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44년 이근우(李根雨) 매매계약서(賣買契約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羅本鳳利 木子根雨 4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67_001 1944년 1월 20일에 나본봉리(羅本鳳利)가 목자근우(木子根雨)에게 발급한 매도계약증서(賣渡契約證書) 매도대금 190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一不動産ノ表示 末尾記載ノ通リ此賣渡代金 貳百五拾円也前記不動産ハ右代金領收シ貴殿ニ賣渡シタルコト確實也依テ后日該不動産ニ對シ他ヨリ異議ナキハ勿論ナルモ萬一有之候節ハ拙者ニ於テ負擔シ聯カ貴殿ニ御迷惑相掛申間敷爲后日本證書如件大正拾貳年六月貳日金堤郡下離面大松里五0番地賣渡人 金仁澤[金仁澤信]任實郡聖壽面三峰里貳參0番地買受人 李 虎 殿不動産ノ目錄土地ノ所在 | 土地ノ番號 | 土地ノ符號 | 地目 | 面積 | 價格任實郡聖壽面太平里 | 八百六拾參 | 壹 | 畓 | 八百九拾壹坪 (登記番號 第四九0號 第三番)以上[受附: 大正一四年五月一五日 第二,五三二號 登記濟][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皮封)烏川面 福興里 保存登記昭和八年三月卄九日陽岩四斗落賣渡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24년 이기호(李起鎬)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起鎬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 10월 13일에 신청자 이기호(李起鎬)가 김용식(金容植)을 대리인(代理人)으로 하여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표(李豹) 등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崔命錫 李豹 等 崔命錫章,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司法代書人許炳斗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소화10) 4월 10일에 매수인 이표·이대중이 최명석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임야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35년(소화10) 4월 10일에 이표(李豹)·이대중(李大仲)이 최명석(崔命錫)으로부터 임실군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峯里)의 임야(林野)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賣渡證書)이다. 매도증서에는 1935년 4월 10일자로 최명석이 자신의 소유 임야를 217원(圓)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1번지에 사는 매수인 이대중과 동리의 230번지에 사는 매수자 이표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표 등이 매입한 토지는 삼봉리 산 4번지 임야(林野) 14정(町)4반(反)7묘보(畝步)이다. 특약 조건은 없다고 적혀 있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 1장이 붙어 있으며 인지의 금액은 3전(錢)이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접수 번호인 수부일자(受附日字)와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소화 10년 5월 9일이며 수부번호는 제2972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와 순위가 기재되어 있는데 그 번호는 제6096호와 제2호로 적혀 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서사(司法書士)는 허병두(許炳斗)로 서기요금(書記料金) 16전(錢)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 渡 證 書一. 不動産ノ表示 左記ノ通リ此賣渡代金 貳百拾七圓也右不動産ハ拙者所有ノ處今般前記代金ヲ以テ貴殿ニ賣渡シ代金正ニ受領候事確實也然ル上ハ該不動産ニ對シ他ヨリ故障等申出ツル者有之候節ハ拙者ハ引受聊ヵ貴殿ニ對シ御迷惑相掛申間敷候爲後日賣渡證書仍而如件一. 特約條件 ナシ昭和拾年四月拾日任實郡聖壽面三峯里九拾五番地賣渡人 崔命錫[崔命錫]任實郡聖壽面三峯里貳百參拾壹番地買受人 李 大 仲 殿同 郡 同 面 同 里貳百參拾番地買受人 李 豹 殿不動産ノ表示任實郡聖壽面三峯里山四番地林野 拾四町四反七畝步 [登記番號: 第六0九六號, 順位番號: 第二號]以上[受附: 昭和拾年五月九日 第貳九六貳號 登記濟][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進行第 號, 書記料金拾六錢也 司法書士 許炳斗[司法書士許炳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출금표(出金票)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21_001 출금표(出金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표(李豹) 영수증(領收證) 1-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崔京烈 李豹 崔京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46_001 1935년(소화10) 4월 21일에 최경렬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토지매매 대금의 일부를 받고 이표에게 발급해 준 영수증 1935년(소화10) 4월 21일에 최경렬(崔京烈)이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의 토지매매 대금의 일부를 받고 이표(李豹)에게 발급해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영수증에는 50원(圓)을 기지(基地) 대금 잔액 70원 중의 일부로 정히 영수한다고 적었다. 