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五十九年甲寅十二月初六日 幼學張漢臣前明文右明文事段 買得耕食是在 移買次 縣地內西面滄浪坪伏在陽字田一斗五升落只負數五卜四束庫果同坪同字畓二斗落只負數四卜四束庫乙 價折錢文二十一兩五戔依數捧上爲遣 右人前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段 他文記幷付 故不得出給爲去乎 日後如有雜談則 持此文卞 正事田畓主自筆幼學金弘佐[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8년 이준영(李駿永)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永昌堂藥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3월 6일에 영창당약방의 최창영이 이준영에게 심현탕 1부 값 10원을 받고 이를 증빙하고자 작성해 준 영수증 1928년 3월 6일에 영창당약방(永昌堂藥房)의 최창영(崔彰永)이 이준영(李駿永)에게 심현탕(心腎湯) 1부(副) 값 10원을 받고 이를 증빙하고자 작성해 준 영수증이다. 받는 사람만 새로 기재한 것이고, 약방의 주소, 대표자명, 전화번호 등이 적힌 고무인을 좌측 하단에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李駿永 氏 殿戊辰 允二月 一日 心腎湯 一副 在條 十円也戊辰 三月 六日 蔘茸唐 朝鮮 全州 本町 二丁目草藥材 永昌堂藥房貿易商崔彰永電話 四六九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0년 이규호(李奎鎬) 연부상환금 차용증서(年賦償還金借用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朝鮮殖産銀行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16_001 1930년 5월 25일부터 12월 25일까지 차주(借主) 이규호(李奎鎬)가 조선식산은행(朝鮮殖産銀行)으로부터 1,500원圓을 차용하면서 작성한 증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4년 장한신(張漢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弘佐 張漢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4년(정조18) 12월 6일에 전답주 유학 김홍좌(金弘佐)가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평에 있는 전답을 유학 장한신(張漢臣)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794년(정조18) 12월 6일에 전답주(田畓主) 유학(幼學) 김홍좌(金弘佐)가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내서면(內西面) 창랑평(滄浪坪)에 있는 전답을 유학 장한신(張漢臣)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홍좌는 자신이 매득하여 갈아 먹던 전답을 다른 땅으로 옮겨 사기 위하여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창랑평에 있는 양자(陽字) 전(田) 1두 5승락지(결부수: 5부 4속)와 양자 답(畓) 2마지기(결부수: 4부 4속)이다. 이 전답을 전문(錢文) 21냥 5전을 받고 팔았으며, 본문기는 다른 문기와 함께 붙어 있어서 내어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전답주 김홍좌 1인이다. 전답주가 자필(自筆)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창랑평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서약서(誓約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任實金融組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21_001 서약서(誓約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박내현(朴乃見)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鄭尙金 朴乃見 鄭尙金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43_001 1933년(소화8) 음력 7월에 정상금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182번지 임야를 매도하면서 매수자 박내현으로부터 대금을 받고 작성해 준 영수증 1933년(소화8) 음력 7월에 정상금(鄭尙金)이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 182번지 임야를 매도하면서 매수자 박내현(朴乃見)으로부터 대금을 받고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영수증에는 일금 25엔(円)을 확실히 영수하였다는 내용을 기록한 후 영수인의 주소(임실군 오천면 선천리)와 영수인의 이름(정상금)을 기록하고 붉은색 원형 도장을 찍어 서명하였다. 