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엽서_前面)全南和順郡道林面草坊里竹林齋梁 回甲 先生宅京崇四洞一四一.金東燮[郵便日附印: 光化門, 4.11.18, 后1-3](葉書_後面)向書入 覽耶 伏惟比下侍餘經體晏重 仰溸且祝 弟昔病今愈 再昨有事來此 今念又向山淸之麗堂爲計耳 松爺大集 旣得可則何以爲晝 良謀長筭 自不否人 不須長提 旦前書已略言之 老兄必下燭矣 士儀價爲之下擲耶 鄙之仰託於老兄如是者 計出無可奈何之地故耳 須爲之周旋 而右冊價今念後爲之信付於山淸郡■〔新〕等面坪地里金佑林許 使之免此漢之窘狀 非相愛之至耶 以願老兄細諒之 無至失望之地 至企至企耳 餘不備禮己巳十月十八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6년 조봉환(曺鳳煥)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曺鳳煥 和順縣監 <書押> 3顆(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6년(고종 13) 윤5월에 화순 운곡에 사는 화민 조봉환(曺鳳煥)이 화순현감에게 자신의 집이 이앙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댈 수 있게 해 줄 것을 청원한 소지 1876년(고종 13) 윤5월에 화순 운곡(雲谷)에 사는 화민(化民) 조봉환(曺鳳煥)이 화순현감(和順縣監)에게 자신의 집이 이앙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댈 수 있게 해 줄 것을 청원한 소지(所志)이다. 자신의 부친이 절도에 유배된 지 이미 몇 년이고 육순이 되신 어머니가 3두락의 논을 경작하여 7~8명이 목숨을 보전 중인데 힘 있는 자가 잔약한 자를 빼앗는 통에 아직 한 홉의 모도 심지 못하였으니 은택을 내려주어 자신들이 모를 심을 수 있게 해 주기를 청원한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관에서는 11일에 집강(執綱)에게 '이미 이앙하고는 물을 채워 놓아 이앙을 하지 못하게 하니 이것이 어찌 보통의 인정이냐며 동중에 이미 이앙한 곳의 물을 터서 오늘 내로 모종을 옮길 수 있게 하고 그 상황을 보고하라'고 명했다. 수령대신 이와 같은 처분을 작성한 사람은 형방(刑房) 김재달(金在達)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雲谷 化民 曺鳳煥右謹言 伏以父在絶島 于今數載 母當垂境年今六旬 數三斗落耕種七八口保命 孰不曰矜憐哉 際前日旱孔酷田事焦悶 已在 洞燭中敎是果 向於下均種之 令 本村百餘大村 若干皆種 而未種一合之稻 民之家也 其故何也 有力者之所奪殘弱者之故也 尺地莫非 國土 一民莫非 國民 何可以獨不種 城主亦民之父母 故玆以哀乞爲去乎 伏乞洞燭敎是後 特施隱恤之澤 顧此殘民種稻 恩山惠澤之中 使民老親 侍下保命之地 千萬伏祝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 丙子閏五月日官[署押](題辭)已秧而■〔儲〕水不顧未秧 是豈常情乎 自洞中決其已秧之水 今日內(背面)移種後 形止馳報向事十一日執綱告金在達[官印] 3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在囚罪人民曺大淳右謹言切迫情由段 民數三日前 邑內居千哥於民之子處橫懲錢文事 囚在獄中 而民之從孫基烈昨日來訴是乎則 題音內有曰 當懲之物 則何論公私乎 更勿煩訴 卽爲來納敎是乎所 民之子則不知去處逃走是白遣 家無應門之童 民若不出獄 則一分錢無可辦之道 此將奈何 玆以替訴爲去乎 特爲蒙放 此錢備納之地 千萬望良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戊午十一月 日官[署押](題辭)汝矣子 旣有所推於他人之物 而今以(背面)橫徵推託者極爲無據 從速備納 無使汝矣子得强盜之名向事初二日[官印] 3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4년 조진필(曺縉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和順縣監 曺縉弼 行縣監 *1顆(6.0×6.0)*吉挾無改印(墨印, 14.1×5.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68_001 1804년 화순현에서 유학(幼學) 조진필(曺縉弼, 5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시장매매명문(柴場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李應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에 이응택(李應澤)이 능주군 회덕면(懷德面) 백암리(白巖洞)에 있는 시장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903년 6월 26일에 이응택(李應澤)이 시장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시장을 수년 동안 가꿔오다가 사채(私債)로 인해 하는 수 없이 방매하게 되었다. 시장의 소재지는 능주군 회덕면(懷德面) 백암동(白巖洞) 윗 골짜기의 동쪽 볕드는 비탈 한쪽이고, 경계는 위쪽 밭머리에서부터 아래로 길까지라고 표시하였다. 