영수한 일자를 소화10년 4월 21일로 적고 영수자 최경렬의 이름자를 적고 붉은색 원형도장을 찍어 서명하였다. 관련 문서를 통해 볼 때 앞서 최경렬은 이표에게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의 대지와 산림 5필지를 매도하고 총 420원(圓)을 받기로 하고 매매계약서를 작성하였으며 당일인 1935년 3월 28일에 200원을 받았다. 최경렬은 그 후 남은 대금 220원에 대하여 음력 2월 29일(양력 4월 2일)에 150원, 4월 21일에 50원, 5월 10일에 20원을 받아 모두 영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証一金五拾圓也 右金은 基地代金殘額七拾圓中 正히 領受候也昭和拾年四月卄一日 崔京烈[崔京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차용금 신청서 사정(借用金申請書査定)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21_001 차용금 신청서 사정(借用金申請書査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5년 이표(李豹) 토지급산림매매계약증서(土地及山林賣買契約證書) 1-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崔京烈 李豹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46_001 1935년(소화10) 3월 28일에 매도인 최경렬과 매수인 이표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대지와 산림을 매매하면서 함께 발급한 토지급산림매매계약증서 1935년(소화10) 3월 28일에 매도인(賣渡人) 최경렬(崔京烈)과 매수인(買受人) 이표(李豹)가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의 대지와 산림을 매매하면서 함께 작성한 토지 및 산림매매계약증서(土地及山林賣買契約證書)이다. 계약증서에는 최경렬이 매매 대상 토지를 별지(別紙) 목록으로 첨부하여 이표로부터 대금 420원(圓)을 받고 매도하며 그 중 200원을 먼저 받는다고 하였다. 물건을 파는 사람은 앞으로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는 사람이 요구하는 전액을 지불하기로 계약하였다. 매각대금 잔액 220원은 소화10년 음력 2월 말일까지 매주에게 지불하기로 하며 만약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매도인의 요구대로 전액을 지불하기로 약속한다고 하고 증서 2통을 만들어 각 1통씩 소지한다고 하였다. 계약서를 적은 이후에는 매도인과 매수인의 순서대로 주소와 이름자를 적고 원형주인을 찍어 서명하였다. 매도인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96번지에 사는 최경렬이며, 매수인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표이다. 부기(附記)에는 거래 토지 목록 중 96번지의 지상 건물과 부속 건물 일체로 함께 넘긴다고 하였다. 별지에 적힌 부동산 목록은 총 5필지로 다음과 같다. ①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96번지 대(垈) 229평(坪), ②동리(同里) 80번지 대(垈) 250평, ③동리(同里) 4번지 산림(山林) 14정(町) 4반(反) 7묘보(畝步), ④동리(同里) 120번지 산림 813평, ⑤동리(同里) 698번지 산림 10,487평의 안쪽 부분이다. 문서의 형태로 보아 3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계약서 부분은 2장, 부동산 목록은 1장이다. 두 문서를 하나로 묶기 위해 종이를 돌려 말아 꼰 실을 사용하였다. 본 문서는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겸하항웅(鎌賀恒確)이 작성하였다. 동일문서가 1건 더 있는 것으로 보아 각각 나눠 가진 것이거나 그 부본으로 보인다. 총 3장으로 이루어진 문서의 매(每)장마다 겹치는 가운데 부분에 이표와 최경렬의 도장을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0년 이규호(李奎鎬)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朝鮮殖産銀行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75_001 1930년 4월 30일에 임실군 성수면에 사는 이규호(李奎鎬)가 조선식산은행(朝鮮殖産銀行)에 보낸 영수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3년 이규호(李奎鎬)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證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李奎鎬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99_001 1933년 3월 29일, 이규호(李奎鎬)가 전주지방법원 임실 출장소(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에 토지 소유권 보전을 위한 등기를 신청하고 발급받은 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