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裵錫祉依儒林衆望 以 貴啣本鄕校掌議選定孔夫子誕降二千五百十四年九月二十一日 [綾鄕校印]綾州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裵錫祉來二月十三日中丁本院春享大祭祭官壬子正月二十九日竹樹書院 [竹樹書院之印]院長 文元植院二 閔正植掌議 李基春同 吳治述色掌 金潤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金圭浩今月二十七日本祠享祀執禮薦戊午九月十七日 [印]三山祠儒會執綱 鄭淳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金鍾健今月二十日本院祭官選定甲子三月一日 [印]華岡書院儒會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_前面)三山壇 儒會所(皮封_後面)高山書院答通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前面)三山壇儒會所 僉座下(後面)高山書院答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禮拜言 向日作別 其翌日作冠山行 今月六日日歸巢 離家曠日 如是許多耳 還巢則 兄有枉訪 兼致 惠儀 是何事耶 還切不安 罔以爲謝 謹請潦炎孝中棣體萬支 渾儀勻慶 仰不已溸祝 弟 一依前樣 奉何復喩耶 先稿收集 以壽傳其暗唾爲人子者 繼志述事之一端事也 令人感賀 實非淺尠 誠力所到 必有景梨鋟行 實爲賀萬千年 在傍魯宗東春準泰諸兄安過耶 忙未各幅 罪多罪多 以此傳告 如何如何 餘多 不備疏禮 丙申五月十三日 弟 閔弘基 拜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具敎仁爲朝奉大夫戶曺佐郞者光緖十九年 正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朴文瑞贈嘉善大夫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者同治十年 十月 日慶熙將朴龍昇考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李氏贈貞夫人者同治十年十月 日慶熙將朴龍昇妣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朴聖輝贈通政大夫工曺叅議者同治十年十月 日慶熙將朴龍昇祖考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金氏贈淑夫人者同治十年十月 日慶熙將朴龍昇祖妣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一鄕多士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 恭惟我聖朝承周宋文名之治 搜賢於道德之門 尙孔朱彰德之敎 造士於性理之學 程式薦進之路 恐有野遺勤勉揚善之方 開示言路 則徛歟盛矣我聖朝出治之具也 凡冠儒服儒者 敢不揚善以承其至旨哉 大抵本州士人鄭義林 天賦高明 係出光山 故判書公永思堂諱演之十一世孫也 年未冠多稽聖賢之規範 實踐仁義之閫域 其學素有源矣 負笈於石塘鄭先生之門 七書孝經戴經諸賢之書 博通問難 先生無不稱賞 執贄於蘆沙奇先生之門 冠婚喪祭曲禮威儀之篇識發蘊奧 皆致精微 絶意毁譽 名利之場 潛心於格致誠正之工 存養省察 不爲物累 所移造詣成德 惟以扶敎自任 故全齋任先生 世安堂金先生 勉齋崔先生 屢有書問敬愛之蔚然 爲南服儒林之矜式 道內文章俊異之士 從遊而莫之先也 可知其師門之首弟也 境內受業漸就之士尊慕 而粹然成德 則亦可謂斯文之導率也 以若良知蘊德之士泯沒無聞於世 則豈不爲聖朝之欠典乎 豈無士論之抑鬱乎 孔子曰 賢者爲國之器用 朱子曰 薦賢爲政之先務 何幸城主閤下承流宣化 下車玆土 禮周公之愛士好吳公之薦誼當 此歲貢賢良之際 撫實行報營司以彰有德 則勵風俗扶世敎 以爲何如哉 民等居同一鄕 欽嘆其才行 故玆敢齊聲仰達 伏俟轉 報營司 特蒙廷楊 則斯文幸甚 世敎幸甚 伏惟藻鑑丁亥十月 日 化民 金鍾常 李致鎬 朴其繪 梁基煥 李贄鎬 文極煥 梁會一 魯錫采 金時豊 吳在鴻 閔致魯 朴海鴻 梁益煥 金鍾浩 尹滋郁 閔泳達 梁相輔 李振燁 文泳祚 安檃 具桂勳 鄭在勳 文弼休 安澈煥 朴麟鎭 洪珽謀 鄭在淑 閔啓浩 金致錫 李之茂 宋錘 金鍾植 文鳳煥 鄭瑛錫 梁時煥 等(題辭)觀此狀內 此時如此文學 非但一邑之衆論 卽當修報是矣 論報之節 待其朝飭(背面)然後 隨學隨擧 已有國例 隨其抄入時 當報營門二十六日使[着押][綾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8년 박정근(朴禎根)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禎根 全羅都觀察使 都使<押> □…□ 3顆(9.5×9.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274_001 1888년 2월에 박정근 등 29명이 전라감영에 올린 상서 1888년 2월에 박정근 등 29명이 전라감영에 올린 상서이다. 능주 송석면(松石面)에 사는 정의림(鄭義林)은 판서공(判書公) 정연(鄭演)의 11세손이다. 이들은 정의묵의 효행과 학행을 조정에 알리고 그가 관직에 등용되기를 여러 번 청원하였다. 이들이 능주목에 청원한 것이 셀 수 없이 많고 능주목에서 전라감영에 정의묵에 대한 사안을 보고한 것이 다섯 번, 전라감영에서 조정에 보고한 것이 두 번이 넘지만 아직까지도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다시한번 감영에 상서를 올린 것이다. 박정근 등의 상서에 대하여 전라감영에서는 학행이 이처럼 탁월하니 누군들 감탄하지 않겠냐마는 국왕에게 보고하는 것은 더욱 신중해야 하므로 갑자기 가볍게 의논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상서(上書)란 백성들이 관에 청원이나 탄원할 일이 있을 때 제출했던 소지류(所志類) 문서의 일종이다. 소지류 문서에는 상서 외에도 단자(單子)·발괄(白活)·의송(議送)·등장(等狀) 등이 포함되었고 각 문서들은 발급 주체나 수취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서식적 차이가 있었다. 상서의 경우 기두어에 '上書'라는 문구가 기재된다는 특징이 있다. 관에서는 이러한 소지류 문서의 여백에 제사(題辭) 혹은 뎨김[題音]이라고 부르는 처분을 내렸다. 제사가 기재되었다는 것은 관의 공증을 거쳤다는 의미이므로, 백성들은 제사가 기재된 문서를 소송 자료 또는 권리나 재산 등을 증빙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35년 양회갑(梁會甲) 망기(望記) 1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道林祠 梁會甲 道林祠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3월 15일에 도림사에서 양회갑을 춘향대제 제관으로 임명하는 망기 1935년 3월 15일에 도림사(道林祠)에서 양회갑(梁會甲, 1884~1961)을 춘향(春享) 제관으로 임명하는 망기(望記)이다. 도림사의 장의(掌議) 기동석(奇東奭)과 색장(色掌) 류인협(柳寅協)이 3월 29일에 진행되는 춘향대제(春享大祭)의 제관으로 추천되어 정해졌다는 내용이다. 도림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사우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 1843~1915),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을 모신 사우이다. 1934년 나주오씨 문중과 오계수, 오준선의 후학들이 오계수, 오준선과 두 사람의 스승인 기정진을 기리기 위하여 도림사를 세웠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 도림마을은 오계수와 오준선이 태어난 곳이며, 나주오씨 문중의 집성촌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