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門中前 手標右標段 門末妄發濫計 矣子婦葬暗窆於都先山靑龍墱是如可 門誚大起?除良 自是渠過掘移後 以何妄心 呈訴于 官家 而當此頭質之場官分付截嚴 則與門相和 更不生之意 玆以成標爲去乎 日後以此憑考事甲申十一月十九日標主 李泰永[着名]證人 閔學錫[着名]朴相宜[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妻李氏贈淑夫人者同治八年正月日妣依法典追[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淑人者同治八年正月日祖妣依法典追[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通政大夫工曹參議者同治八年正月日祖考依法典追[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貞人者同治八年正月日曾祖妣依法典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通訓大夫軍資監正者同治八年正月日曾祖考依法典追[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牧使爲成給事五衛將小帖成給爲遣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懷德面幼學金廷弼準此己巳四月日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鄕校留羅 生員 掌議 座下.(피봉_뒷면)林谷 謹拜疏上.(簡紙)稽顙拜言. 謹未審夜落旅體候萬旺, 哀溸區區不任且祝至耳. 罪弟 昔疾兪加, 未能振作, 私悶之狀, 何可盡達. 第今日 釋奠祭, 而凡百勤務, 何以勘當也. 未可晉參, 坐而思之, 萬萬不安于中矣. 鄙聞李武信參于祭席, 亦是大兄之惠顧,豈無感領, 然而四顧無親面者, 而 兄惟斗護之地, 千萬仰祝仰祝耳. 餘病臥艱草,謹不備疏上.乙卯八月四日, 罪弟 曺泰煥 拜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客冬修候送, 未承 覆, 恒切悵仰, 專因 令允覲行, 槩聞二音, 稍豁遠懷. 謹伏問暮春者旅中動止, 一直安勝, 本職之 見解, 可謂无妄之灾. 第似爲他職, 幸復之一機會, 則又安知憑氷失寒爲得失之理耶. 以是仰慰萬萬. 世下生 ▣度了, 餘無足聞. 侄息以輪症,初則無事出場矣. 間以添發,方用▣▣劇, 而昨秋又有▣▣別症多般藥治, 而憬慮萬無不到矣. 季次使與 咸郞以是深慮, 至於忘當尤用莫比耳. 此去文書▣迷兒與受者 次以喪禍, 餘劫寡妓, 急出斜本錢拾▣緡▣…上, 從近必送如何. 至企至企. 興陽倅或有相知之道, 則某条得簡, 已爲持守.畓訟時, 得力之道, 則其非受 賜之多乎, 至仰至仰. 餘心撓, 不備狀上. 伏惟下在. 謹候狀上.丁未三月旬日, 世下生 金萬鑑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戊申七月日, 在傑洞做所, 十九日二十日夜, 連拜於京津主人家, 二十一日夜,拜於勿染先亭, 泮家則冠珮威儀, 怳如卿宰. 先亭則琹書棊局, 宛容處士. 昔宋名臣陳茶判相州壽宴日, 其侄修獨獻五湖圖, 故篇內幷及之.戊申秋七月, 三夜拜吾親, 冠珮大夫列, 琹書處士身, 晝宵情感感, 行止道相因, 袖裏五湖畵,留須獻壽茵.七月二十四日, 子 得周 敬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787년 당숙(堂叔)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堂叔 堂姪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7년 1월 11일, 당숙이 당질에게 보낸 서간. 1787년 1월 11일, 당숙(堂叔)이 당질(堂姪)에게 새 영장(營將)에게 보호해 줄 것을 부탁하는 일, 조카의 말을 부탁하는 일, 예조 판서의 가례도감(嘉禮都監) 당상(堂上) 임명 소식 등을 전한 서간이다. 먼저 객지에서 지내고 있는 당질의 새해 안부를 묻고, ▣곡(▣谷)의 상사(喪事)에 대한 슬픔과 딸아이에 대한 걱정스러운 마음을 전하였다. 자신의 근황으로는 대정(大政)에서 포읍(布邑, 전세를 베로 내는 고을)의 말의(末擬)에 들었으나 낙점을 받지 못했음을 언급하고, 늘그막에 바쁜 것을 버티기 어려워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가고 싶지만 이루지 못해 근심스럽고 답답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손자며느리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에 대한 걱정스러운 마음을 표현하였으며, 삼년상을 마친 풍덕(豊德)의 사촌에게 위문편지와 자신의 말을 전해줄 것을 부탁하였다. 이어서 새 영장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는데, 자신과 여러 달 동안 동료로 지내 친한 사람이라고 하고, 중명(仲明)의 이름을 잊어버려서 '명(明)'자로 존문(存問)을 하게 할 것이며 보호해 줄 것도 부탁할 것이라고 하였다. 만약 찾아가 만날 일이 있으면 개명(改名)을 했다고 말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여러 조카의 말에 관한 부탁은 수시로 소장(訴狀)을 올려서 받아내는 방도로 삼으면 좋을 것 같다고 하였다. 