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양백영(梁伯永)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梁伯永 全羅道觀察使 巡使<押> □…□ 3顆(8.8×8.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모년 9월에 능주 고을의 백성들이 연명하여 배이인과 남평 문씨의 효행이 포상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해달라고 관찰사에게 요청한 상서. 모년 9월에 朴道漢, 尹再衡, 金遇喆 등 31명이 연명하여 재차 전라감영에 올린 上書이다. 작성 연대를 적은 부분이 결락되고 '▣午'라고 적은 부분만 남아 있다. 상서를 올려 요청하는 사항은 裵以仁과 그의 弟嫂인 南平文氏의 효성이 지극하니 이들이 褒賞을 받을 수 있게 조치해 달라는 것이다. 문서의 본문은 경술년에 박도한(朴道漢) 등이 올린 상서(上書)와 비슷하다. 상서 본문 서두에서 먼저 국가가 효도에 모범을 보인 백성을 포상하는 데 힘써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孝는 백 가지 행실의 근원이니 萬代 동안 사그라질 수 없는 법입니다. 그리하여 하늘은 반드시 이에 감응하여 얼음 물고기와 눈 속 죽순의 징험이 있는 것이고, 국가는 반드시 이를 포상하여 旌閭하고 贈職하는 법이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한집안에서 두 효행의 모범이 제수씨와 아제비가 함께 나와서 그 부모를 봉양함에 있어서겠습니까."라고 말하고 있다. 이어서 그 포상 받을 사람의 인적사항과 효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한 집안의 두 효행이란, 곧 고을의 士人인 裵以仁과 그 弟嫂를 말합니다. 배이인은 太師 武烈公 裵玄慶과 密直公 裵廷芝 및 개국 원훈 貞節公 裵克廉의 후손이며, 효행으로 추천받아 참봉을 지낸 裵允德의 5세손입니다. 그리고 열녀로서 旌閭를 받은 金氏는 그의 고조모이니, 그 집안에서 孝烈은 역시 대대로 전해지는 유풍입니다. 하지만 배이인의 집은 심히 가난했습니다. 이에 그 제수씨 文氏와 함께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품을 팔아 쌀을 지고 나름으로써 맛있는 음식을 대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항상 옷을 온전히 갖추어 입지 못하면서도 부모님께는 좋은 음식이 끊이지 않게 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향년 84세에 돌아가셨고, 어머니는 향년 105세에 돌아가셨습니다. 고을의 이웃은 모두 그 아들과 며느리의 지극한 효도를 칭송하며 부모의 장수는 이 때문이라고 말하였습니다. 하루는 그 어머니의 병이 심해져서 의원이 말하길 산삼을 써볼만 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배이인은 동생 裵以潑과 함께 산삼을 구하기 위해 깊은 산을 두루 돌아다녔는데, 수일이 되어도 끝내 얻을 수 없었습니다. 이에 울면서 돌아오는 길에 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는데 갑자기 늙은 산삼이 보였습니다. 이에 바위 아래로 숙여 캐다가 다려서 드시게 했습니다. 이로 인해 묵은 병이 모두 나을 수 있었고 피부와 살결이 풍성해졌습니다. 이는 실로 하늘이 감응한 결과이니 얼음 물고기와 눈 속 죽순을 얻은 미담과 견줄만합니다. 그 弟嫂인 文氏는 남평 문씨인데, 江城君 三憂堂1)1) 江城君 三憂堂 : 문익점(文益漸 1329~1398)을 가리킨다. 