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內西面學堂居化民張東栻右謹言民之父以門錢備納事多日滞囚極爲㦖然故百般拮据錢未辦出只有如干畓土而願買無人兺除良况此門錢期於買位土乃已故以畓券書納是在果▣門錢之數爻實爲五十五兩而向於民之族祖狀中以七十二兩增衍厥數是乎矣族祖流寓於他境已經許多年故這間宗中用下專未覺察是如乎十二兩段入於譜牒修正之役二兩錢段和順地所在先山訟卞時用下三兩錢段先山松楸發賣時收贖於松廳是乎則究其前後所用如非宗事乃是公贖而實在之錢只是五十五兩故二斗畓從時直折價成文是如乎以此畓永作位土使宗中諸族無或擅賣之意論理立旨爲白遣民之病父特爲放釋事 行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庚戌二月 日〈題辭〉元告率來向事十三[官印]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9년 장동식(張東植)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張東植 同福縣監 綾州使[着押] 3顆(6.9×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32_001 1859년 4월에 전라도 동복현에 사는 장동식, 장세옥 등이 능주목사에게 앞의 등장과 등출한 호적단자를 점련하여 입지 해 줄 것과 점련한 호적단자에 관인을 찍어 영구히 빙고(憑考)할 수 있게 해 줄 것을 청원한 등장 1859년(철종 10) 4월에 전라도 동복현(同福縣)에 사는 장동식(張東植), 장세옥(張世玉) 등이 능주목사(綾州牧使)에게 앞의 등장과 등출한 호적단자를 점련하여 입지(立旨) 해 줄 것과 점련한 호적단자에 관인(官印)을 찍어 영구히 빙고(憑考)할 수 있게 해 줄 것을 청원한 등장이다. 장동식 등이 엊그제 자신들의 선조 문적(文蹟)을 고적(考籍)하는 일로 올린 등장(等狀)에 '청원한 대로 고급(考給)하라'는 뎨김을 받아, 고열(考閱)하는 곳에서 수 백년 전의 신적(信蹟)을 얻어서 쌓인 편(篇)과 축(軸) 중에서 하나하나 베껴 옮겼다. 이에 자손들의 마음이 구름을 헤치고 하늘을 보는 것과 다름 없어 번거롭게 다시 하소연 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앞의 등장에서 고한 바 같이 『내보(內譜)』는 금석문(金石文)이므로 세계(世系)의 선후와 직함의 유무에 관인이 찍인 문서가 아니라면 종중 사람들이 다투고 갈라지는 단서가 없지 않았다. 이에 장동식 등은 앞의 등장과 호적단자를 점련해서 다시 정소(呈訴)하여 '일의 전말을 참작하고 이치를 따져 입지하고, 점련한 호적단자에 인장을 찍어 내려 주어서 영구히 빙고할 수 있게 해 줄 것'을 청원하였다. 이 등장을 접수한 능주목사는 '다행히 만력(萬曆) 연간의 호적(戶籍)이 있어서 신적(信蹟)을 고출(考出)하였으니 너희들이 정성을 쏟지 않았다면 어찌 이런 유감이 없는 일이 있겠는가? 청원한 대로 베껴 옮긴 문서에 관인을 찍어 내주어 보청(譜廳)에서 빙고(憑考)로 삼게 하라'는 판결문을 내렸다. 내보(內譜)는 작성자가 부계 직계조상을 밝힌 것으로, 체제는 선대로부터 자기의 부(父)에 이르는 일직선상의 조상과 그 각 조상의 배우자를 세대별로 기록하고 그들의 전기사항을 밝힌 가승(家乘)과 같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장욱(張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旭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3.0×4.5)*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807년 10월에 전라도 동복현에서 호주 장욱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 1807년(순조 7) 10월에 전라도 동복현(同福縣)에서 호주 장욱(張旭)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이다. 