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褒忠祠內薇菊契中回喩文右回喩事 儒文九六士林無麗澤之所 惟我薇菊設契亶 出於春秋相會 暢舒幽鬱之計 而務從儉約 每員下以十錢爲基本以貳拾錢爲當日費者 于今五六載 而契員洽滿爲六百餘數矣 每吟哦舒情之際 醵金經用 非但窘跲太甚 亦有難安者存焉 今日諸君子唱論出義之義其義量其力也 不苟同也 有通常而一二円焉 有特別而十數円焉 此盖當日席上事也 於是乎諸君子出義之義博矣哉 是契之永有辭於百世者 不其在玆歟 嗚呼吹塵成山 可想具瞻巖巖涓涔增海 豈無終見洋洋乎 伏惟僉君子先獲洞悉 庸敢喙焉 亟賜明敎幸甚甲戌二月十五日褒忠祠內忠孝堂薇菊契中代表都有司 朴魯宣掌財 高永文理事 高光瓚別有司 朴淳榮崔基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鳳山精舍敬通竊伏惟棟樑一摧 南國大震安放之痛 孰有而孰無 至於門生親戚知舊從遊一節之痛 尤深一節也 然而一生一死 自生民以來 所未免也是以聖賢已歿 而吾輩生於數千載之下 奉之以師者 其貫道之文 載在方冊 目以視之 口以誦之 心以體之 日用動靜之間 行之則人也 捨之則禽獸也 嗚呼惜哉 弦窩先生雖歿 而遺文藏在篋笥 未知幾百年藏在篋笥爲蠧魚之食而乃已耶 或可付諸剞劂 光明于世耶 敢陳一言 蚓雖無爪牙之利筋骨之强 上食埃土 下飮黃泉 用心一也 吾輩心一 則何事不成跬步 而不休跛蹩 千里累土 而不輟邱山 崇成千里崇山都在腔子裏 則千萬諒燭 左記日子 左記場所 特爲枉臨 一以哭几筵失聲之哭 一以論斯文大議論 幸甚 玆敢敬告左記會所 鳳山精舍會日 二月二十九日 雨天翌日乙亥二月十五日 鳳山精舍發起人 李啓琮 李載春 盧鍾龍 鄭友源 李廷相 尹宗林 池應鉉 高光洙 金順模 劉秉龜 李啓翼 尹璟赫 奇東奭 高光瓚 吳東洙 金勝坤 朴魯宣 柳時浚 吳秉南 金在鍾 任漹宰 奇老善 李光秀 宋光世 羅鍾宇 朴日圭 李琫淵 金容涉 柳炳斗 宋鎔輝 梁孝黙 柳春淵 金容燻 崔潤魯[피봉]〈前面〉和順郡道林面草坊梁斯文會甲座下〈後面〉光州郡西倉面鳳山精舍弦窩高先生遺稿刊所通文右敬通事 斯文不幸 惟我弦窩高先生奄棄 後學吾黨之痛 孰有加於此哉 嗚呼 先生雖歿 遺文藏在巾笥 其欲不朽而將壽於來世 則豈非今日吾輩之責歟 是以去念九日之會 僉議循同 畧有措畫 雖然斯文大事 不敢輕擧 故玆奉定規錄于下方 仰質于高明 伏願益加努力 共濟大事 幸甚定規一. 刊役以三月一日始設事一. 遺稿校正 以四月一日爲始 有文各位 以本稿來準 俾無後悔 而非先生手筆 斷不入蒐輯事一. 刊費巨大義扶一款 必須大用心力 然後可以竣是役 則聲氣相應 志契相助 不限於從遊門生及有文之家 各自出義擔任事一. 義扶金必自躬臨刊所 而若勢有所不能 則卽付郵便 以鳳山精舍內司貨名義 而若受領證 則以刊所之章與司貨實印爲憑信事一. 該郡事一任於郡有司與總務 以防淆雜之弊 則雖本刊所巡郡有司 不與郡有司及總務幷行 則切勿信用事一. 刊費出義優助者 遺稿一帙進呈事乙亥三月二日 鳳山精舍儒會所發文[印]都有司金東洙副有司李光秀 吳東洙 尹喜祥 李啓翼校正 李鍾宅 高冕柱 奇東奭 高光烈 鄭琦 吳弼善 金箕錫 梁會甲 奇老善司書 梁鎰黙 李琫淵 鄭燾洪 奇淙燮 羅炳觀 林炳一 金珍鉉 金在鍾 林禎圭 朴炯緖 高在華 李炳宰司書 高在弘 朴魯烈 柳永稷 崔洙華 柳秉魯 鄭坊珪 李相皓 任明宰 許國馨監董 朴魯宣 李起俊 高光永 河東秀 曺光鎬 金永燦 白亨敦 崔仁煥 張安燮 朴璋柱 金永燮 宋在鶴 洪起唐 劉箕鍾 李敎台 金容環 李元雨監董 金炳瓘 李應相 丁秉燮 高光益 張永采 金正安 李炳夏 李銓亮 張興燦 金容涉 鄭在夏 宋良鎭 曺喜南 蔡允錫幹事 高在鶴 鄭允植 宋世根 宋泰謙 金天洙 劉秉周 金容實監印 鄭大鉉 尹璟赫 朴載元 尹宗林 安鍾基監印 朴日圭 宋鎔輝 林鍾炫 吳永烈 吳根浩 李贊鎬 尹一炳 李震休 梁夏黙 高光維 宋光世 鄭喆煥 鄭尙龜掌財 高濟萬 盧軫永 高濟鏞 李會春 金鍾律 金容鶴司貨 高在廷直日 劉秉龜 高光淑 金商順直月 金鍾㦳 吳壽根 高光冕書寫 金漢洙 柳達根 李駿範 劉貞熙 李春行 宋基鳳 金棕坤 李洪秀 金漢奎 文正基 吳炳敎 趙相紀 朴濟喆 金龍準 李伯休 安炯淳 吳平基 洪宇義 鄭海均 裴錦澤 奇男度 李允行 金容圭內務 奇觀燮 羅鍾宇 高光瓚內務 高永文外務 高光秀 池應鉉 尹永淇 朴升柱 丁鳳泰 高益柱 崔潤魯 成夏鼎會計 金勝坤 朴夏炯 吳炳鎰 梁時瑽總務 柳炳斗 任漹宰 吳秉南 梁孝黙 李灃來 李載春都監 李啓琮 朴魯禎 高光洙 李廷相 李喜凡 高維相 朴夏玉右敬通于斯文 