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全齋先生年譜印刷件年譜 九十六張附錄上 九十一張附錄下 七十一張改■〔印〕九張合貳百六十■(五)〔七〕張 印刷工価壹百七十三元五十五戔粧冊 七百五十卷 工価六十元龜価 五元正草費 三元六十戔雜用 三元三戔又 二十三戔以上都計 貳百四拾五圓四拾壹戔餘鑄費 三十八元別下 十三元五十戔 幷前後監印及賓客飯床 四百十四床 【四朔十八日, 每朔五斗式】白米 二十三斗【十五斗 一元七戔, 八斗 一元十戔】代 二十四元八十五戔內■…■(白紙代餘条二十二元六十八戔餘之則)■…■(餘在二元十七戔)白紙二十七塊代 三百0一元六十八戔來往路費 三十一元十二戔運料幷雜項 二十二元八十四戔以上都計 六百七十七元八十四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이동우(李棟宇) 증조(曾祖) 이장욱(李長旭)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李長旭 1顆(10.6×10.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98_001 1892년 6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동우의 증조인 이장욱을 통훈대부 사복시정에 추증한 4품이상고신 1892년(고종 29) 6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동우의 증조인 이장욱을 통훈대부 사복시정에 추증한 4품이상고신이다. 통훈대부 사복시정 품계는 정3품 당하관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며, 연호의 좌우방(左右傍)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의 증조를 법전에 따라 추증한다'라는 추증사유가 방서(傍書)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누나 언간(諺簡) 2-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193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30_001 1933년 2월 19일과 29일에 누나가 객지에 있는 남동생에게 쓴 한글 편지 두 건 편지지 두 묶음과 편지봉투로 구성되어 있다. 편지지 두 묶음의 발신일은 열흘 정도 차이가 나지만, 하나의 편지봉투에 넣어서 발송한 것으로 보인다. 모두 〈1933년 누나 언간(諺簡) 1〉과 비슷한 시기에 작성한 것으로 발신자 및 수신자가 동일하다. 1933년 양력 2월 29일에 누나[누]가 객지에 있는 남동생[아ᄋᆞ]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편지지 두 장이 한 묶음이다. 편지지와 함께 전하는 봉투 기록에 따르면, 발신자는 남원군(南原郡) 주생면(周生面) 상동리(上洞里)에 사는 윤용호(尹龍鎬)이고, 수신자는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에 사는 이근우(李根雨)이다. 따라서 봉투의 발신자 윤용호는 누나와 함께 살고 있는 세대주를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편지는 '동생 살피시오[동ᄉᆡᆼ 살피소]'로 시작하여 동생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있는데, '우리 남매'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수신자는 남동생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長旭贈通訓大夫司僕寺正者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五衛將光緖十八年六月 日曾祖依法典 追贈[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봉투 앞면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 根 雨 殿봉투 뒷면南原郡 周生面 上洞尹龍鎬ヨリ편지2-1동ᄉᆡᆼ 살피소우디 남ᄆᆡ 니만ᄒᆞᆫ 슈디도 근고 기ᄂᆡ오니 향ᄋᆡ 업서서 그런 거시 안니라 니 곳 누ᄋᆡ 어문 넘〃디 못ᄒᆞᆫ ᄐᆞ시요 그러고 기ᄂᆡ지 우리남ᄆᆡ 정ᄋᆡ ᄉᆞ이 ᄃᆡ간실ᄀᆞ ᄉᆞ람은 늑고나 으둑ᄉᆞ ᄋᆞ오 남ᄆᆡ 정으고 