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狀 先生諱希文字景范號月溪姓趙氏系出咸安以高麗大將軍元尹諱鼎爲鼻祖簪組奕葉爲世名家傳十世有諱承肅世稱德谷先生麗社將屋以扶餘監務棄官自靖與治隱諸賢入杜門洞遯于咸陽孤忠卓節載在國乘而塗人耳目寔先生五代祖也高祖諱從禮直提學號栗亭天植孝友庭受詩禮德器偉然爲世所重曾祖諱琰參奉祖諱繼祖有學行不仕昏朝考諱琳司成號愼齋妣同福吳氏參奉元童之女以嘉靖丁亥月日生先生于南原府西竹谷里第先生生於忠孝詩禮之家擩染有素已自髫齔天姿近道文藝夙就河西先生金文正公聞其名就見與語大奇之敎以性理之學尋以其子妻之先生登明廟癸丑別試丙科辛酉拜慶尙道都事戊辰行長興府使又嘗點馬濟州先生篤行道義淡泊榮利官竟不達而止于修撰嗚呼命也夫墓在淳昌虎溪而雄德里子坐之原淑人金氏祔其下有碣一男曰份將仕郞將仕繼子曰惟善軍資監正正二子曰字曰實一女適薛應貞武郡守餘不能盡記先生之在甥館嘗有毁文正者門人將辨爭先生謂不足較力止之文正公聞而多之嘗與同門人侍文正公夜飮門人曰先生於一草一木之微無不愛吟或近翫物耶先生曰非君所知卽口占一聯而文正續之曰景范知我乎當日函席相與之樂不但淸潤之足擬文正又嘗曰斯人也文可典衡文正一言之重可以徵信於後世者如此矣詩文春容爾雅眞盛世之音而尤深理到之言元元本本芒寒杓正無忝師門觀於文正集序先生學問之純踐履之篤造詣之精深高明者又可見矣先生之於文正猶朱門之有勉齋非勉齋無以狀紫陽之行非先生無以序文正之集此可以槩先生之大略餘皆繩尺謹嚴動爲世法不可一二論述者也噫以先生行己之正文學之邃宜其黼黻皇猷瑞世兼善而釋褐十六年久屈遐外竟無所施措豊於德而嗇於命抑亦氣數之使然終古善類之不爲世用久矣悲夫雖然高風懿行終不可以泯沒也余以先生之同黨裔孫聞先生學業文章行誼之詳者自異餘人適又莅先生舊居之隣與先生之後孫源源從之而先生之遺行逸事益聞所未聞尤有興感而白幸者矣先生著述甚富事蹟宜多而盡逸於兵燹之中若干文字爲雲仍所掇拾僅成二冊子傳于家性範曁鎭奎甫謁余以家狀義不可辭謹考德據實而撰次如右使世之立言君子有所裁取云爾上之二十四年丁亥臘月之吉同黨裔孫通訓大夫行任實縣監性憙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幷序】 芸牎朴性陽撰月溪先生趙公墓在淳昌凡其面雄德里子坐原淑人金氏祔其下今幾至三百餘年墓前有碣而字蝕不能讀先生之後裔懼其久而無徵性範曁鎭奎甫抱家狀謁余以銘竊念先生之於河翁殆若勉齋之事晦翁不佞平日實有執鞭之願故雖甚老洫不敢以不文辭謹按先生諱希文字景范系出咸安高麗大將軍元尹諱鼎爲鼻祖傳十世有諱承肅號德谷麗社將屋以扶餘監務棄歸咸陽世以杜門洞諸賢幷稱之是爲先生五代祖也高祖諱從禮直提學號栗亭曾祖諱琰參奉祖諱繼祖有學行値昏朝不仕考諱琳司成號愼齋妣同福吳氏參奉元童之女以嘉靖丁亥月日生先生于南原府西竹谷里第栗亭公嘗自咸陽徏居于此先生天姿近道文藝夙就河翁見而奇之敎以性理之學尋以其子妻之所居近地有月溪溪上有鳳凰臺洞中有慶事則鳴故謂之鳴嚴明廟癸丑先生登別試丙科是嚴也先期而鳴聲如洪鍾云辛酉拜慶尙都事戊辰授長興府使又嘗點爲濟州登第數十年官至修撰校理有一男曰份將仕郞將仕系子曰惟善卽先生仲兄希鼎之孫也官軍資監正監正生二子曰宇曰實一女適薛應貞武郡守餘不能盡記後孫之今居淳昌任實者僅數十人云嗚呼先生著述甚當而盡逸於兵燹所傳者只是吟咏十數篇雜著八九篇而已崑山片玉愈少愈貴而皆自義理中流出少無閒說話可見其平生所存也先生之在甥館也有毁河西者門人將辨爭先生謂不足較力止之河翁聞而多之嘗與梁鼓巖子澂侍河翁夜飮梁曰老先生於一草一木無不愛吟無近翫物邪先生曰非君所知卽口占一聯而河西續之曰趙郞知我乎當日函席相與之深庶可以想像矣河翁遺集中示以警勉者無慮五十餘詩而槩是道義功利之別涵泳踐履之實也至於讀楚辭求