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十年正月日考同福縣甲午式戶口成籍帳內內西面鶴灘里第 統第五戶幼學羅漢珪年四十八丁未本錦城父學生 綵成祖學生 廷說曾祖通德郞 得儉外祖學生林成祿本淳昌妻宋氏齡四十九丙午籍洪州父學生 庚黙祖學生 興奎曾祖學生 日煥外祖學生朴孝民本忠州率子幼學大運年二十八丁卯幼學雷運年二十五庚午賤口逃亡奴甲奉辛卯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8년 나대운(羅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大運 同福縣監之印(7.0×7.0), 吳啓鍊章(원형, 1.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3_001 1898년 나대운이 자신의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을 기록하여 동복군에 제출한 호구단자 1898년 동복군 내서면 학탄리에 거주하는 나대운이 32세 때에 자신의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을 기록하여 동복군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 호구단자는 기존 조선시대 구호적의 양식으로 작성되었으나 세부 내용은 신호적(新戶籍)의 기재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호적표에 기입하여 제출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 문서는 신호적의 기재요소는 기입하되 작성방식은 구 호구단자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우선 열서(列書)로 작성한 것은 구 호구단자의 방식이지만, 신호적의 기입 요소를 충실히 기재하고 있다. 먼저 호주(戶主)의 사조를 적도록 한 것은 구 호적과 변함이 없었으므로 그대로 기재하였고, 기존 직역을 신호적에서는 '직업(職業)'이란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나대운은 자신의 직업을 '사업(士業)'이라고 적었다. 처(妻)의 사조(四祖)를 적지 않은 것은 신호적의 양식대로 따른 것이고, 어머니 송씨(宋氏)부터 처 임씨(林氏), 아우 뇌운(雷雲)과 제수 이씨(李氏), 그리고 아우 차운(且雲)은 실제 '동거친속(同居親屬)'을 기입한 것이다. 신호적에서는 실제 동거하고 있는 사람을 '현존인구(現存人口)' 항목에 남녀로 구분하여 적도록 하였는데 이 문서에서도 그에 따라 남녀를 나누어 남자 셋, 여자 셋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신호적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가택(家宅)이 기유(己有)인지 차유(借有)인지, 그리고 가택의 형태가 기와인지, 초가인지, 또 칸수는 몇 칸인지를 구분 기재하도록 한 점인데, 이 문서에서는 '초가 4칸'이라고 적혀 있다. 이외에 신호적에는 어느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거(移居)했는지를 표기하도록 한 '전거지(前居地)'와 '이거연월(移居年月)'의 항목이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이거를 하지 않고 해당 지역에 그대로 살고 있다는 뜻으로 '전거(前居)'라고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同福郡內西面鶴灘里第一統第四戶戶主羅大運年三十二丁卯本錦城士業前居父學生 漢珪祖學生 綵成曾祖學生 廷說外祖學生宋庚黙本洪州奉母宋氏年五十二妻林氏年二十七籍平澤率弟雷運婦李氏籍光山次弟且運現存男三口女三口草家四間光武二年 月 日郡守吳啓鍊[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凖辛酉式戶籍單子內西面學堂里第統第二戶幼學張欑年三十八甲申本興德父學生 漢臣祖通政大夫同知中樞府事 孝智曾祖學生 致彦外祖學生金振彩本光山妻李氏歲三十三己丑籍全州父學生 苾達祖學生 甲勳曾祖成均生員 相檜外祖學生李宅垕本公州賤口秩婢禮先年五十一辛未父私奴乭伊母班婢水永介戊午戶口相凖印[官印]行縣監[署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3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行郡守[着名] *同福郡印, 1顆(4.2×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3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4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同福郡印, 1顆(4.1×4.1)*同福郡守之章, 1顆(2.4×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4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6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