부모 정도 ᄌᆞ〃손 ᄆᆞᆫ하 우디 남ᄆᆡ 수서 ᄌᆞ로 반기미 업ᄉᆞ이 동ᄉᆡᆼ ᄉᆡᆼ각기ᄂᆞᆫ 균이 업서기구은 글 ᄉᆡᆼ각ᄒᆞ지나 건강홈 ᄉᆡᆼ각군답ᄒᆞ고 실푼 ᄆᆞᄋᆞᆷ 안 수 갈망못되시니 누계 뎐한고 으디 남ᄆᆡ 상봉 ᄒᆞ먼 첩〃 장강 설화 반분이나풀ᄀᆞᄒᆞ나 그런 말 저런 말 다 두고계유연 니월 염구닐편지2-2잇ᄃᆡ ᄀᆡ츈 닐기 고로온ᄃᆡ 동ᄉᆡᆼ 귀즁신체 경강 다식ᄒᆞᆫᄀᆞ 우디아마님게서도 심화로 기ᄂᆡ신 즁안영ᄒᆞ신ᄀᆞ 복염미시 지길 남ᄆᆡ 츙실ᄒᆞᆫᄀᆞ 소ᄃᆡᆨ 무고ᄒᆞ신ᄀᆞ ᄀᆡᆨ디의 잇ᄂᆞᆫ동ᄉᆡᆼ 소식 굼〃ᄒᆞᆫᄀᆞ 각처동ᄉᆡᆼ덜 소식두 아시먼 두로 알고싯푸오실 곳 업ᄂᆡ 니곳ᄉᆞᆫ 무고용ᄒᆞᆫ 여려 남ᄆᆡ 츙실 용ᄒᆞᆫ 웃함괴목 가니 심중〃〃 원수ᄌᆡᄉᆞᆫ 문〃고창 소식 드란 디 닐포 되니 굼〃적글 말 첩〃ᄒᆞ나 슈〃 니만 근처 눌네살피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39년 이근우(李根雨) 엽서(葉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李根雨 父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소화14) 2월 13일에 이근우가 고향 아버지께 안부와 어떤 물건의 주문을 위해 보낸 엽서 편지. 1939년(소화14) 2월 13일에 이근우(李根雨)가 고향 아버지께 올린 엽서(葉書) 편지이다. 문서 상단이 박락되어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아버지께 안부를 묻고 무언가를 주문해 주기를 청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葉書_外面)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根雨 本第入納裡里 馬洞町 二六一の二李根雨[郵便日附印: 裡里, 14.2.13, 后0-4](葉書_內面)父主前 上書…▣紙은 잘 밧아 보앗슴니다…▣一向万康하옴닛…▣前氣力一向万康…▣시며 집안도 아무…▣슴닛가…▣心 하오시요…▣異常이 잇사…▣에 부탁한…▣(十八円)만 注文하…▣시오 注文하엿스면…▣로 葉書一枚하여…▣주시오. 말할수…▣此時 몸에 주이하시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44년 이근우(李根雨)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4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67_001 1944년 1월 20일에 나본봉리(羅本鳳利)가 목자근우(木子根雨)에게 매도시 발급한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진안군 성수면 구신리(鎭安郡 聖壽面 求臣里) 995번지 등 3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4년 이근우(李根雨) 등기의무자 확인 보증서(登記義務者確認保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6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67_001 1944년 1월 20일에 나본봉리(羅本鳳利)가 목자근우(木子根雨)에게 발급한 등기의무자 확인 보증서(登記義務者確認保證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文爲通諭事鄒夫子不云乎事孰爲大事親爲大守孰爲大守身爲大盖事親竭力者孝之至誠也守身盡心者守之大本也而側聞 貴郡富安面處士鄭溵弼系出東萊卽藝文舘應敎公諱承甫之十七代孫大護軍諱絪之十六代孫吏曺判書諱昇之十五代孫禮曺判書諱可宗之十四代孫吏曺判書 賜號楓川公諱守弘之十三代孫進士諱任之十二代孫生員進士行通訓大夫諱孝孫之十一代孫參奉公諱確之十代孫甲山府使諱緝之八代孫也而道義家風簮纓世德海東巨族湖南望閥也斯人粤自孩提誠孝根天仁善過人年甫十歲家貧親老全無奉供之道樵山漁水可肩隱淮之蕫生越境有方不下負米之仲由怡悅承順一以養志遽當親癠百方藥餌一心調治及其丁憂也哀毁悲泣之聲四隣來吊者莫不悅服行素食粥三年廬墓事死如生每當忌日前三日齋沐哀慕悲號之痛復如袒䄆〖括〗之日孝之至誠也年高七十杜門蔵蹤不求名譽守口如甁防意如城守之大本也言忠行篤足不入亂方口不道惡言齊家訓子之節可謂當世隱淪之士故累登於鄕道之薦 春曺之 啓而尙未蒙天聼之恩宲是公議之欠典故際玆䟽廳士論齊聲 登聞之意玆以發通惟願 僉執史以若實行無至泯沒於草野之地幸甚右敬通于古阜鄕校庚辰四月日 [印]全州長舘道會䟽廳發文多士 