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金梓白 匪意賢閤宜人 奄忽違世 承訃驚愕 不能已已 伏惟伉儷義重 悲悼 況痛何可堪勝 新凉漸緊 不審服體何似 伏乞深自寬抑 以慰遠誠 梓事役▣…▣想無任賤忧 謹奉狀 伏惟俯察 不備謹狀辛未八月六日 金梓 疏上(皮封_前面)任實郡 聖壽面 三峯里李進士奎鎬氏 服座[郵便日附印: 全▣…▣, 6.9.18, 后4-8](皮封_後面)全州郡 淸水町▣…0.三金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의단자(賻儀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부의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53_001 무주(茂朱) 류리(柳里)에서 이진사(李進士) 기복(朞服)에 보내는 부의단자(賻儀單子) 보낸 물목은 별백지(別白紙) 10束 북포(北布) 2疋 단향(丹香) 3片 양촉(洋燭) 10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수와 운세를 풀이한 문복록(問卜錄) 문서 말미에 격시(格詩)가 쓰여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2년 최경렬(崔京烈) 등 궐석 판결문(闕席判決文)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朝鮮總督府判事 崔京烈 1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76_001 1932년 5월 2일에 전주지방법원 조선총독부 판사(全州地方法院朝鮮總督府判事) 아부강일(阿部剛一)이 발급한 궐석 판결문(闕席判決文) 원고(原告) 최경렬(崔京烈)이 피고(被告) 최응렬(崔應烈) 등에게 제기한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수속(土地所有權移轉登記手續) 관련 소송에 대한 판결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一 不動産ノ表示 左記ノ通リ此賣渡代金 九拾六圓也右不動産ハ拙者所有ノ處今般前記代金ヲ以テ貴殿ニ賣渡シ代金正ニ受領候事確實也然ル上ハ該不動産ニ對シ他ヨリ故障等申出ツル者有之候節ハ拙者ハ引受聊カ貴殿ニ對シ御迷惑相卦申間敷候爲後日賣渡證書仍而如件一 特約條件 ナシ昭和拾年參月貳拾八日任實郡聖壽面三峯里五百七拾六番地賣渡人 崔京烈[崔京烈]任實郡聖壽面三峯里貳百參拾番地買受人 李 豹 殿不動産ノ表示任實郡聖壽面三峯里九拾六番地垈貳百貳拾九坪 地價貳貳,九◦[登記番號第二三0號, 順位番號第七號]價格金四拾六圓也同 里八拾番地垈貳百五拾坪 地價貳五,◦◦[登記番號第五一七六號, 順位番號第五號]價格金五拾圓也進行第 號書記料金拾六錢也 司法代書人 許炳斗[司法代書人許炳斗][受附: 昭和拾年參月貳拾九日, 第壹九八壹號, 登記濟]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重封)建物所有保存登記三峰里九六番地(皮封)李豹三峰里九六番 垈二筆 登記八0番地 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0년 토지등기부(土地登記簿)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75_001 1930년 4월 26일에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가 발급한 토지등기 사실을 증명하는 토지등기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朴鍾求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01_001 1925년 음력 1월 25일, 계약인 박종구(朴鍾求)가 보증인 박경춘과 더불어 토세조(土稅租) 1석을 계약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1년 경락허가결정서(競落許可決定)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全南地方法院 朝鮮總督府判事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1년 12월 1일에 경매에서 임실군에 있는 전답을 낙찰받아 전주지방법원이 경매인에게 지급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3년 이규호(李奎鎬)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證記申請書)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99_001 1933년 3월 29일, 이규호(李奎鎬)가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신청한 토지 소유권 보전 등기 신청서에 첨부된 부동산의 목록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8년 안석원(安錫元)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安錫元 暗行御史 暗行御史[着押] 3顆(마패지름 9.