知則有曰荷蓋水車消息斷夕陽揮淚灑乾坤又贈行詩有曰逶迤嶺陸過千城漢水秋風入宦情男子平生堯舜志須參天地贊生成河翁自靖之義先生蘊抱之重犁然相感可以徵信於曠世矣河翁沒後先生搜輯遺稿至於八年之久而不以爲勞弁卷之文幾至二千餘言河翁學問之妙契大原出處之知幾如神一一摸畵宛如狀德之文羹墻江漢之思於是乎可見矣昔唐之李漢以韓文公之女壻序其遺集文者貫道之器一段遂爲千古名言然則後之人欲知月溪先生造詣者觀河西集序文則或可彷象其萬一云銘曰肧光德谷之節行宜會鳴巖之禎祥澹宦情於漢水秋風視逆旅於槐院玉堂早聞性理之大源永謝詞章之綺麗以甥館而以弁遺集斯其爲湛翁之高弟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勉菴崔先生 昔年先生。辦負一世重望。自耽津還也。侍先生之先人。迎候路左。同謁蘆沙先生于下沙。伏想有記存者矣。先人每誦先生直節大義盛德光輝。不離口。是時侍生。年未弱冠。雖鄙鈍蒙愚。無所知覺。而參聽於父兄長者之側。玉色金聲。夢寐以之。先生之再擧斥邪。又自黑山還。侍生拜謁于古珍。望見德輝。以遂生平之願。於心以爲學稍進。將北學灑掃門屛。學不加進。親年漸高。遠遊未遂。先人之棄不肖于今。十六年于玆矣。當時有同門友。朴道謙之遊門下。遠賜唁疎。悲感于中。如何可忘。中間先生居憂。匍匐失禮。罪無可贖。道謙亦逝矣。此近更無的便。未嘗以一書疎以請起居。往在辛卯。遊於京師。聞賢胤昆季入闉。來往追逐。慰滿極矣。逕歸還鄕。不得進謁。素志莫遂。自訟緇衣誠薄而已。侍生往在親下時。幸被義方之敎。粗知學字。非曰無志。志不篤。竟亦無所就。自抱風樹之痛。世故疾病。叢纏一身。不能自力於文字事。先人之志事。尙不得展。自就於君子之棄。況敢望自進於大人君子之門庭。以攄其萬一者乎。雖然其憂憤傷時。同出秉彛。再昨年奇松沙之擧義。同聲而應。曷嘗有蔑線之力。及於義擧也。只是自激而隨義。義不得伸而挫折。困頓已極矣。挫折有所不顧。困頓況復言乎。但見世之憎疾松沙者太甚。又從而下石者。滔滔皆是。而何幸先生正色指摩。南方之議論稍定。靑天白日。奴隸皆知其淸明故也。夫松沙之爲此擧也。何嘗求譽於人。而南士之同此擧者。亦無自衒者。則衆楚之咻。何以及之哉於是乎。益覺人心之不淑。世道之不可爲矣。嗚呼噫噫。適見信便慕仰之素。不能自己。故敢以蕪辭。塵瀆崇嚴。伏祝道體候。爲國加愛。爲世道葆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諸家記述 石水菴在大谷【犬谷坊名】坊月溪山石底有窟窟中有石泉諺傳月溪趙希文與俛仰亭宋純少枾常讀書于此每當入山必有菴僧之夢一日積雪滿山其僧忽言曰今日某生至矣諸僧笑曰積雪如此生何來乎其僧曰吾每夢此亭中有三鯉出游則必有其生來今已累驗矣俄而宋純果到居僧天驚後二人俱登文科竟至大顯其一鯉尙未有應云【龍城誌】河西先生人饋之酒則未嘗問其美惡飮必至醉醉後哦詩頗以白娛嘗夜趙希文梁子澂戱折梅枝揷小瓶中侍先生飮其下子澂曰先生於一草一木無不窮格而吟咏之無乃玩物耶希文曰爾非知先生者卽口占曰玩物非天性䘖盃只寄懷先生曰趙郞知我乎罔繼吟曰梅花燈下飮如醉又如俳其非眞麴襲之托昏冥之逃而馴致喪志者矣【河西集】趙希文號月溪司成理之子河西門人也學問高明文章發越河西常稱曰當今典文衡者南州惟此一人而已【龍城誌】能文辭嘗作河西文集序稱述甚盛云【東儒師友錄】先生童子時文藝已成河西先生聞其名一日來過命先生曰我得五言聯一句未得其偶仍誦嶺險愁羸馬先生應聲曰風寒㥘病人河西大奇之遂敎之以性理之學以女妻之【家傳】先生諱希文字景范號月溪咸安人早受學於河西先生先生偉其人置甥館登嘉靖癸丑文科官至弘文修撰蓋先生踐履之篤造詣之深已嘗蒙河西之所稱許而所著述爲兵燹所濊不得傳於後有若干詩文錄在河西集中麗朝德谷先生諱承肅當我太祖登極初棄官還鄕不仕終老是爲五代祖高祖諱從禮號