座下郡有司吳然澤郡總務朴俊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3년 안규일(安圭壹) 부고(訃告)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安圭壹 趙東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16_001 1943년 4월 16일에 호상 안규일이 양회갑의 친상을 알리기 위해 조동효에게 보낸 부고장과 피봉 1943년 4월 16일에 양회갑(梁會甲)의 친상(親喪)을 알리기 위해 작성된 부고장이다. 사망일은 4월 16일 신시(申時)이며, 20일에 장례를 거행한다는 내용이다. 이 부고장은 호상(護喪) 안규일(安圭壹)이 조동효(趙東㵿)에게 보냈으며, 안규일이 망자(亡者)를 자형(姊兄)으로 지칭하고 있는 것에서 그들의 관계를 알 수 있다. 피봉이 함께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謹啓時下益々淸穆하심을 切祝하오며 陳者 昨年의 本郡旱害 而實노 近古未曾有의 大慘事로서 原來基礎가 無한 農家로하야 一層生의 路를 失하야 餓莩溝壑에 轉할 現狀인자 調査에 依하야 此를見하면 一万五千餘人의 多数에 上하고 群內各地을 通하야 此罹災民의號泣悲歎과 三三伍伍成群作隊한 丐乞의 徒가 街巷을 塡하는 現况은 人으로 斷腸의 思를 致케하며 極端인 者는 雙親의 悲歎과 妻子의 哀訴를 堪耐케 難하야 人目을 避하야 縊死를 遂코자한者 有함에 至하야는 貴下와 함ᄭᅦ 同情의 淚를 不禁할지나 多数한 罹災民으로其生命을 維持케함에는 一노當局의 力에만 依키 難한바이로ᄃᆡ 本郡旱害에 対하야는 適當한 地域에 砂防工事를 起하며 繩叺機를貸付하고 鉄道工事의 促進을 圖하며 補食作物馬鈴□의 栽培을 一層勸励하며 労働可能者이 調節을 圖하는 等 一面直接救濟의 方途도 考慮中이나 有限한 財源으로써 九年一毛에 當함ᄲᅮᆫ인죽 群內에서는 群內有志各位의 熱情과 慈悲에 依하야 그 衷情을 傾한 應分의 義捐으로써 此多数瀕死의 人命을 救코자하는 中 本郡邑內晉在碩氏로부터 一金 千円 金琮熙氏로부터 粟百袋朴容方氏로부터 一金千円 無名氏로부터 一金拾円 道內官公吏로부터 一金 四百拾円의 自進의 義捐이 有하야슴으로 此를 基礎로하는 同時에 貴下의 同情을 合하야 数万의 生灵으로 死線을 免케하고자함에는 勿論深甚한 同感이실 것을 信하고 玆에 蕪書를 呈하오니 惠諒하심을 企望之至昭和四年三月三日任實郡守 李昶珪李奎鎬 殿(皮封)聖壽面李奎鎬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4년 송남수(宋南壽) 매매계약증서(賣買契約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宋南壽 柳春烈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3×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90_001 1934년 9월 19일, 매도인(賣渡人) 송남수(宋南壽)가 매수인(買受人) 류춘렬(柳春烈)에게 임실군에게 있는 전답을 매매한 증빙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4년 송남수(宋南壽)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宋南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90_001 1934년 9월 19일, 매도인(賣渡人) 송남수(宋南壽)가 임실군에 있는 전답을 매매하면서 토지 소유권을 매수인(買受人) 류춘렬(柳春烈)에게 이전 등기하면서 신청하고 발급받은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박내현(朴乃見)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朴乃見 朴乃見信(원형), 成根(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음력 3월 29일에 