해서라며 사안을 올렸다. 종가(宗家) 후록(後麓)에 있는 기지(基址)를 족인 양상락(梁相樂)이 남정수(南廷洙)와 부화뇌동하여 사적으로 매매하고 문기(文記)를 위조한 일로 두 사람을 불러다가 의리로써 타일렀더니 남정수는 스스로 잘못을 알고 돈을 받고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남정수의 3촌 아재비인 남준룡(南俊龍)이 다시 양상락과 모의하여 남의 집 종기(宗基)의 소중함을 알지 못하고 사적으로 매매하고는 한결같이 완거히 버틴다며 법에 우매한 양상락과 개인적으로는 조처하기가 어려운 남민을 법정에 잡아다가가 남의 종기(宗基)에 손을 댄 죄, 재리(財利)에 욕심을 부린 죄를 다스리고 종기를 즉시 돌려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청원하였다. 이 문서는 초안을 잡고 관에 올리지 않은 미발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7년 허용(許鏞)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許鏞 兼官[着押] 3顆(6.3×6.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09_001 1897년 4월에 전라도 남원 왕지전 2리에 사는 허용·소화영 등 12인이 겸관에게 이동우의 효성과 청주 한씨의 열행을 감영에 전보하여 임금께 보고하게 하여 표창 받게 해 줄 것을 청원한 상서 1897년(광무 1) 4월에 전라도 남원 왕지전(王之田) 2리에 사는 허용·소화영(蘇鏵永) 등 12인이 겸관(兼官)에게 이동우(李棟宇)의 효성과 청주 한씨(淸州韓氏)의 열행(烈行)을 감영에 전보(轉報)하여 임금께 보고하게 하여 표창 받게 해 줄 것을 청원한 상서이다. 효라는 것은 인간의 떳떳한 본성이고, 천하의 아름다운 행실이니 누구나 이런 성이 있으나 그 천성을 온전히 할 수 있는 자는 드물고, 누구나 이런 행실이 있으나 그 덕을 보존 할 수 있는 자는 드물다. 왕지전 2리에 사는 선비 이동우는 효령대군 보(補)의 15세손이자 호은공(壺隱公) 수(洙)의 11세손으로, 태어난 지 3일만에 부친상을 당하여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커가면서 어머니를 기쁘게 해드릴 것을 위주로 하여 사소한 일이나 물건이라도 반드시 어머니에게 물은 뒤에 행하였으며, 아침에는 농사짓고 저녁에는 독서하였다. 모친의 병이 갑자기 위독해지자 항상 곁에서 문안하고 약시중을 들었으며, 하늘에 자신이 대신 아프게 해줄 것 빌었다. 창졸간에 별세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쏟은 피를 모친 입에 넣어 곧바로 회생하였으나 바로 돌아가시자 가슴을 치며 울부짖었다. 장례는 모두 예절에 따라 치르고, 달을 넘겨 집에서 5리쯤 떨어진 곳에 안장(安葬)하였다. 춥든 덥든 매일 성묘하여 거적자리를 깔고 흙덩어리를 베고 자면서 상복을 벗지 않았으며, 부모를 언급할 때마다 먼저 눈물을 줄줄 흘렸다. 이동우의 어머니 청주 한씨는 열행(烈行)이 탁월하여 이미 각 방(坊)의 통문(通文)과 암행어사의 판결이 거듭 있었으나 아직까지 포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한 집안에서 효열(孝烈)이 함께 온전한 경우는 드문 일이니, 참으로 그런 어머니 밑에 그런 아들이 있다고 할만하다. 이 일은 이웃에서 목격한 것이고, 원근의 사람들이 전파한 소문으로, 허용 등이 한 마을에 살고 있으면서 침묵할 수가 없어서 겸관에게 감영에 전보(轉報)하여 임금께 계달(啓達)하게 하여 이 실행을 밝혀서 드날리게 해 줄 것을 청원하였다. 이 상서를 접수한 겸관은 4월 18일에 '자모(子母)의 효열(孝烈)에 대해 들으니 매우 감탄스럽다. 속히 포앙(褒揚)해야 마땅하므로 전보하여 공천(公薦)에 보답해야 할 일'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13년 이봉호(李鳳浩)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奎鎬 李鳳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3년(대정2) 8월 10일, 매도인 이규호와 매수인 이봉호가 임실군 상동면 삼봉리의 논을 매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계약서 1913년(대정2) 8월 10일, 매도인 이규호(李奎鎬)와 매수인 이봉호(李鳳浩)가 임실군(任實郡) 상동면(上東面) 삼봉리(三峯里)의 논을 매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계약서이다. 