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장찬(張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欑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9.0×5.7)*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795년에 전라도 동복현 내서면 학당리에 사는 호주 장찬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795년(정조 19)에 전라도 동복현(同福縣) 내서면(內西面) 학당리(學堂里)에 사는 호주(戶主) 장찬(張欑)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아버지 대신 새로 호주가 된 장찬의 직역은 유학이고, 나이는 32세 갑신생(甲申生)이며,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유학 한신(漢臣) 76세 경자생, 할아버지 동지중추부사 효지(孝智), 증조 학생 치언(致彦), 외조(外祖) 학생 김진채(金振採)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장찬의 아내 이씨(李氏)는 나이 27세 기축생이고 본적은 전주이다. 김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필달(苾達), 할아버지 학생 갑훈(甲勳), 증조 성균생원(成均生員) 상회(相檜), 외조 학생 이택후(李宅垕) 본관은 공주이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예선(禮先)이고 나이 45세 신미생으로, 그녀의 아버지는 돌이(乭伊), 어머니는 수영개(水永介)이다. 문서에 '호적단자(戶籍單子)'와 작성년인 '을묘식(乙卯式)'이 적혀 있고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동복현감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임자년 호구와 대조를 마쳤다는 내용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장찬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准乙卯式戶籍單子內西靣學堂里第三十九統第二戶幼學張漢臣代子幼學欑年三十二甲申本興德父幼學 漢臣年七十六庚子祖同知中樞府事 孝智曾祖學生 致彦外祖學生金振採本光山妻李氏年二十七己丑籍全州父學生 苾達祖學生 甲勳曾祖成均生員 相檜外祖學生李宅垕本公州賤口秩婢禮先年四十五辛未父乭伊母水永介壬子戶口相準印 [周挾無改印][官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2년 장성용(張聲容)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聲容 同福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902년 1월,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59세)이 동복군(同福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7년 김종상(金鍾常)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鍾常 綾州牧使 使<押> 綾州牧使之印 5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274_001 1887년 12월에 김종상 등 35명이 능주목에 올린 상서 1887년 12월에 김종상 등 35명이 능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능주 송석면(松石面)에 사는 정의림(鄭義林)은 판서공(判書公) 정연(鄭演)의 11손이다. 어려서는 석당(石塘) 정구석(鄭龜錫) 선생의 문하에서, 관례를 치른 뒤에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학문적 성취가 남다름에도 항상 겸손하게 행동하였다. 뭇 선비들이 그를 존경하고 흠모하여 그를 따랐으니 이러한 선비가 세상에 알려지지 못한다면 조정의 흠이 되는 일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능주목사께서 정의림의 학행을 감영에 아뢰어 달라는 내용이다. 김종상 등의 상서에 대해 능주목사는 이와 같은 요청이 비단 한 고을에서만 나온 것이 아니므로 마땅히 감영에 보고해야 하지만, 조정의 신칙(申飭)을 기다렸다 이에 따라 조치하는 것이 국례(國例)이므로 조정에서 그를 뽑아들일 때 마땅히 감영에 보고하겠다고 처분하였다. 상서(上書)란 백성들이 관에 청원이나 탄원할 일이 있을 때 제출했던 소지류(所志類) 문서의 일종이다. 소지류 문서에는 상서 외에도 단자(單子)·발괄(白活)·의송(議送)·등장(等狀) 등이 포함되었고 각 문서들은 발급 주체나 수취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서식적 차이가 있었다. 상서의 경우 기두어에 '上書'라는 문구가 기재된다는 특징이 있다. 관에서는 이러한 소지류 문서의 여백에 제사(題辭) 혹은 뎨김[題音]이라고 부르는 처분을 내렸다. 제사가 기재되었다는 것은 관의 공증을 거쳤다는 의미이므로, 백성들은 제사가 기재된 문서를 소송 자료 또는 권리나 재산 등을 증빙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32년 양회갑(梁會甲)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秀巖書院 梁會甲 □…□(2.6×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2년 8월 24일에 수암서원에서 양회갑을 색장으로 임명하는 망기 1932년 8월 24일에 수암서원(秀巖書院)에서 양회갑(梁會甲, 1884~1961)을 색장(色掌)으로 임명하는 망기(望記)이다. 색장은 서원의 동재와 서재의 학생 중에 선출하는 직임으로 보통 문묘의 수호, 관리 및 학생자치에 관한 일을 담당하는 자리였다. 