매매가는 전문(錢文) 31냥이고, 해당 시장의 구문기(舊文記)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강봉열(姜鳳烈)이 증인으로 참여하여 착명(着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歲癸卯六月二十六日 前明文右明文事由來柴場累年禁養是多可私債所在不得已伏在懷德面白巖洞上谷東陽地燈一片柴場界限上自田頭下至路傍㐣價折錢文參拾壹兩依數捧上是遣以新文一張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相左之端則持此文記告官卞呈事柴場主李應澤[着名]證人姜鳳烈[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유인철(劉仁哲)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52] 劉仁哲 和順縣監 <書押> 3顆(6.8×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2년(철종3)경 6월에 능주 후동에 사는 유인철이 화순현감에게 자신의 화전에 대한 입지 성급을 요청한 소지 1852년(철종3)경 6월에 능주(綾州) 후동(後洞)에 사는 유인철(劉仁哲)이 화순현감(和順縣監)에게 입지(立旨) 성급을 요청한 소지이다. 자신의 화전(火田) 3두락지가 화순 남면(南面) 대동평(大洞坪) 마산(馬山) 조생원(曺生員) 산소 근처에 있는데, 이것은 조생원의 종가(宗家)에서 기경하고자 100여 년 전에 판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공연히 탈취할 생각을 가지고 여러 차례 관정(官庭)에 무소(誣訴)를 하기에 이후로도 이와 같은 폐단이 있을까 싶어서 본문기 2장과 함께 그 연유를 말씀드리니, 특별히 제사(題辭)로 입지(立旨)를 성급(成給) 해달라고 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해 화순현감은 '매매문권이 있는데 무슨 근심이 있을 것인가'라고 판결하였다. 당시 화순현감은 김준흠(金駿欽)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綾州後洞居劉仁哲右立旨事段 矣身火田三斗落只 在於治下南面大洞坪馬山曺生員山所局內近處是乎所 曺生員宗家起耕次 賣百有餘年之地 暗生奸計公然奪取之意 累次誣訴 官庭是乎則 日後恐有如此誣訴之端 故幷本文記二章 緣由仰訴爲去乎 伏乞 明庭執法之下 特爲嚴命題下立旨成給 使此殘民無至日後白地見奪之地 千萬祝手爲只爲行下向敎是事案前主 處分▣…▣月 日官[署押](題辭)賣買文券自在則 何患有向事向事[和順縣監之印] 3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박찬규(朴燦珪)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2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64_001 성수면 삼봉리(聖壽面 三峰里) 박찬규(朴燦珪) 소유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지사면 안하리(只沙面 雁下里) 27번지 畓 등 6필지 관련사항, 경매기일(競賣期日), 경락기일(競落期日)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2년 매매계약(賣買契約) 증서(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虎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786_001 1932년 4월 14일에 최경렬이 이호에게 토지를 매도한 계약증서 및 대금 180원을 수령했다는 영수증 1932년 4월 14일에 최경렬(崔京烈)이 이호(李虎)에게 토지를 매도하여 그 계약내용을 적시한 증서와 매도 대금 180원을 수령했다는 영수증이 수록된 문서이다. 토지의 소재지는 임실군 성수면 삼봉리 159번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신년 조정환(曺晶煥) 납폐서(納幣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曺晶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 2월 10일에 조정환이 자신의 장자 조기노의 혼사와 관련하여 신부측에 보낸 혼서 무신년 2월 10일에 조정환(曺晶煥)이 자신의 장자 조기노(曺基魯)의 혼사와 관련하여 신부측에 보낸 문서이다. 자신의 장자 조기노가 나이가 이미 장성하였음에도 아직 배필이 없는데 상대방의 따님을 배필로 허락해주시니 선인의 예로 삼가 납폐(納幣)의 예를 행한다는 내용이다. 납폐는 정혼(定婚)의 성립을 나타내기 위해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서신과 폐물을 보내는 의식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時維仲春 戊申二月十日尊禮百福 僕之長子基魯 年旣長成 未有伉儷 伏蒙尊慈許以 令愛貺室 玆有先人之禮 謹行納幣之儀 不備伏惟尊照 謹拜上狀夏山后人曺晶煥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조교술(曺敎述) 전답안(田畓案) 고문서-치부기록류-전답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조교술이 시작결민으로 되어 있는 운곡지역의 전답 목록을 기록한 전답안 조교술(曺敎述)이 시작결민(時作結民)으로 되어 있는 운곡(雲谷)의 전답 목록을 기록한 전답안(田畓案)이다. '운곡 시작결민 조교술'이라는 제목을 달고 다음 행부터는 결부수(結負數), 전답의 지번(地番), 전·답의 종목(種目), 마지기 등으로 표시한 면적, 전답위치, 때로는 사표(四標) 등의 순서로 전답을 기록하였다. 조교술의 전답목록을 기록한 이후에는 조(曺)씨 과부의 전답목록도 이어서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