일제 강점기의 신식 매매계약서에는 소유경위, 방매 사유 등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거래대상 토지는 임실군 상동면 삼봉리 입석평(立石坪)에 있는 가자(軻字) 73번 답(畓) 4마지기(결부수: 19부)이며 매매일자는 1913년 8월 10일이고 매매대금은 100엔(円)이다. 돈을 받은 이규호는 앞으로 이 땅이 이봉호의 땅이 됨을 약속하고 보증인은 이 토지매매계약의 확실함을 증명해 준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매도인(임실군 상동면 삼봉리 3통 6호 거주)과 매수자(임실군 상동면 양암리 2통 3호 거주), 보증인 심경숙(沈京淑, 삼봉리 1통 8호 거주)이다. 서명방식은 모두 이름자를 새긴 원형도장을 붉은 색으로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土地賣買契約書一土地의 表示面名 里洞坪名 字番号 地目 面積 結數 賣買年月日 賣買代金上東 三峰立石坪 軻七三 畓 四斗落 十九負 大正二年八月十日 ■〔百〕円一前記賣買代金은 全部受領ᄒᆞ야 將來買主所有됨을契約홈一保証人는 右土地賣買契約의 確實ᄒᆞᆫ事을 証ᄒᆞ기 爲ᄒᆞ야 署名捺印ᄒᆞᆷ大正二年八月十日全北任實郡上東面三峰里三統六戶賣主 李■〔奎〕鎬[李奎鎬信]全北任實郡上東面陽岩里二統三戶買主 李鳳鎬[李鳳鎬信]全北任實郡上東面三峰里一統八鎬保証人 沈京淑[沈京淑信](皮封_前)畓所有訂明券李奎鎬 氏 殿畓訂明券(皮封_後)十月卄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5년 도만석(陶萬錫)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01_001 1925년 6월 13일, 도만석(陶萬錫)이 산지(山地) 값 10조(條)를 영수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4년 선순흥(宣順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時興 宣順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88_001 1784년(정조8) 3월 2일에 전주 김시흥(金時興)이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리에 있는 밭을 선승흥(宣順興)에게 팔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 1784년(정조8) 3월 2일에 전주(田主) 김시흥(金時興)이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내서면(內西面) 창랑리(滄浪)에 있는 밭을 선승흥(宣順興)에게 팔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시흥은 가난 때문에 밭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밝혔다. 토지의 소유 경위는 밝히지 않았다. 방매 토지는 창랑리 사평(沙坪)에 있는 밭[田] 2마지기(결부수: 5부 2속)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5냥 5전을 받고 팔았으며 본문기(本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 1장도 함께 넘겨주었다. 문서 발급에 참여한 사람은 밭주인 1인으로 주인이 자필(自筆)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리는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土地賣買契約書一土地의 表示面名 里洞坪名 字番號 地目 面積 結 數 賣買年月日 賣買代金上東 細洞中山坪 黜三二 畓 四斗落 十六負 大正二年八月二十日 八十円一前記賣買代金은 全部領受ᄒᆞ야 將來買主所有돰을約諾홈一保証人은 右土地賣買契約의 確實ᄒᆞᆫ事을 証ᄒᆞ기爲ᄒᆞ아 署名捺印홈大正二年八月二十九日全北任實郡上東面三峰里四統五戶賣主 李甲乭[李甲乭]全北任實郡上東面三峰里三統六戶買主 李奎鎬[李奎鎬信]全北任實郡上東面陽岩里三統二戶保証人 尹秉吉[尹秉吉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契約書右約事은 鎭安郡 白雲面 東倉里 一0八之畓 代金中 殘額五千員은 陰參月拾五日內로 全部 支拂하기로 契約홈 若過限則 違約金을 捧上하기로 契約홈 白米壹㕥保管함 丁亥 陰允貳月 貳拾八日 約主 太東注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