일자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받는 이 부분이 공란 처리 되어 있으나 관련 매매문서를 통해 매매계약일자가 소화 8년 음력 7월 10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매매가격이 25엔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영수증도 그 당시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서작성에 사용된 언어는 국한문혼용으로 전체 내용을 한자로 적은 뒤 '을' 1자만을 한글로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証一. 金貳拾五円也右金을 確實領收候也任實郡烏川面仙川里領收人 鄭尙金[鄭尙金]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5년 이표(李豹) 토지급산림매매계약증서(土地及山林賣買契約證書) 1-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崔京烈 李豹 5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46_001 1935년(소화10) 3월 28일에 매도인 최경렬과 매수인 이표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대지와 산림을 매매하면서 함께 발급한 토지급산림매매계약증서 1935년(소화10) 3월 28일에 매도인(賣渡人) 최경렬(崔京烈)과 매수인(買受人) 이표(李豹)가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峰里)의 대지와 산림을 매매하면서 함께 작성한 토지 및 산림매매계약증서(土地及山林賣買契約證書)이다. 계약증서에는 최경렬이 매매 대상 토지를 별지(別紙) 목록으로 첨부하여 이표로부터 대금 420원(圓)을 받고 매도하며 그 중 200원을 먼저 받는다고 하였다. 물건을 파는 사람은 앞으로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는 사람이 요구하는 전액을 지불하기로 계약하였다. 매각대금 잔액 220원은 소화10년 음력 2월 말일까지 매주에게 지불하기로 하며 만약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매도인의 요구대로 전액을 지불하기로 약속한다고 하고 증서 2통을 만들어 각 1통씩 소지한다고 하였다. 계약서를 적은 이후에는 매도인과 매수인의 순서대로 주소와 이름자를 적고 원형주인을 찍어 서명하였다. 매도인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96번지에 사는 최경렬이며, 매수인은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표이다. 부기(附記)에는 거래 토지 목록 중 96번지의 지상 건물과 부속 건물 일체로 함께 넘긴다고 하였다. 별지에 적힌 부동산 목록은 총 5필지로 다음과 같다. ①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96번지 대(垈) 229평(坪), ②동리(同里) 80번지 대(垈) 250평, ③동리(同里) 4번지 산림(山林) 14정(町) 4반(反) 7묘보(畝步), ④동리(同里) 120번지 산림 813평, ⑤동리(同里) 698번지 산림 10,487평의 안쪽 부분이다. 장수로는 3장으로 계약서부분 2장, 부동산 목록 1장이다. 두 문서를 하나로 묶기 위해 종이를 돌려 말아 꼰 실을 사용하였다. 본 문서는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겸하항웅(鎌賀恒確)이 작성하였다. 동일문서가 1건 더 있는 것으로 보아 각각 나눠 가진 것이거나 그 부본으로 보인다. 총 3장으로 이루어진 문서의 매(每)장마다 겹치는 가운데 부분에 이표와 최경렬의 도장을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3년 이호(李虎)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金仁澤 李虎 司法代書人文昌源, 金仁澤信,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대정12) 6월 2일에 이호가 김인택으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태평리의 논을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23년(대정12) 6월 2일에 매수인(買受人) 이호(李虎)가 매도인(賣渡人) 김인택(金仁澤)으로부터 임실군(任實郡) 성수면(聖壽面) 태평리(太平里)의 논을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賣渡證書)이다. 