朴海昇 李啓鎬 崔遇亨 金龍洙 鄭海斗 金堯文 李秉德 安璣亨 李秉憲 趙鍾台 宋德洙 柳寅燁 朴蓍東 金龍祖 柳萬卷 金潤瓊 張時爀 成載奎 金漢龍 黃基煥 朴台東 李東鑚 朴時昌 南鑚 洪鍾浩 申興模 金相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5년 충훈부호남소청(忠勳府湖南疏廳)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忠勳府 湖南疏廳 古阜鄕校 1顆(墨印, 7.2×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72_001 1885년 7월 충훈부 호남소청 창평 진사 박중희와 남원 고종주 등 전라도 열 아홉 지역 19인이 고부향교에 널리 공의를 모아서 장은필의 실행과 실효에 대해 다시 관에 아뢰어 순찰사에게 전보하고 임금께 계달하게 하여 이 뛰어난 효성이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포상의 은전을 입게 해 줄 것을 촉구한 통문 1885년(고종 22) 7월 충훈부 호남소청 창평 진사 박중희(朴仲熙)·남원 고종주(高宗柱) 등 전라도 열 아홉 지역 19인이 고부향교(古阜鄕校)에 널리 공의를 모아서 장은필의 실행(實行)과 실효(實孝)에 대해 다시 관에 아뢰어 순찰사에게 전보(轉報)하고 임금께 계달(啓達)하게 하여 이 뛰어난 효성이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포상(褒賞)의 은전을 입게 해 줄 것을 촉구한 통문이다. 교화를 세우고, 그 마을에 표하는 것은 하·은·주 때부터 이미 해왔던 일인데 하물며 지금 우리 나라 사람 중 타고난 효성과 뛰어난 행실로 고을에 천거되어 드러난 자가 있으니 사림이 일제히 포상해야 한다는 뜻을 드러냈다. 호남소청이 듣기로는 전라도 고부군에 사는 선비 정은필은 동래(東萊)에서 계출(系出)한 즉 이조판서로 임금께 하사받은 호 풍천(楓川) 수홍(守弘)의 후예로, 어렸을 때부터 품성이 순후(純厚)하여 일찍 가훈을 계승했다. 부모를 효성으로 섬겨 아침저녁으로 안부를 살피고, 부모의 뜻과 의식(衣食)을 봉양함에 정성을 다하였다. 부모상을 당하여서는 장례 절차와 곡하며 우는 애통함을 모두 『가례』를 따라 3년상을 마쳤다. 어진 명성이 전해진 곳에 곧 인리(仁里)를 이루니, 행인들이 그 동네를 가리켜 효자동(孝子洞)이라 하고, 사는 사람들이 그 문을 가리켜 효자문(孝子門)이라고 하였다. 이때문에 호남소청은 그가 타고난 순수한 효성이 아니라면 이 경지에 이를 수 없다고 여겼으며, 그와 한 지역에 살고 있어 이미 그의 실적을 귀에 익숙하게 듣고서 매우 감탄하며 존경하였다. 호남소청에서 지금 문헌공(文憲公)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1527~1572), 문효공(文孝公) 옥계(玉溪) 노진(盧禛, 1518~1578), 문충공(文忠公) 사암(思菴) 박순(朴淳, 1523~1589), 문절공(文節公)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1513~1577), 문경공(文敬公) 일재(一齋) 이항(李恒, 1499~1576) 등 다섯 선생을 문묘에 배향할 것을 복합상소(伏閤上疏)하는 일로 모두 모였는데 이 일에 공의(公議)가 일제히 일어나 고부향교에 통문을 보내, 고부향교에서 널리 공의를 모아서 장은필의 실행(實行)과 실효(實孝)에 대해 다시 관에 아뢰어 순찰사에게 전보(轉報)하고 임금께 계달(啓達)하게 하여 이 뛰어난 효성이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포상(褒賞)의 은전을 입게 해 준다면 매우 다행이라는 뜻을 알렸다. 충훈부 호남소청 열 아홉 지역은 창평, 남원, 김제, 전주, 나주, 광주, 보성, 영광, 흥덕, 부안, 태인, 금구, 장성, 익산, 용담, 장수, 고산, 임실, 고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文爲通諭事樹之風聲表厥宅里自三代上已然况今我 東國人有出天之孝卓異之行州貢鄕升以爲闡揚者豈無士林之齊褒乎窃聞本道貴郡士人鄭殷弼系出東萊即吏曺判書大司憲 賜號楓川諱守弘後裔也自在幼時稟性純厚早襲家訓孝事恃怙晨昏之省志口之養靡不用極眞可謂罕世之篤孝也及其丁憂送終之節哭泣之哀一遵朱文公家禮終其三年大舜之孺慕曾子之至孝可謂匹美倂休矣仁聲所及便成仁里行路指其洞曰孝子洞居人指其門曰孝子門大抵原其賦性苟非根天之純孝豈如是至斯乎鄙等居在同省耳擩已熟不勝欽歎而敬服矣迨此 