수암서원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에 있는 서원으로 필문 이선재(李先齋)를 주향으로, 청심당(淸心堂) 이조원(李調元), 이소재(履素齋) 이중호(李仲虎), 동암(東巖) 이발(李潑), 남계(南溪) 이길 등 광산이씨 선조들을 배향하고 있다.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 때 동인에 속했던 이선재·이조원·이중호는 서인이던 정철(鄭澈)에 의해 관직이 추탈되었으며, 이중호의 아들 이발과 이길도 동인(東人)으로 몰려 처형당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영의정 이원익이 그들의 무고함을 상소하자 인조는 이발과 이길을 복관(復官)시키고 예관을 보내 치제(致祭)하게 하였다. 수암성원은 1624년(인조 2)에 창건하고, 1868(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01년 임시로 단을 설치하여 배향해오다가 1919년에 재건하였다. 현재의 건물들은 모두 1969년에 중건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依衆望梁會甲任色掌壬申八月二十四日儒會所[秀巖書院之章]康津郡城田面秀陽里秀巖書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五年正月 日己卯式單子同福縣內西面第六鶴灘里第 統第三戶鰥夫幼學羅綵成年七十庚午本錦城父學生 廷說祖通德郞 得儉曾祖通德郞 舜佐外祖學生曺灝振本昌寧妻林氏故率子幼學漢珪年三十三丁未外祖學生林成祿本淳昌賤口逃亡奴甲奉丙子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八年正月 日考同福縣壬午式戶口成籍帳內內西面鶴灘里第 統第五戶鰥夫幼學羅綵成年七十三庚午本錦城父學生 廷說祖通德郞 得儉曾祖通德郞 舜佐外祖學生曺灝振本昌寧率子幼學漢珪年三十五丁未外祖學生林成祿本淳昌賤口逃亡奴甲奉己卯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四年正月日考同福縣戊子式戶口成籍帳內內西面鶴灘里第二十六統第一戶故羅綵成代子幼學漢珪年四十二丁未本錦城父學生 綵成祖學生 廷說曾祖通德郞 得儉外祖學生林成祿本淳昌妻宋氏齡四十三丙午籍洪州父學生 庚黙祖學生 興奎曾祖學生 日煥外祖學生朴孝民本忠州率子幼學大運年二十二丁卯賤口逃亡奴甲奉乙酉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七年正月日考同福縣辛卯式戶口成籍帳內內西面鶴灘里第 統第三戶幼學羅漢珪年四十五丁未本錦城父學生 綵成祖學生 廷說曾祖通德郞 得儉外祖學生林成祿本淳昌妻宋氏齡四十六丙午籍洪州父學生 庚黙祖學生 興奎曾祖學生 日煥外祖學生朴孝民本忠州率子幼學大運年二十五丁卯賤口逃亡奴甲奉戊子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0년 양은묵(梁殷默)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梁殷默 綾州牧使 使<押> □…□ 5顆(6.5×6.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0년(경신년) 12월에 백성들이 연명하여 배이인과 남평 문씨의 효행이 포상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해달라고 능주목사에게 요청한 상서. 1740년(경신년) 12월에 大谷面에 사는 백성 梁啓黙, 朴海鵬, 尹一龍 등 16명이 연명하여 綾州牧使에게 올린 上書이다. 상서를 올려 요청하는 사항은 裵以仁과 그의 弟嫂인 南平文氏의 효성이 지극하니 이들이 褒賞을 받을 수 있게 조치해 달라는 것이다. 상서 본문에서 포상 받을 사람의 인적사항과 효행을 설명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한 집안에 한 효행도 오랜 세월 동안 드문일인데, 하물며 두 효행의 모범이 한 집안에 함께 나온 경우에 있어서겠습니까. 이는 오로지 본 面의 裵氏 집안에게서만 볼 수 있습니다. 두 효행이란, 士人인 裵以仁과 그 弟嫂 南平文氏입니다. 배이인은 太師 武烈公 裵玄慶과 密直公 裵廷芝 및 개국 원훈 貞節公 裵克廉의 후손이며, 효행으로 추천받아 참봉을 지낸 裵允德의 5세손입니다. 그리고 열녀로서 旌閭를 받은 金氏는 그의 고조모입니다. 그 弟嫂인 文氏는 江城君 三憂堂의 후예입니다. 배이인과 문씨는 직접 나물 캐고 물을 길러 부모를 봉양하였고, 몸을 편안하게 해드릴 물건을 마음을 다해 반드시 구해바쳤습니다. 그리고 산삼을 캐다가 드르린 일과 부엌으로 메추라기가 날아든 일화는 더욱 뛰어난 일입니다. 얼음 물고기와 눈 속 죽순만 옛날의 아름다운 미담이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裵以仁과 그의 동생인 裵以潑의 처 文氏 효성을 강조하고, 이어서 "이런 뛰어난 행실은 사람들과 고을의 儒者들이 많이 보고드렸지만, 아직 포방을 받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하고 애석함을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면서 포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고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능주목사는 처결을 30일에 내리길, "한 집안에 두 효행이 있다니 예부터 드문 일이다. 이런 뛰어난 행실은 만드시 포상할 날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西一面 化民洪壽巖梁伯永文永伯等 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 伏以 尊年褒賞 昭載國▣ 而今本面大谷里居裵以仁慈親金氏 乃簪纓之世族 而至于今年 則一百歲是乎矣 尙無褒賞之典者 以其子孫之微弱也民等旣在一面 不可含默坐視 故今方歲式轉聞之時 玆敢齊聲仰稟緣由 伏惟藻鑑己亥十一月 日化民 洪壽巖 梁百永 尹再衡 閔珏顯 朴致鉉 李應奎 文澣鎭 張啓昇 具相鳳 ▣…▣ 梁義▣ 鄭在元 閔宗顯 朴永壽 邢啓達 鄭福相 梁奎永 閔致萬 朴敏鉉 文永伯等考例擧行事十六日 禮吏[使] [署押][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