매도증서에는 1923년 6월 2일자로 김인택이 자신의 논을 250엔(円)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호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호가 매입한 토지는 태평리 863-1번지 답(畓) 891평이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 2장이 붙어 있으며 금액은 15전(錢)어치이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등기를 접수하여 처리한 수부연월일(受附年月日)과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대정12년 5월 15일이며 접수번호는 제2532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인 두 곳 대지 기록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와 순위가 적혀 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대서인은 문창원(文昌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표(李豹)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崔鍾烈 李豹 崔鍾烈,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司法代書人許炳斗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소화10) 4월 10일에 이표가 최종렬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의 임야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 1935년(소화10) 4월 10일에 이표(李豹)가 최종렬(崔鍾烈)로부터 임실군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峯里)의 임야(林野)를 매입하고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제출한 매도증서(賣渡證書)이다. 매도증서에는 1935년 4월 10일자로 최종렬이 자신의 소유 임야를 9원(圓)을 받고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230번지에 사는 이표에게 매도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표가 매입한 토지는 삼봉리 120번지 임야(林野) 813평이다. 특약 조건은 없다고 적혀 있다. 매도증서의 우측 상단에 일본정부에서 받은 수입인지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문서에는 붙어 있지 않다. 등기제인(登記濟印)에는 접수 번호인 수부일자(受附日字)와 수부번호가 적혀 있는데 수부연월일은 소화 10년 5월 9일이며 수부번호는 제2962호이다. 거래 대상 토지 상단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록번호와 순위가 기재되어 있는데 그 번호는 제6095호와 제2호로 적혀 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담당한 등기소는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이며, 이 서류를 작성하여 처리를 담당해 준 사법서사(司法書士)는 허병두(許炳斗)로 서기요금(書記料金)으로 16전(錢)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 渡 證 書一. 不動産ノ表示 左記ノ通リ此賣渡代金 九圓也右不動産ハ拙者所有ノ處今般前記代金ヲ以テ貴殿ニ賣渡シ代金正ニ受領候事確實也然ル上ハ該不動産ニ對シ他ヨリ故障等申出ツル者有之候節ハ拙者ハ引受聊ヵ貴殿ニ對シ御迷惑相掛申間敷候爲後日賣渡證書仍而如件一. 特約條件 ナシ昭和拾年四月拾日任實郡舘村面芳水里五百參拾參番地賣渡人 崔鍾烈[崔鍾烈]任實郡聖壽面三峯里貳百參拾番地買受人 李 虎 殿不動産ノ表示任實郡聖壽面三峯里壹百貳拾番地林野 八百拾參坪 [登記番號: 第六0九五號, 順位番號: 第二號]以上[受附: 昭和拾年五月九日 第貳九六貳號 登記濟][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進行第 號, 書記料金拾六錢也 司法書士 許炳斗[司法書士許炳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丙寅八月日光州監試初場榜目上試鄭顯裕賦一等三人 終場一等三人李炳秀 光州 李養浩 金堤 童蒙任憲吉 光州 李敬秀 光州鄭東澈 淳昌 李秉黙 寶城二等七人 二等七人金基齡 扶安 金允善 谷城白畿洙 光州 金燦奎 同福金觀泰 金堤 姜大囿 光州朴海菶 扶安 朴齊一 昌平蘇鎭千 南原 尹祺禞 長興李鎭泳 光州 申濚休 扶安崔旻廷 寶城 奇陽衍 長城三等三十五人 三等三十五人朴在憲 南原 李炳五 扶安鄭溎 昌平 洪泰奎 南平尹相鍵 龍潭 李喜寅 谷城金漢基 淳昌 秋潑 潭陽崔顯澤 南原 盧允壽 光州朴東翊 茂長 李東述 南原閔瑺 同福 丁大旭 南原崔時瓚 谷城 孔在銓 長城吳一鎭 昌平 蘇鎭璜 潭陽張榮甫 光州 羅元錫 羅州金魯爀 同福 崔震秀 