栗亭寶文閣直提學曾祖諱琰參奉祖諱繼祖有學行値昏朝不仕考諱琳司成號愼齋有純德雅望知名縉紳乘範鄕社先生之學非但有資師友之益實承家庭之訓云丁卯五月十日長興府使趙希文牒呈內進士劉好仁性本淳實沈重寡言識見純正議論明白持身接物皆有法度自半世以後無意於科擧家空四壁生理蕭條處之恬然不以爲憂且居鄕里不甚異於人而亦不苟合於人非公事則迹不到城府敎導後學小無倦怠作成人材者亦多容貌辭氣見慕於人望表可知其裏【出劉徵士天放翁好仁遺事○見柳文節公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樓觀滄海日詩【科體下同】 客有東西南北人一生好入名山遊吟筇一擲到靈隱彩閣玲瓏臨海陬登臨回首壯心目赤輪轉上滄波頭滄波磨盪射天地水色雲影紅光稠嗟吾性癖在山水幾年汨沒人間愁超然一夕脫塵弢永向江湖隨海鷗行尋蘿逕得仙山偶値仙山琪樹秋芒鞋始及鷲嶺東松檜陰邊千尺樓天香桂子月中落風軒一夜聊淹留金鷄鼓翼海色動暑氣融融天外浮俄頃玉龍湧扶桑紅波碧浪凝雙眸朝輝不變水與天照耀精光橫斗牛金盤呑吐大洋中洪波振蕩愁陽秋飛騰碧空散彩虹倏忽流光連九州朝朝暮暮西復東昇天入海無停輈玆樓勝狀天下無此日奇觀難比侔平生夢想今見之蕩盡胸中千緖憂長嘯拂袖下樓去顧視人世悲蜉蝣曦和曦和安得爾之壽獻吾君親長與爾兮同優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諸道文 全羅義兵大將帳下士安瑛等謹再拜通文于忠淸京畿黃海平安四道列邑守宰及鄕校堂長有司事竊以島夷不恭乘輿遠狩五廟灰燼萬姓塗炭此誠古今所未有之變而忠臣義士捐軀報國之秋也然而方鎭重臣觀望逡巡徵兵之敎不止一再而未聞有一人北首死敵者今日士大夫可謂負朝廷矣竊惟湖南素稱兵精而勤王之師纔到錦江都城失守訛言遠播主將未暇博詢衆議而遽爾傳令罷陣十萬之衆無故空還一道人心洶洶恰如狂瀾橫潰及其再度調兵而下民至愚不從其令漆室之憂實有所不忍勝言者幸賴社稷之福祖宗之靈潰卒日集軍聲大振庶幾肅淸宮禁奉迎鑾輅而人謀不臧天禍未悔零賊纔見大軍又潰委棄兵糧反藉寇賊嗚呼我朝列聖數百年涵養之餘豈可無一介敵愾之臣乎公論在下古人已稱其不幸草萊倡義亦知計非得已君父在難遑恤其他重念嶺南兩湖寔爲我東根柢而嶺南則義兵雖起而隔絶賊藪未易直至京邑以勤王室湖西千里之地又豈無義氣男子怯於殺掠之餘威想亦自救不暇今日中外所恃其不在於湖南一道乎肆我幕府出萬死之計鼓一方之衆民心思漢烈士雲集步騎之多已至五萬二千方將長驅北路以掃妖孼而千里運糧私力難辦如非好義諸君子合力相扶則非常之大功何能盡出於一人之手乎今日域中莫非王土兩湖之兵足以興復伏願諸公共奮殉國之志勉追指囷之義各出米粟以助軍食則能言距楊墨者是亦聖人之徒也且念山蹊險易道路迂直苟不藉鄕兵之指導亦難免倉卒之艱虞果能召募士人以張吾軍不但廟社深羞得以一灑而父子兄弟之死於鋒鏑者亦得瞑目於九原之下矣今日之事雖愚夫愚婦亦皆痛心疾首況列邑守宰咸受國恩豈忍坐視秦瘠必有投袂而起者矣語曰食人之食者死人之事如有聞風慷慨領兵來赴者願歃盤血共從王事或秖以糗資械輸送軍前是亦一助豈不美哉海西關雖曰道路不通各募可信之人從間道而出次次相傳母滯一刻則遠近聞之或將恃而不恐矣通文到日列邑鄕校堂長有司各謄一本傳諭境內士衆使之無不通知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결산서(決算書)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결산서(決算書) 수입 금액과 방매하여 마련한 현금을 사용하고 결산한 내용 수입(收入): 한광석(韓光錫) (正租 4斗), 한형리(韓亨履) (正租 5斗) 4石 5斗를 방매한 현금: 42,750원 지출(支出): 祭齋費(92,740원), 