文憲公奇高峰文孝公盧玉溪文忠公朴思菴文節公柳眉巖文敬公李一齋五先生陞廡請䟽事伏閤僉會公議齊發玆以通告惟願 僉君子博采公議斯人實行實孝更爲稟官轉報 棠軒啓達 楓陛使此卓異之孝無至泯沒而特蒙褒賞之典幸甚右敬通于古阜鄕校乙酉七月 日 忠勳府湖南䟽廳發文 昌平進士朴仲熙 南原高宗柱 金堤李容煥 全州幼學朴義陽 羅州羅恒集 光州朴誠東 寶城宋鼎會 靈光金思敬 興德幼學白鳳洙 扶安金奉柱 泰仁李秉淳 金溝崔基星 長城金堯奭 益山金在聲 龍潭成載奎 長水梁孝源 高山幼學吳益善 任實朴齊一 古阜鄭海斗[湖南䟽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신유년 입사문기(立嗣文記) 초안(草案) 고문서-증빙류-입후성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유년에 후사를 세우기 위해 작성한 명문의 초안 신유년 10월 28일에 작성한 입사(立嗣) 명문으로, 어느 집안에서 작성한 것인지는 미상이다. 고조(高祖)의 사손(嗣孫)인 대기(大基) 씨가 아들 없이 일찍 세상을 떠나 종사(宗嗣)를 의탁할 곳이 없자, 병기(炳基)의 둘째 아들인 상선(相善)을 후사로 세워서 향사(享祀)를 받들게 하는 것이 인정으로나 의리에도 맞을 것이라는 문중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 명문이 작성되었다. 사람에게 변고가 있으면 사당에 고하여 후사를 세워 그로 하여금 대신 잇게 한다는 우암(尤菴) 송시열이 말한 규례를 따른다는 것을 근거로 내세웠다. 부자(父子)는 사람의 대륜(大倫)이고, 양자로 나가서 다른 아버지를 섬기는 것은 인도(人道)의 지극한 변고이지만, 지극한 변고를 통해 큰 인륜을 대처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명을 지극히 신중하게 한 뒤에야 비로소 다른 사람에게 큰 인륜을 옮길 수 있는데, 부모가 없는 경우는 제 마음대로 남의 후사로 나갈 수 없고, 아버지의 명이 있는 경우라도 제 마음대로 계후(繼後)를 깰 수 없다. 우리나라 법전에 아비와 어미가 모두 죽은 경우는 일체 후사로 세우는 것을 허락하지 않지만, 상황이 불쌍한 경우는 한쪽의 아비와 어미, 또는 문장(門長)이 상언(上言)하여 입후를 허락받는 조항이 있는데, 우리 종형(從兄) 부부가 모두 사망하여 받을 사람이 없으므로, 상황이 불쌍한 경우의 조항에 따라서 명문을 작성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훗날 다른 말을 하는 경우가 있으면 이 문기를 가지고 바로잡을 것이라고 끝맺고 있다. 앞에서 말한 법전 조항은 《경국대전》 〈예전(禮典) 입후(立後)〉를 근거로 하고 있다. 그 조항에, "적처와 첩 모두에게 아들이 없는 경우, 관아에 고하여 동성동본의 지파 자식 항렬의 사람을 후사로 세운다. 양가의 아비가 함께 명하여 후사로 세우되, 아비가 죽고 없을 경우 어미가 관아에 고한다."라는 조항과 "동종(同宗)의 장자를 후사로 삼으려는 경우 및 일방의 아비와 어미가 모두 죽은 경우는 일체 허락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2년 이동우(李棟宇) 조비(祖妣) 유인안씨(孺人安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孺人安氏 1顆(10.7×10.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98_001 1892년 6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동우의 조모이자 이회구의 부인인 유인 안씨를 종부직 숙부인으로 추증한 4품이상고신 1892년(고종 29) 6월에 임금의 명에 따라 이동우의 조모이자 이회구의 부인인 유인 안씨를 종부직(從夫職) 숙부인(淑夫人)으로 추증한 4품이상고신이다. 숙부인은 정·3품 당산관의 부인에게 내리는 작호(爵號)이다. 