樂安金珉煥 光州 金壽鉦 靈光申錘祿 興陽 尹益浩 海南張益秀 昌平 吳致玉 谷城徐方儒 南平 安榮奎 光陽崔相麟 鎭安 韓寅浩 光州尹鍾軫 康津 李斗應 康津安廷輝 井邑 林相顯 綾州尹承柱 康津 劉錫奎 南原許淵 南原 尹秉誼 南原承進福 光州 林大奎 務安柳思甲 和順 安基澤 南原朴悌澈 長興 鄭在漢 茂朱尹相殷 南原 劉載述 順天王道烈 谷城 魏析 長興白樂昇 靈光 庚馥烈 光州李圭世 靈岩 廉在卨 寶城尹觀夏 海南 林永黙 任實蔡致黙 寶城 曺錫杓 綾州崔昌玹 順天 李文黙 雲峰宋修勉 同福 崔德馹 南原梁在洙 礪山 洪値奎 南原李錫馨 全州 李泰會 南原鄭達周 南原 任義準 務安高翼柱 光州 許蘅 玉果賦國家千萬世無窮福詩願聖人壽願聖▣▣(富多)男子亦此詩之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55년 전주(全州) 방목(榜目) 고문서-치부기록류-방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5년(철종6) 봄에 전주(全州)에서 설행된 도과(道科)의 합격자 방목 1855년(철종6) 봄에 전주(全州)에서 설행된 도과(道科)의 합격자 방목이다. 상시관(上試官)이 전라도관찰사 서헌순(徐憲淳)인데, 서헌순은 《철종실록》 철종5년 12월 8일 기사에서 전라도 관찰사에 제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을묘년의 연대추정이 가능하였다. 시험은 부(賦)와 표(表)를 치러서 부 20인, 표 9인 모두 29인을 선발하였고, 합격자의 명단 아래에는 거주지를 기재하였다. 도과는 임금의 특별 지시에 따라 서도(西道)와 북도(北道), 강화(江華), 제주(濟州), 전주(全州), 송도(松都), 교동(喬桐) 등 특정 지역에서 시행하였던 과거로 외방 별과(外方別科)나 외방 별시(外方別試)라고도 하였다. 합격자에게는 곧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35년 양일영(梁一永) 등 소지(所志) 7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化民 梁一永 等 陵州牧使 使[着押] 3顆(6.8×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535_001 1835년(헌종1) 7월에 능주목 하동면에 사는 양일영·양직영·양주영 등 3인이 남준룡 3형제와의산송 문제로 능주목사에게 올린 소지 1835년(헌종1) 7월에 능주목(綾州牧) 하동면(下東面)에 사는 양일영(梁一永)·양직영(梁直永)·양주영(梁柱永) 등 3인이 능주목사(綾州牧使)에게 올린 소지이다. 산송 일로 저번에 정소를(呈訴)를 하니 뎨김에 남준룡(南俊龍) 3형제를 잡아다 독굴(督掘: 강제로 묘를 파냄)하게 하라는 뜻으로 엄히 가두고 8월 15일을 기한으로 하여 다짐을 바치게 했는데, 그 기한 전에 다시 정소를 하는 것이 매우 황송하지만 남준룡 3형제가 본래 악할 뿐만 아니라 팔을 휘두르며 큰 소리로 "이번 과거 시험 때는 반드시 과거장에 나아갈 것이니 이 또한 천행이다. 나의 망부도 반드시 합장을 할 것이다."라고 하는데 그들의 완악함을 잘 알기에 호소하오니 남준룡 3형제를 잡아다가 엄히 가두고 즉시 독굴하게 해달라는 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해 23일에 능주목사는 '이미 기한을 정했으니 우선 정한 날을 기다리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뎨김(관의 판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下東面化民梁一永梁直永梁柱永等右謹言 伏以民等之山訟事 向者 呈訴是乎則 捉致南俊龍三兄弟以督掘之意 嚴治枷囚 而限八月十五日奉考音敎是乎乃限前 呈訴 極爲惶悚敎是乎矣 大抵南俊龍三兄弟 素是惡民?除良 至於此境 揚臂大談曰 當此科時 必有赴科是亦天幸 吾亡父必葬於合窆云云 故民等知其渠輩之頑惡 故玆敢仰訴 伏乞洞燭敎是後 同俊龍三兄弟訐計 捉致 嚴囚 卽至督掘之地 望良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乙未七月 日使[署押](題辭)旣已定限則 姑俟定日宜當事卄三日[官印] 3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28년 성수 공립 보통학교(聖壽公立普通學校) 요청문 고문서-서간통고류-근현대문서 聖壽公立普通學校長 三好輝雲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6월 2일에 성수 공립 보통학교장(聖壽公立普通學校長) 삼호휘운(三好輝雲)이 이규호(李奎鎬)에게 이력서를 요청하는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정창수(丁昌洙) 신원증명원(身元證明願)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長水郡 山西面長 丁昌洙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9월 7일에 장수군(長水郡) 산서면장(山西面長)이 정창수(丁昌洙)에 대하여 발급한 신원증명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