稅金(1,150원) *합계부족금: 26, 2675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미상년 이영휴(李永休) 시권(試券) 비봉(秘封) 고문서-증빙류-시권 李國煥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이영휴(李永休)가 21세 되던 해에 과거에 응시하며 작성한 시권 비봉 이영휴(李永休)가 21세 되던 해에 과거에 응시하며 작성한 시권(試券) 비봉(秘封)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6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5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會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11월 13일에 해남군 삼산면 창리(海南郡 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소득세 1期分 6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幼學李永休 年二十一 本驪州 居海南縣內二道白也峙里 外祖母率父 通德郞 洺祖 通訓大夫行高城郡守 叔鎭曾祖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世子師行資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經筵事 志完外祖 中訓大夫行司憲府持平兼春秋館記注官 李克仁 本延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미상년 이영휴(李永休)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李國煥 □…□ 9顆(5.8x5.8)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년에 이영휴가 문과 초시에 응시할 때 작성한 시권 상년에 이영휴가 문과 초시(初試)에 응시할 때 작성한 시권이다. 비봉(秘封)이 현전하지 않으나, 시권 뒷면에 '海南李永休'라고 기록된 종이가 확인된다. 시제(試題)로 논(論)과 대책(對策)이 출제되었으며 논(論)은 해서로, 대책(對策)은 초서로 작성되었다. 전라도 도사(都事)의 인장이 날인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3년 박해원(朴海源)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海源 光州牧使 使<着押> 光州牧使之印 3顆(7.2×7.2)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 11월 박해원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 1873년(고종 10) 11월 오산면(鰲山面)에 거주하는 박해원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해당 고을에 사는 하영수(河瀅秀)의 조모 남씨와 종조모 김씨의 열행이 조정에 닿아 정려가 내려졌다고 운을 떼면서, 하영수의 효성 또한 지극함을 말하고 있다. 