문익점은 목화씨를 고려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왜구가 창궐하는 와중에 피난을 가지 않고 홀로 부모님 산소를 지켜 왜구를 감동시킨 일화가 알려져 있다. 문익점은 이로 인해 정려를 받았고 그가 살던 마을인 산청의 효자리에는 문익점 효자비가 남아 있다고 한다. 의 후예입니다. 본성이 慈孝하여 몸소 나물을 캐고 물을 길어 시부모를 봉양했습니다. 그리고 몸을 편안하게 해드릴 물건과 입맛에 맞는 음식을 힘써 구하여 반드시 바쳤으니, 이로 인해 시어머니가 105살의 나이에 이도록 병이 없을 수 있었습니다. 하루는 시어머니의 병이 심해 百味에 입 맛을 모두 잃어버려서 음식 봉양이 망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갑자기 야생 메추라기가 부엌에 날아 들어왔고, 문씨가 이를 구워다가 드림으로서 병중에 미음을 먹을 생각이 나게 해드렸습니다. 이 어찌 하늘이 감응한 결과가 아니겠습니까. 이는 실로 崔山南의 집안에서 시부모에게 젖을 먹인 효성2)2) 崔山南 : 『小學』 善行篇에 최산남의 증조모인 長孫夫人이 시어머니에게 젖을 먹인 일화가 실려 있다. 과 맞먹습니다. 이 때문에 문씨의 효성이 이웃 마을에 알려져 아이들이 노래를 지어 부른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裵以仁과 그의 동생인 裵以潑의 처 文氏 효성을 강조하고, 이어서 "저희는 같은 고을에 살면서 눈으로 보고 귀로 들었기에 공경하고 칭찬하는 마음을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고, 이어서 이들이 褒賞을 받은 은전을 입을 수 있도록 임금께 轉報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관찰사는 처결을 4일에 내리길, "한 집안에 효자와 효부가 있으니 더욱 극히 가상하다. 轉報는 정해진 시기가 있으니 물러나 公議를 기다리라."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今秋八月九日上丁釋奠大祭祭官望丁酉七月十五日綾州鄕校 [綾鄕校印]裵鎭萬 座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裵鎭萬來月十日 本祠享祀祭官薦定辛丑二月二十九日 [禮山祠印]禮山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裵鎭萬今中秋上丁釋奠大祭祭官望辛丑七月十五日 [綾鄕校印]綾州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內儒生朴禎根吳繼洙尹滋郁等 謹齋沐上書于巡相閤下 伏以賢者爲國之大用 而薦賢爲政之先務也 昔者河南守英公薦落陽人賈誼豫章守陳蕃薦彭城人徐稚 紫陽綱目大書特書 以示天下後世進賢之意至矣本道綾州士人鄭義林 古判書永思堂公諱演十一世孫也 受業於蘆沙奇先生之門 又執贄從遊於石塘鄭先生 全齋任先生 勉菴崔先生門之人也 素以簪纓 舊族斯文名家其學問文章實今日南服儒林之領袖也 早廢擧業 固守林樊 不以貪窮動其心 惟以存養 守其志 所讀者 程朱之書 所樂者 孔顔之道 而其學本於格致 其德本於誠敬 其道本於倫理 四子六經 如誦已言三百三千 無不淹貫 以至發於事親事長 接人接物之際 粹然一出於正 而不咈於規矩繩墨之中 鄕閭服其化 生徒遵其敎 蔚然爲一時矜式者久矣 若使引以進之於公朝爲一時之器用 則今人後人之傳 以爲美談美事者 豈但如古人而已哉 鄕儒之聞於本官者累 本官之薦於巡營者五 巡營之薦於朝廷者二矣 尙未蒙拔第之典 其爲一省 士林之抑鬱何如哉 恭惟巡相閤下 淵源古家 以厚德重望 稔聞於士林間者久矣 何幸 莅于本道 周年百政修擧 而又急於搜賢訪逸于巖阿 故敢採一道大同之議 齊聲仰籲 當此式年之歲首 鄭義林之文學行義 薦進朝堂 俾蒙褒揚之典 千萬伏祝 伏惟藻鑑戊子二月 日 光州幼學 朴禎根 幼學 奇東萬 羅州進士 金房鎭 幼學 吳繼洙 南原進士 李元洪 全州進士 蘇輝植 順天幼學 趙羽浩 樂安幼學 金在模 寶城進士 尹權浩 幼學 安鍾默 長興進士 李禧錫 幼學 魏啓? 