장욱은 '찬(欑)'을 개명(改名)한 이름으로 거주지는 내서면(內西面) 제7 학당리(學堂里) 39통 4호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나이는 44세 갑신생(甲申生)이며,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한신(漢臣), 할아버지 통정대부 동지중추부사 효지(孝智), 증조 학생 치언(致彦), 외조(外祖) 학생 김진채(金振採)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장욱의 아내 이씨(李氏)는 나이 39세 기축생이고 본적은 전주이다. 김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필달(苾達), 할아버지 학생 갑훈(甲勳), 증조 성균생원(成均生員) 상회(相檜), 외조 학생 이택후(李宅垕) 본관은 공주이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예선(禮先)이고 57세 신미생으로, 그녀의 어머니는 반비(班婢) 수영개(水永介), 아버지는 사노(私奴) 돌윤(乭潤)이다. 문서에는 동복현감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으며, 1804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갑자호구상준인(甲子戶口相凖印)'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十八年九月 日同福縣考癸酉成籍戶口帳內內西靣第七學堂里第卅七綂第一戶幼學張旭年五十甲申本興德父學生漢臣祖學生孝智曾祖學生致彦外祖學生金振彩本光山妻李氏歲四十五己丑籍全州父學生苾達祖學生甲勳曾祖成均生員相檜外祖學生李宅垕本公州卛子幼學允文年二十甲寅賤口秩婢禮先母班婢水永介父私奴突潤 庚午戶口相凖印[同福縣監之印]行縣監[署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凖道光元〖二〗年九月 日同福縣考壬午成籍戶口帳內內西靣第 學堂里第 統第四戶幼學張 旭年五十九甲申本興德父學生漢臣 祖學生孝智曾祖學生致彦外祖學生金振彩本光山妻李氏歲五十四己丑籍全州父學生苾達祖學生甲勳曾祖成均生員相會外祖學生李宅垕本公州卛子幼學允文年二十九甲寅賤口秩婢禮先母班婢水永介父私奴突潤己卯戶口相準印 [周挾無改印][同福縣監之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6년 장성용(張聲容)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聲容 同福郡守 行郡守[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6년 1월,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3세)이 동복군(同福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辰十月二十七日車致聲[着名]馬浦山莫里束伍軍金昇甲永永頉案頉債 磨勘情錢伍兩捧上 故此後更無侵責 玆以文蹟以給 以後相左之弊 以此憑考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7년 장성용(張聲容)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聲容 同福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7년 1월,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4세)이 동복군(同福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右標段 門末犯葬先山 得罪門中 一門之所共知也今此白虎內犯葬 非永窆之意也 至今年九月九日 若不移葬 則自門中移掘之意 玆以成標爲去乎 以此日後憑考事乙酉三月卄五日門末李泰英[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門中前納考標右標段 矣子婦葬犯窆於先山局內矣 今自門誚切嚴 而十月晦內掘移之意 玆以納考爲去乎 如爲過限不掘 則以此標呈 官掘移無恨事乙酉十月十二日標主李泰英[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丑五月二十五日右手標事段 