하영수의 효행을 감영에 보고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광주목사는 11월 29일 내린 처결에 과연 흠탄할 만하지만 상부에 포양(褒揚)을 요청하는 것은 정해진 때가 있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鰲山面化民朴海源·金濟?·高時民等 謹排上書于城主閤下 細細垂察焉 伏以夫孝行之卓異 古所罕有 故時曰永言孝思 孝思維則 百行之源 一世之模 孰不欽仰哉 經曰武王周公 其達孝矣 參於三綱者 今此面中居士人河瀅秀其祖母南氏 其從祖母金氏孝烈卓異之行 已達於 天聽 至於旌閭 其實行班班 昭載文蹟 更不提說 而靈芝芝生 丹桂桂生 理固然也 士人河瀅秀 先當外艱哀毁擗踊之節超凡出類 一洞咸服 四隣稱仰 襄後行素三年 定省於墓側 不計寒暑 風雨終三年如一 而墓前階砌 不滿於意 定省之行 每抱一石 補築墓階 欲無有永 固無餘憾之意 物亦感誠其家狗日隨其後 亦含一石 又一日朔望之時 頓無蹤跡矣 忽含一雉而來 以添祭需 若非孝感 所致其在微物 胡至於感斯耶 豈非羲經 所謂信及豚魚者耶 又當內艱 三年行素 哀毁之節 定省之沈 亦如其初 奄及隆冬 一夜雪積 巷路將埋 難尋舊程矣 微彼雙狐 跟尋導行 僻路迷逕 一不錯足 乃復如舊 則推測 前以狗感 後以狐效 導誠孝之篤 出於天 感於物 不言可知 而忠臣必求孝子之門 斯人也 見用於時 忠亦可知 以若觀聽之道 爀世卓行絶無 而近有其在欽仰之地 不可以緘默 面議齊發 玆敢齊聲 仰籲于孝理之下 特爲轉報 毋至湮泯之地 千萬祈懇之至行下向敎是事城主 閤下 處分癸酉十一月 日 化民朴昌鉉 朴海普 高時瀯 朴正鉉 鄭善默 朴仁東 朴世東 高應杜 朴在東 高時鳳 朴愼東 高廷碩 朴宣東 朴泰東 金爀基使[着押][光州牧使之印](題辭)卓異之行果然欽歎而請褒之擧 自有其時向事卄九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628년 광주 광주향교(光州鄕校) 교적(校籍)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光州鄕校 牧使<着押> 光州牧印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28년 9월 초1일부터 1644년까지 光州鄕校에서 작성한 校籍. 光州鄕校에 소속된 학생의 명단을 수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갑인년 동면(東面) 절목(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 [興陽縣監之印] 13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 9월 9일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절목 갑인년 9월 9일에 흥양현(興陽縣)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절목(節目)이다. 서문에 따르면 흥양현 백성들의 풍속과 폐단의 혁파를 위하여 절목을 발급한다고 하였고, 이어 후록에서 백성들이 지켜야 할 사항들을 나열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