南平幼學 尹贊鎭 和順進士 柳鳳浩 幼學 曹秉萬 同福幼學 閔膺鎬 幼學 宋兢勉 昌平幼學 鄭{氵+奭} 幼學 高光元 玉果幼學 鄭鳳鉉 茂長幼學 鄭河源 長城進士 金興煥 幼學 奇宰 潭陽幼學 李承學 興陽幼學 申益求 唐津幼學 安昌洙 綾州幼學 梁在淵 幼學安澈煥 幼學尹滋郁 等(題辭)文學實行 若此卓越 孰不欽感於此啓體愼重 遽難輕議向事初五日都巡使[着押][全羅道觀察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問安己巳四月二十五日 冕膺扇子參柄(皮封)同福 道伯候狀羅 生員 宅 入納省式 謹封[全羅道觀察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二十九年甲申正月日 門長再從兄景憲氏前明文右明文爲再從兄景憲氏亦 年老抱病 嫡妾俱無子女窮獨 人事朝暮難知 則立後嗣續 情禮所急 以其四寸兄景維氏之第二子元佐 使之立後 而元佐之父母俱沒 旣無與受 則自門中義立 亦有其例 玆以一門齊會義立 而再從弟景祿亦參居次門長之地故一從門義 以元佐許養成文 以爲轉訴斜出事同姓六寸弟 羅景祿[着名]同姓九寸侄 羅燦佐[着名]同姓十一寸侄 前郡守 羅忠佐[着名]同姓十二寸孫 羅得器[着名]同姓八寸孫 羅得絢[着名]筆 幼學 李啓全[着名]證 幼學 崔鳴翊[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謹拜上.(簡紙)春間拜別後, 儲懷娓娓. 謹未審暑炎靜中棣體候連爲萬安, 寶閤均慶,伏溯區區, 無任下忱.査弟 家故連捷, 無况何可盡達哉. 就白令才?壹件, 控忘略汗呈, 愧赦愧赦耳. 餘不備, 伏惟.甲寅六月十七日, 査弟 李丁壽 拜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金鍾健十月初八日本祠釋菜禮祭官 依衆議貴座選定癸卯九月二十七日 [玉堤祠之印]玉堤祠掌議 金基澤色掌 林鍾岐 南大照前期一日入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6년 노문연원록간소(蘆門淵源錄刊所) 윤고문(輪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蘆門淵源錄刊所 □…□(3.0×3.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18_001 1956년 9월, 『노문연원록』 간소에서 도유사 양회갑 외 16인의 임원이 유림들에게 노문연원록 발간 배경과 발간 사항에 대해 알린 윤고문. 1956년 9월, 『노문연원록(蘆門淵源錄)』 간소(刊所)에서 도유사(都有司) 양회갑(梁會甲) 외 16인의 임원이 유림들에게 노문연원록 발간 배경과 발간 사항에 대해 알린 윤고문(輪告文)이다. 『노문연원록』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선생에게 학문을 배운 문하의 제자들을 기록한 책으로 책의 발간에 찬동해 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간소의 임원을 기록한 뒤쪽에는 앞으로의 간행사항이 쓰여 있는데 요지는 다음과 같다. 책의 제목은 '노문연원록(蘆門淵源錄)', 수집범위는 노사선생 문하의 여러 선생 및 그 연원이 있는 각 집(家), 편찬 범례는 성명·본관·호(号)·자(字)·생년·과거·향사(享祠)·누구의 후예·누구의 문인(門人) 및 주소(住所)이다. 이름을 올리는 단자(單子)마다 500환 이상이며, 2권 1질로 금액은 책을 나눠줄 때 결정한다는 것, 간소는 전남 장성군 진원면 진원리 담대헌(澹對軒)이다. 『노문연원록』은 1960년에 장성의 담대헌에서'노사선생연원록'으로 간행되었으며, 이 연원록에 따르면 친히 글을 배운 제자가 600여 명에 이른다. 도유사 양회갑(1884~1961)의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원숙(元淑), 호는 정재(正齋). 