발급 연호 위에 어보(御寶)인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있으며, 연호의 좌우방(左右傍)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의 조비를 법전에 따라 추증한다'라는 추증사유가 방서(傍書)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安氏贈淑夫人者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五衛將光緖十八年六月 日祖妣 依法典 追贈[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누나 언간(諺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193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30_001 1933년 양력 2월 19일에 누나가 객지에 있는 남동생에게 쓴 한글 편지 1933년 양력 2월 19일에 누나[누]가 객지에 있는 남동생[아ᄋᆞ]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편지지 두 장과 편지봉투로 구성되어 있다. 편지지와 함께 전하는 봉투 기록에 따르면, 발신자는 남원군(南原郡) 주생면(周生面) 상동리(上洞里)에 사는 윤용호(尹龍鎬)이고, 수신자는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에 사는 이근우(李根雨)이다. 따라서 봉투의 발신자 윤용호는 누나와 함께 살고 있는 세대주를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편지는 '아우 보아라[ᄋᆞ오 보와라]'로 시작하여 객지에 있는 아우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내용이다. 〈1933년 누나 언간(諺簡) 2〉와 발신일, 발신자, 수신자가 모두 동일하다. 〈1933년 누나 언간(諺簡) 2-1〉과 비슷한 시기에 작성한 것으로 발신자 및 수신자가 동일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봉투 앞면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 根 雨 氏殿親展봉투 뒷면南原郡 周生面 上洞里尹龍鎬ヨリ一九三三、 陽二月十九日편지1ᄋᆞ오 보와라오간 너 소식 못 드라니 굼〃ᄒᆞ여서 두워 자 적ᄂᆞᆫᄃᆞ 잇ᄃᆡ ᄀᆡ춘의 객디의서 동ᄉᆡᆼ 귀즁 신처 건강 다식공과도 잘ᄒᆞᆫᄀᆞ 굼〃ᄒᆞᆫ ᄆᆞᄋᆞᆷ ᄆᆞᆫ상 노이제 안ᄒᆞᄃᆞ 부ᄃᆡ〃〃 몸 조심〃〃ᄒᆞ여 간고 공부ᄒᆞᄅᆞ ᄋᆞᆫ간시업분닷 시〃 문간ᄒᆞᆫᄃᆞ 본ᄀᆞ 소식굼〃ᄒᆞ야 ᄋᆞ오님 구근ᄒᆞ섯다니 섭〃ᄒᆞᄃᆞ 방학ᄒᆞ고편지2본ᄀᆞ 오야 두로 안고싯푸다 니곳 누ᄂᆞᆫ 무고 용ᄒᆞᆫ 여러 ᄂᆞᆷᄆᆡ 츙실용ᄒᆞᆫ 웃학괴 시엽 못가니심즁〃〃 융슈하신 문〃ᄒᆞᄃᆞ긔시 시모ᄂᆞᆫ 것 보기 실코 잇디ᄒᆞᆫ고 더옥 제 심중〃〃ᄒᆞᆫ 것 보기 실고적글 말 첩〃ᄒᆞ나 슈안 즁 니만 슨ᄂᆞᆫᄃᆞ 후ᄎᆞ 자시 ᄒᆞ마 니후 객디서 무고 소식 고츅〃〃 무굼 소식두 일야어 문너ᄋᆞ〃ᄒᆞ면 편디 ᄒᆞᆫ 번 하고 싯푸나 워서ᄒᆞᆫ터니 니 못ᄒᆞᆫᄃᆞ 원슈 너ᄋᆞ〃니 못ᄒᆞ니 문〃계유 니월 슌구일 그린 누 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39년 운전(雲田)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雲田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4월에 운전이 회당 이규호에게 자신의 금강산 관광 소식과 그 감회를 시로 적어 보낸 엽서 편지. 1939년(소화14) 4월 18일에 운전(雲田)이 회당(晦堂) 이규호(李奎鎬)에게 보낸 엽서(葉書) 편지이다. 자신이 수일전에 금강산에 들어와 관람중이며 천신만고 등의 어려움은 입으로 형용할 수가 없으나 관람의 즐거움은 무엇과도 맞먹을 수 없다며 관광 중에 읊었던 몇 구절의 시를 만나서 올릴 것이며 우선 시 한 수를 올린다고 적었다. 7언 절구 1수가 함께 적혀 있다. 수신자 회당 이선생의 주소는 전북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葉書_外面)全北 任實郡 聖壽面 三峰里李進士晦堂先生金剛路中 雲田 生拜[郵便日附印: ▣…▣, 14.4.17, 前8-12][郵便日附印: 全北·舘村, 14.4.18, 前8-12](葉書_內面)阻懷不提仰 未審花煦經體節萬旺 仰頌仰頌 弟數日前入金剛山 千辛萬苦 口不可形 觀覽之娛 萬不敵棲屑之苦 而身亦未健耳 路次偶吟幾節詩 故一首仰呈 掀髥一噱仰望 來不備紙筆 故畧此草草旣數其身又出家 三春荏苒從莊雪路當斷髮愧蒸沙 萝木蕭森不見花寄跡名山皆極樂 歸程若話金剛錄葢顯雲衲亦豪奢 半是人形半佛跏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