唵川面盖山村後麓 卽祖考父親堂叔入墓之地而同里居朴義敏 占葬其祖父母村山下 則理當呈邑訴營 而當掘是矣 思念世誼不無彼此之顧念故許其葬占 以地價錢參拾兩捧上 日後子姪及兄弟從幼間如有殊異之說是去等 以此文記憑考卞呈事標主 徐明淑[着名]證人 姜文三[着名]鄭權夫[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記右標段 亡子婦塚妄入葬於都先山至近矣 來月初六日內若不掘移 則雖自門中掘移當矣 告官後處事丁亥十月十四日李泰英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綾州懷德面萬年洞戶籍單子第三統第六戶通政大夫金喆興年八十乙未本光山父學生 龍海祖學生 綱大曾祖學生 基順外祖學生梁樂成本濟州妻李氏年七十七戊申籍全州父學生 達謙祖學生 一龍曾祖學生 永祿外祖學生徐麟瑞本伊川子幼學珽弼年四十七戊寅婦金氏年四十五庚辰籍金海賤口婢三月年五十四甲子式牧使[署押] [綾州牧印][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綾州懷德面萬年洞第一統第一戶籍單子幼學金永奎年三十八本光山父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景福宮五衛將 珽鉉 故祖嘉善大夫漢城府左尹五衛都摠府副摠管 在興曾祖通政大夫工曹參議 碩龍外祖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金達秀奉母金氏貞夫人年七十籍金海妻金氏年三十八本金海父學生 文奎祖學生 福萬曾祖通政大夫 德裕外祖學生黃道源本長水賤口婢三月戊子式牧使[署押] [綾州牧印][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幼學金珽弼年三十七本光山居綾州父幼學 喆興祖學生 龍海曾祖學生 綱大外祖學生李達謙本全州[六洪] [六洪][六洪]三代以上氣數醇濃聖賢皆貴且壽富 詩唐虞盛世民仁壽聖王在上行其政箕疇至理備五福斗躔祥光垂八柄三英日月享天祿化裏齊民皆受慶於人莫如壽富貴氣數千年降賢聖推來羲繇五行著認得華封三祝敬吾知大德必得位思聖篇中其義正寒泉曉燭講性理上慕休治時際盛長霄魂夢笑漢唐列國棲遑嗟孔孟天生下民作君師三代之前元氣淨彌於兩儀降成質體以三元包稟性尊爲帝王富四海自在仁天道日暎風和壽域鼓萬物化洽齊州安百姓羲農以後夏殷上泰平凞凞天降命諸民幸逢聖人世喜賀吾王無疾病其爲氣也亘萬世▣(背面)見山河治化晟民於宇宙皥如凞士亦膠庠涵且泳歸來叔季聖不作著述今霄憂思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雍正七年 月 日 綾州考己酉成籍戶口帳內北面第六花南村第八統第新四戶業儒李白雲年六十五乙巳本光山父學生海生祖學生松䃼曾祖學生已生外祖學生朴根菜本密陽妻韓召史年六十一己酉本綾州父學生士命祖學生應立曾祖學生興信外祖學生金士仁本金海賤口婢件里介年七十己酉丙午戶口相准給者牧使[署押] [周挾無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料外此漢之來, 得書兼逢▣姪, 始知兒輩疹憂, 然念未知求得向▣. 控效試否. 第卜奴▣今▣抵達云, 厥漢頑迷之罪, 顙之無▣之企待之答, 作行之窘衣黙想矣. 父如前耳. 第封內吾之職啣, 以帳籍所付前職▣之或時任職名云之, 可否吾亦未得詳知, 而開緘之時, 試所必無不知之理, 如有遠格之端, 則必無奈何矣.以前啣旧啣書之, 可否問於錄名所試官所決定後書封, 如好如好. 晩始覺得如是急走, 此漢使之抵達於十八日矣. 得榜之道, 須善處以來也. 餘在任君書中呼▣…八月秋夕▣更, 父[着名]此漢路資給一兩五戔耳.通政大夫行金海都護府使【金海鎭兵馬僉節制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羅 碩士 宅 入納【同福寶巖】昌筞 候書(簡紙)意外貽弊, 尙用不安,卽惟日來候居萬重, 溸仰憧憧.記下 間關還來, 赤壁風月未懸拾所, 倘無仙勝而然耶. 呵呵. 主倅昨日作沃川本第之行,無主空衙, 涔寂難裁,奈何奈何. 貸用錢五緡, 玆送呈耳. 那當有更奉之期耶. 餘爲探, 不備禮.癸八十二日, 記下 任百寓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謹拜候上.(피봉_뒷면)謹拜候上.謹封.(簡紙)日吉辰良, 吉禮利成, 兩家慶行, 曷有其極. 謹伏審至冱孝中體候神護萬重, 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