아버지는 양재덕(梁在德)이고, 어머니는 죽산안씨(竹山安氏) 안평환(安平煥)의 딸이며,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이다. 1903년 향시에 합격하고 제시(製試)에서 장원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에 열중하였고, 1930년에는 『송사집(松沙集)』의 간행에 참여하였으며, 1934년 기우만의 영당을 세웠는데 왜정으로 인해 저지당하였다. 저서로는 『정재집(正齋集)』 16권 7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答通文右文爲通諭事 竊惟日新齋鄭先生以蘆門三子之一 在德行之 科其嫡傳 有似乎程門之遊楊 朱門之蔡黃 蔚然爲當時之儒宗 巍然爲後學之景仰 禮行蘋藻 于 貴鄕之三山祠 推其淵源之所出 將躋享蘆沙奇先生 以日新齋先生配之 遂諸平生三事一之義 此可謂知其源而不忘本也 鄙等在淵源攸同之地 其思齊之心 亦不後於人焉 有彼彊此界藩籬之限 惟此可見老先生之道 大衆外事體極爲允符 孰敢異議 伏願僉君子 亟成縟儀 以副士林之望 千萬幸甚丁酉三月 日 高山書院 多士 朴興圭 梁會甲 李鍾遠 金顯奎 李啓性 鄭圭綜 奇老柏許奎星 金重炫 崔在鎬 楊秉哲 高宗柱 柳尙迪 金克熙金正彬 韓始炫 康永鎭 奇自衍 金永洙 洪錫憙 朴炯鳳邊舜燮 卞榮濩 朴永鳳 金鳳中 梁在允 朴重大 鄭在會徐鉉球 朴夏求 李鉉哲 李永濩 邊時淵 奇老章 呂昌鉉 等[高山祠章] 1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懷德面 白巖洞 化民 盧珉煥右寃情事段 日昨以民之名 社稷祭獻官差定出來是乎乃 民素以蠢蠢無識 兼有脚疾 坐立難便 而家中忌祭亦難行禮 則莫重公祭之獻官 安敢擧行乎 舊舊等城主新延時 民以陪別監擧行 則別監之於獻官 非不榮陞矣 民若可勘其任 則雖爲自請亦難圖得 而每當公祭之時 以民之父子名獻執遞出是乎尼 此實殘微無識者之一大患也 哀此殘氓安得支保乎 緣由玆敢鳴寃洞燭敎是後 特下寬恕之澤 更差知禮可勘之士是白遣 使此殘民以保奠接之地 千萬祝手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署押] 癸巳正月 日(題辭)旣有嚴飭 而乃敢圖免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74년 화순현감(和順縣監) 서목(書目) 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和順縣監 全羅監事 兼使<書押> 3顆(9.5×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4년(고종11) 11월 11일에 화순현감이 효행탁이자의 실적을 책으로 만들어 전라감사에게 보고한 서목 1874년(고종11) 11월 11일에 화순현감(和順縣監)이 전라도관찰사겸순찰사(全羅道觀察使兼巡察使)에게 올린 첩정에 딸린 서목(書目)이다. 화순현에서 효행(孝行)이 탁이한 사람의 실적을 책자로 2건 만들어서 올린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19일에 전라감사는 '성책은 받았고, 후식(後式)은 기다려서 다시 보고하라'고 뎨김을 내렸다. 서목(書目)은 하급관원이 상관에게 올리는 첩정에 구비해 올리는 문서이다. 상관은 서목에 뎨김을 써서 첩정을 올린 자에게 내려주었다. 당시 화순현감은 강문영(姜文永)이으며 전라도순사는 조성교(趙性敎)였다. 전라감사 조성교의 착관인 도순사(都巡使)는 도순찰사(都巡察使)의 약칭으로 재상으로 군무(軍務)에 임명된 자를 칭하는 4단계에 따라 부르는 명칭 중 하나이다. 의정(議政)이 맡게 되면 도체찰사(都體察使), 1품 이하가 맡으면 도순찰사, 종2품이 임명되면 순찰사(巡察使), 3품이 임명되면 찰리사(察理使)라고 부른다. 조성윤의 직전 관직은 행대사헌(行大司憲)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和順縣監書目本縣孝行卓異人 實蹟修成冊 兩件上 使狀同治十三年十一月十一日行縣監姜都巡使[署押] 都事(題辭)成冊捧上是在果待後式 更報向事甲戌十一月十九日 □□[官印] 3箇處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