박내견(朴乃見)이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박내현이 분묘(墳墓) 2塚과 임야대금(林野代金) 잔금 70円을 받고 작성해 준 것으로 입회인은 선성근(宣成根)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이호(李虎)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柳希相 李虎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4월 3일에 류희상(柳希相)이 이호(李虎)에게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이복현(李馥鉉) 등의 보존 이비(保存 移費) 3圓59錢 중 잔금 1圓79錢을 받았다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4년 이호 영수증(領收証)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鄭尙金 李虎 鄭尙金,黃海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02_001 1934년(소화9) 음력 1월 21일에 정상금이 이호로부터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182-2번지 임야를 판돈을 받고 작성해 준 영수증 1934년(소화9) 음력 1월 21일에 정상금(鄭尙金)이 이호(李虎)로부터 임야를 판돈을 받고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証)이다. 정상금은 임실군 성수면(聖壽面) 삼봉리(三峯里)의 임야 182-2에 대한 대금으로 33엔(円) 50전(戔)을 받았으며 차후에 딴 소리가 있을 때에는 책임과 손해를 본인이 일체 부담하겠다는 내용으로 영수증을 작성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임실군 오천면(烏川面) 선천리(仙川里)에 사는 영수인 정상금과 황해수(黃海秀)이다. 두 사람이 각각 자신의 이름자를 새긴 주인(朱印)을 찍어 서명하였는데 황해수도 같은 영수인인지 아니면 입회인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관련 문서를 통해 보면 1933년 11월 13일에 이호가 정상금으로부터 동일지번 임야를 매매하고 등기소인 전주지방법원 임실출장소에 등기를 신청한 매도증서가 있다. 그 매도증서에는 음력 1월 20일을 기한으로 정상금이 원가를 주고 환매(還買)할 수 있도록 한 특약이 적혀 있다. 또한 11월 13일에 작성된 매도증서에 적힌 거래금액은 27원(圓) 24전(錢)이었으며 이를 1933년(소화8) 9월 13일에 수수한 영수증이 별도로 존재한다. 이것으로 보아 본 영수증은 정상금이 1934년 1월 말일 이전에 이호로부터 환매(還買)를 하였고, 그 후 본 임야가 꼭 필요했던 이호가 다시 웃돈을 얹어 주고 재차 매입하면서 작성된 영수증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영수증(領收証) 초(抄)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任實金融組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21_001 임실금융조합(任實金融組合)에게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초(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一, 不動産ノ表示 末尾記載ノ通此賣渡代金 金貳百伍拾六円也私所有ノ末尾記載ノ不動産ヲ貴殿ニ賣渡シ前記代金正ニ領收候依テ後日右(―)ニ對シ他ヨリ異議無キハ勿論ノ義ナルモ萬一其ノ場合ハ賣主ニ於テ一切ノ責ニ任シ貴殿ニ迷惑掛ケ申間敷候也大正拾年壹月參日任實郡聖壽面三峯里六六壹番地賣渡人 朴羕根[朴羕根信]任實郡聖壽面五峯里六貳壹番地買受人 林泰然 殿不動産ノ目錄土地ノ所在|土地ノ番號|地目|面積|價格 :[登記番号: 第一一八九号, 順位番号 第三番] 任實郡聖壽面三峯里 | 五百四拾貳 | 畓 | 七百貳拾五坪 | 壹百七拾四圓[登記番号: 第二九0号, 順位番号 第三番] 仝郡 仝面 仝里 | 六百八 | 田 | 五百八拾壹坪 | 八拾貳圓[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登記受附, 大正10.1.15, 第72號][受附: 大正十三年二月一日 第四三一号原因及其日附: 大正十三年一月九日 賣買目的: 所有權移轉權利者ノ氏名住所: 任實郡任實面二道里六0九番地 李令辰登記濟][受附: 大正一四年三月一七日 第一.一三三号原因及其日附: 大正一三年五月九日 賣買目的: 所有權移轉權利者ノ氏名住所: 任實郡聖壽面三峯里三二0番地 李虎登記濟][光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1箇處[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 2箇處(피봉)林泰然李 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4년 운전(雲田)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雲田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4년(소화19) 8월 18일에 아우 운전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에 사는 회당 이규호 형에게 보낸 엽서. 1944년(소화19) 8월 18일에 아우 운전(雲田)이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에 사는 회당(晦堂) 이규호(李奎鎬)에게 보낸 엽서 편지이다. 지난번 이별한 후 회답편지를 받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 현재의 상대 안부에 대한 물음, 자신의 진정(津亭) 행차가 공부와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모두 누리고자 하는 것이라는 것, 일전에 상대의 집에 가서 잘 적에 놓고 간 물건을 혹시 잘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葉書_外面)任實郡 聖壽面 三峯里李進士晦堂兄惠覽全州府 老松町雲田弟 謹函[郵便日附印: 全州, 19.8.18, ★★★](葉書_內面)曩者拜別後 直攝任驛 忙修一書矣 竟無回 音 或未知喬沈與否耳未審老炎比酷靜養日有益琛 放飯流歠 任意做之否 弟津亭之行 課日不廢者 一則避暑一則田園之樂 自有成趣故耳 日前討宿仙庄時 若干行資出置棣邊 翌因早落望忘未納收矣 慮爲捗攄中物 玆以發煩 貨則五十戔券十三枚也 倘爲收拾否奉呵奉呵東坡所謂精氣神三宝 却皮野狐偸耳者 非此之謂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7년 이기호(李起鎬)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鄭尙金 李起鎬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3월 8일에 정상금(鄭尙金)이 이기호(李起鎬)에게 발급한 영수증(領收證) 매도대금 중 30圓을 영수하였다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44년 나본봉리(羅本鳳利) 등기명의인 표시변경 등기신청(登記名義人表示變更登記申請)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羅本鳳利 全州地方法院鎭安出張所 3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667_001 1944년에 나본봉리(羅本鳳利)가 대리인(代理人) 김천양평(金川洋平)으로 하여금 전주지방법원 진안 출장소(全州地方法院鎭安出張所)에 제출한 등기명의인 표시변경 등기신청(登記名義人表示變更登記申請)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