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09_001 1878년 2월에 전라도 남원에 사는 안석원·이기충 등 유생 50인이 암행어사에게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남편의 생명을 연장시킨 이종도의 부인 청주 한씨와 이종익의 부인 광주 이씨의 뛰어난 열행을 임금께 보고하여 정려의 포상을 내려 줄 것을 청원한 상서 1878년(고종 15) 2월에 전라도 남원에 사는 안석원·이기충(李基忠) 등 유생 50인이 암행어사에게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남편의 생명을 연장시킨 이종도(李鍾道)의 부인 청주 한씨(淸州韓氏)와 이종익(李鍾益)의 부인 광주 이씨(廣州李氏)의 뛰어난 열행(烈行)을 임금께 보고하여 정려의 포상을 내려 줄 것을 청원한 상서이다. 효열(孝烈) 두 글자는 우주에 동표(棟標)이자 인륜에 벼리이기 때문에 조정에서는 정려하여 포상하는 은전이 있었고, 사림들은 밝히고 드러내는 도리가 있었다. 사람들은 이 중 하나도 행하기가 어려운데 하물며 효열을 모두 겸비한 경우라면 더욱 정포하고 드러내야 한다. 남원읍 왕지전(王之田)에 사는 선비 이현범(李玹凡)은 효령대군(孝寧大君)의 14세손이자 서원군(瑞原君)의 13세손이며, 고림군(高林君)의 12세손, 칠산군(柒山君)의 11세손, 호은공(壺隱公)의 10세손으로, 대대로 효행과 우애로 칭송되는 집안임을 온 고을 사람들이 모두 아는 사실이다. 이현범의 맏아들 종도(鍾道, 족보 이름은 會{各+日})는 청주 한씨 계륜(啓倫)의 딸과 혼인하였고, 셋째 아들 종익(鍾益)은 광주 이씨(廣州李氏) 상순(尙珣)의 딸과 혼인하였다. 이 두 부인은 모두 효부이자 열녀로, 혼인 전에는 부모를 봉양하는 데 한번도 법도를 어김이 없었으며, 지극한 정성으로 뜻을 유순하게 하고,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였으며, 혼인한 뒤로는 친정부모에게 했던 대로 시부모를 봉양하였다. 1869년(기사) 즈음에 맏아들 종도가 우연히 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그의 부인인 청주 한씨가 자신이 대신 아프게 해줄 것을 하늘에 빌고, 남편의 똥을 맛보면서 차도를 시험하여 모두를 감탄시켰다. 남편이 죽음에 이르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나온 피를 종도의 입에 넣어주어 5일 동안 생명을 연장시켰다. 그런데 또 셋째 아들 종익이 위중한 병에 걸려 몇 달 동안 앓게 되자 그의 부인 광주 이씨가 약을 마련하는 정성과 음식을 바치는 절도가 한씨의 지성과 똑같았다. 종익의 생명이 위독해지자 광주 이씨도 손가락을 잘라 피를 입에 넣어주어 열흘 동안 회생시켰다. 이렇듯 한 집안에서 두 열녀가 나오는 경우는 예로부터 보기 드문 일로, 예사로운 일도 숨겨서는 안되는 것인데 이런 뛰어난 열행(烈行)은 더욱 드러내야 할 일이다. 안석원 등은 모두 떳떳한 본성이 있기에 이 일을 듣고 공경하고 감탄하였으며, 보는 자들도 눈물을 흘렸다. 이에 암행어사에게 '한 집에서의 두 열녀의 뛰어난 행실을 긍휼히 여겨 임금께 보고하여 정포(㫌褒)하는 은전을 입어서 묻혀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해줄 것'을 청원하였다. 이 상서를 접수한 암행어사는 2월 28일에 '한 집안에서의 두 열녀의 실행을 들으니 매우 가상하다. 포양(褒揚)하는 은전은 더욱더 공의(公議)를 채집해야 할 일'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土地賣渡証書左記不動産을 李駿泳부터 本人■으게 信【貳字加入 壹字削】托ᄒᆞᆫ바 何時던 他人으게 賣買ᄒᆞᆫ 時ᄂᆞᆫ移轉書類에 捺印ᄒᆞ기로 右確實証書홈昭和八年貳月拾貳日証主 梁海宣[海宣]任實郡聖壽面三峰里李 駿 泳 殿記任實郡聖壽面三峯里 八二九 畓 一,三二八坪二四五 垈 一三○坪二五○ 田 三二三坪一九二 田 一,○一五坪六六三 田 二二六坪六七八 畓 三六三坪二三三 垈 二七○坪六八五 畓 一三五坪聖壽里 四二○ 田 五九一坪只沙面雁下里 二七 畓 五八五坪雁下里二七畓外五筆以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7년 대지건물매도증서(垈地建物賣渡証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朴允行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11_001 1927년(소화2) 음력 1월 23일에 박윤행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에 있는 대지와 체사를 타인에게 매도하면서 발급한 대지건물매도증서 1927년(소화2) 음력 1월 23일에 박윤행(朴允行)이 임실군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 대지(垈地)와 체사(體舍)를 매도하면서 발급한 대지건물매도증서(垈地建物賣渡証書)이다. 박윤행은 대금(代金) 50엔(円)을 받고 타인에게 매도하고 장래에 타인의 소유가 됨을 약속한다는 내용으로 매도증서를 작성하였다. 매도 대상 토지는 삼봉리의 2-8번지 대(垈)와 체사(體舍) 3칸, 행랑(行廊) 7칸이다. 문서 발급에 참여한 사람은 매도인 박윤행과 증인(證人) 이현승(李賢承)으로 이름자를 새긴 원형 도장에 붉은색 인주를 묻혀 찍어 서명하였다. 문서체는 한자를 기본으로 하여 이두가 자리했던 에, 한바, 을, 하고 등을 한글을 이용하여 적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