추신에서는 서울 소식을 전하였는데, 영의정은 김치인(金致仁), 좌의정은 이복원(李福源), 우의정은 김익(金熤), 이조판서는 윤시동(尹蓍東), 병조판서는 김이소(金履素)라고 하였다. 또, 예조판서는 지금 귀인(貴人)의 가례도감 당상으로 임명되었다고 하였으며, 귀인은 유학(幼學) 박준원(朴準源)의 딸이 간택될 것이라고 하였다. 귀인은 수빈박씨(綏嬪朴氏)를 가리킨다. 이때 가례도감 당상이 된 예조판서는 이명식(李命植)으로, 1787년 1월 8일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性伯老兄 靑照.近來齋居何似. 重軒集錄役, 業已完了否. 鈺, 日前往同福, 道聞室憂, 濱危顚倒, 將來其死生, 尙未可知, 愁腦何喩. 崔欽月前寄來, 扶金貳千元留於我久矣. 今付此來朴老人炳殷氏俯領若何. 旣到乞以數字報之.弟 文鈺 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大谷 侍右 追謝書一書未復久矣 更惟夏令侍中學况 待時曾吉 馳溯憧憧不任 課日咿唔於家乎 於齋乎 所與游從 又是何人 討一區靜室 先爲此身安頓之所 隨時隨力 一味趲程 切不可對 閒人客做 閒况話悠悠 而廢日也 無志則已 旣有志焉則如救火如追亡 人一已百 人十已千 此是第一法况來喩紛紜之日常多 專一之時常少 又曰未免忘助之病 此可謂自知之深 而自省之切也 然旣知如此是病 便是不如此時藥舍 此豈有別方哉 一幅示訓 吾非其人 只切愧愧 順文才性 開悟可與共學此在朋友有不易得 况族親之間寧不喜幸 惟種種相規 共爲 門戶大來之望 千萬懇望 今方告行 悵缺亡已 餘留不宣癸卯四月晦日 義林 頓首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大谷 哀前疏上頓首言 日月不居先大夫人練期奄忽來臨 伏惟孝思根天 撫時觸境 哀慕何極 區區慰溯 不任懇忱 義林忝在親素之末 理合趍走 以慰於專席變制之日 而繫縶窮齋 疾病沉綿 抽身出脚 計莫自遂 辜負之重 悲愧萬萬 只祝節哀順變練事利行 令郞告歸 畧此替慰 餘留 不備疏禮 伏惟哀照乙巳五月二十日 生 鄭義林 拜疏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鄭義林 謹再拜 仰復于尊執事座下伻來 伏承尊函 謹審尊體百福 何慰如之 顧惟孱劣 何等無狀 而猥蒙尊門大度 俯賜連楣之諾 其爲光紫 闔室感祝 涓吉之示 審愼之地 固應如是然禮不云乎 吉事用近日 凶事用遠日 古者筮日不用陰陽拘忌之說 而但取近日而用之 盖人事難測 而吉凶不可以倂行故也 此在平時猶然 况今鄙故方急朝不慮 夕則豈以拘忌不經之說 而期待於三四朔之遠哉 其間若或有他則 兩家不幸爲何如耶 此非所以審愼之道也 大抵拘忌之說 本不足盡信 若欲一一拘忌 則天下無可用之日 奈何奈何 拘忌者術家之說也 用近日者聖經之文也 如不得兩全 則屈術說而伸聖經 豈不可可乎 玆自鄙中擇一日仰呈 須依此行之 千萬伏望耳餘祝體候葆重 以來多福 留不備達 伏惟照鑑 答上丙午九月初八日 生 鄭義林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幾乎忘面 而淂相握亦非 先師之賜乎不久日而繼垂訊 實吾 兄之盛德也 惟此以去不負先師之意 獨不於在舊業乎 吾輩離索後 兄之終始有必於此事者 可掩之不得 而顧推讓與愚陋無聞者 無乃反辭 而免責也耶 然自泰頹後技曲分裂 不啻倍蓰 差毫繆千正 在此時自己進修不徒鑽紙 上說知舊講論 亦不但從唇上來然後 可以有同轍而歸一之日矣 兄非不昭陵 而弟欲不失此義 故贅疣以呈旋切可偎 更問比寒折膠經履在旅靜謐 仰祈仰祈 餘非面莫究 不備 惟 亮納壬子復月卄八日 弟 任泰柱 拜謝(皮封)裵斯文【致黙氏】 做案 回納【大谷】勿溪謝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高氏贈淑人者同治十年十月 日慶熙將朴龍昇曾祖妣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卯式吾道面吾道谷第一統第二戶 幼學朴相浩 年四十丙子 本密陽父 學生 龍伍祖 學生 文瑞曾祖 學生 聖輝外祖 學生 吳鳳觀 本寶城妻金氏 齡三十八 本金海父 學生 達秋祖 學生 喆宗曾祖 學生 麗章外祖 學生 韓興福 本淸州賤口婢古談 年六十二甲寅牧使[着押][周挾 字改印][綾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一年乙酉式戶口單子吾道面吾道谷第一統第三戶 幼學朴準學 年四十六庚子 本密陽父 學生 相浩祖 學生 龍伍曾祖 贈嘉善大夫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 文瑞外祖 學生 金達秋 本金海妻李氏 年四十七己亥 本全州父 學生 泰馨祖 學生 春曄曾祖 學生 孟新外祖 學生 姜重赫 本晉州賤口婢貴每 年十五庚午牧使[着押][周挾 字改印][綾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戊子式戶口單子吾道面吾道谷第一統第四戶 幼學朴準學 年四十九庚子 本密陽父 學生 相浩祖 學生 龍伍曾祖 贈嘉善大夫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 文瑞外祖 學生 金達秋 本金海妻李氏 年五十己亥 本全州父 學生 泰馨祖 學生 春曄曾祖 學生 孟新外祖 學生 姜重赫 本晉州賤口婢貴每 年十八牧使[着押][周挾 字改印][綾州牧使之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