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조진필(曺縉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和順縣監 曺縉弼 行縣監 *1顆(6.3×6.3)*吉挾改印(墨印, 14.2×4.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68_001 1801년 화순현에서 유학(幼學) 조진필(曺縉弼,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편지 앞면문안 알외ᄋᆞᄋᆞᆸ고 어졔 일긔 심한ᄒᆞ온ᄃᆡ 평안이ᄒᆡᆼᄎᆞᄒᆞᄋᆞᆸ신지 복녀 구〃오며 다시 뭇ᄌᆞᆸ나이다밤 지ᄂᆞᆫ 후ᄋᆡ긔쳬후 일향 만안ᄒᆞᄋᆞᆸ신지 알고져 블임하셩이오다 질부은 하념 입ᄉᆞ와의지ᄒᆞ오니 ᄒᆡᆼ이ᄋᆞᆸ 남은 말ᄉᆞᆷᄂᆡ〃 슈셔 강왕ᄒᆞᄋᆞᆸ심 ᄇᆞᄅᆡᄋᆞᆸᄂᆡ다을츅 십이월 십이일질부 샹셔편지 뒷면슉부쥬젼 샹셔근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3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시(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4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책문 할거법(割去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축년 질부(姪婦)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姪婦 숙부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07_001 을축년 12월 12일에 질부(姪婦)가 숙부(叔父)에게 쓴 한글 편지 을축년 12월 12일에 질부(姪婦)가 숙부님[슉부쥬]께 한글로 쓴 편지이다. 어제 매우 추운 날씨에 행차는 평안하셨는지 묻고, 밤사이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남은 말이 많지만 내내 건강하시기를 빈다는 말로 끝맺었다. 〈을축년 시누이 언간(諺簡)〉과 편지지, 글씨체, 발신 날짜가 모두 같아서 발신자는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馬浦面執綱稟目伏以 山二面新農所居姜有甲爲名漢 素來馬兵擔當之軍以虛名李道仁 暗自移錄於本面山幕里 而山幕卽李東欽一家座里名 而李東欽不勝憤嘆緣由仰訴 則題音內 査實報來向事 故詳探所由 則李道仁虛名作奸 而姜有甲本軍匿名之罪 別段徵治 移於新農本在處 緣由敢稟辛未二月二十七日 執綱閔泳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三相院 秋享 獻官幼學 李興林原乙丑七月十五日校中[海▣▣▣(南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5년 예조(禮曹) 정려입안(旌閭立案)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禮曹 朴東翊 判書<押> 禮曹之印 13顆(8.0×8.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5년 5월에 예조에서 고(故) 유학 박동익(朴東翊)과 박예빈(朴禮彬)을 정려(旌閭)하기 위해 발급한 입안. 1875년 5월에 예조에서 고(故) 박동익(朴東翊)과 박예빈(朴禮彬)을 정려(旌閭)하기 위해 발급한 입안이다. 입안 속에는 정려가 시행되기까지의 과정이 인용 형식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박동익과 박예빈은 증조부와 증손자의 관계로 모두 흥양(興陽) 지역에서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들의 효행을 조정에 알리고 정려받기 위하여 1874년 8월 전라도 유학 신희모(申曦模) 등이 어가 앞에서 상언(上言)을 올렸고, 예조에서는 상언의 내용을 살펴본 뒤 1875년 5월 27일에 박동익과 박예빈의 정려를 요청하는 계목(啓目)을 작성하였다. 이 계목은 같은 날 동부승지(同副承旨) 이원일(李源逸)에 의해 국왕에게 보고되었고 아뢴 대로 시행하라는 판부(判付)를 받았다. 국왕의 승인이 내려졌으므로 예조에서는 박동익과 박예빈의 정문(旌門)을 건설하되, 건설에 드는 재목과 장인은 지역 관아에서 담당하며 박씨 자손들의 잡역을 면제하라는 내용의 입안을 작성하였다. 입안은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관청에서 어떠한 사실을 확인하고 증빙해주는 문서이다. 주로 토지와 노비의 매매 및 양도, 즉 소유재산의 변동을 인증받기 위한 경우[斜給]가 많았지만 이밖에도 소송에서 승소하였을때[決訟], 양자 입적[立後·繼後], 신분의 변동[從良] 등 무엇을 증빙받고자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했다. 입안을 발급하는 관청에서는 문서의 공증력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였다. 첫 번째는 입안을 발급하기까지의 과정, 즉 청원을 접수한 뒤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검토한 내용을 입안에 모두 기재하는 것이다. 이때 사안과 관련이 있는 문서들을 입안에 점련(粘連)하기도 하였다. 두 번째는 문서의 마지막 부분에 담당 관원의 관직명을 적고 아래에 서명한 뒤 관인을 날인하여 문서의 위조를 방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안을 발급할 때 2건을 작성하여 1건은 신청자에게 주고 1건은 관에 보관하여 훗날 증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입안은 법적 효력을 지닌 공증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나, 점차 발급 절차의 번거로움과 발급 수수료의 과징 등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쇠퇴하였다. 입지(立旨)는 이러한 입안의 자리를 대체한 문서라고 할 수 있는데, 해당 사실의 공증을 신청한 청원자의 소지(所志)에 해당 사실을 확인하였다는 내용의 처결 표시와 관인(官印) 날인을 통해 입안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입지의 경우 입안에 비해 그 효력이 한시적이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1)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 고문서 입문 2?, 민속원, 2021, 473~480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26년 장치언(張致彦)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致彦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4.5×5.5)*同福郡印, 1顆(6.0×6.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5_001 1726년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치언(張致彦, 5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0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同福郡印, 1顆(4.2×4.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0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5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1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同福郡印, 1顆(4.1×4.3)*同福郡守之章, 1顆(2.6×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1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5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