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춘암(春菴) 효자문 묘표 글씨 고문서-기타-서화 春菴 3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춘암(春菴)이 쓴 양광묵(梁光默)의 효자문 묘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雲谷精舍 期服民 曺晶煥 門生民 曺秉會 文相麟 權春植等 齋沐百拜上書恐鑑伏以雲谷精舍崇奉 聖賢畵像及 列聖朝御筆在所 愼重衛安之地 故自前依例應頉戶役矣 在年前逐戶新式後有說 而 呈單於前等 城主 則 題音內有曰雲谷精舍所重自別 本洞及該吏相議通變 以慕 尊師以敬 列聖朝御筆以奉萬年可也向事 敎是乎所 依例應頉矣 其後又有說 而 呈單 則 題音內有曰 詳査依古例頉給向事敎是所 更無他說矣 不意今春等戶布分給時 又有說焉 則 玆以緣由仰稟爲白去乎 伏乞洞燭敎是後 特爲頉給 俾無該吏與本洞相持之地 千萬伏祝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庚子五月八日 曺綺淳 柳相原 李在九 曺中煥 文章煥 張源鳳 曺秉周 徐玟珪 全永淳 具吉謨曺秉圭 文載弘 曺鼎煥 張聚奎 曺永煥 高德鎭 金永觀 曺弼源 具達謨 金萬源曺錫柱 崔 敬宇 裵翰珪 林鳳來 鄭根好 曺永承 宋鍾鳴 曺秉祚 韓奎東 鄭淳燮 等城主 處分官[署押](題辭)依前例 調停向事初八日 該洞頭民[和順郡印](私通)雲谷洞頭民前卽承 官司主分付內 向因雲谷曺民呈訴 泝考狀軸 則已有除役之蹟 故依前例施行之意題給矣 卽聞該洞洞任之白活 洞中則均排於曺民曺民則不數繇役 至於洞任替納之境云先聖尊宗之心 官民無間 新式以後 雖無蠲役之例 自下私通 曺民一戶之役 特减均排亦敎是故 玆以施通 須諒之地 幸甚庚子五月二十二日 公兄 金朴此亦中 卽爲回通 以爲告課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5년 조권필(曹權弼) 계후입안(繼後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禮曹 曺允漢 妻 尹氏 禮曹判書<書押> 16顆(7.8×7.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5년(영조51) 5월에 예조에서 조윤한 처 윤씨에게 조권필의 입후를 허락하는 내용으로 발급해준 계후입안 1775년(영조51) 5월에 예조(禮曹)에서 조윤한(曺允漢) 처(妻) 윤씨(尹氏)에게 조권필(曹權弼)의 입후(立後)를 허락하는 내용으로 발급해준 계후입안(繼後立案)이다. 조윤한이 아들이 없이 죽자 처 윤씨는 집안 동성 8촌 동생인 조익룡(曹翊龍)의 셋째 아들 조권필을 입후하기 위해 예조로부터 허락을 받았다. 이와 같은 계후 입안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조윤한 처 윤씨와 조익룡의 정장(呈狀: 청원서)을 관에서 수령한 후 두 쪽의 호구(戶口)에서 입적된 사실을 살피고, 조윤한 처 윤씨와 조익룡에게 각기 사실을 다시 확인하는 함사(緘辭)와 조목(條目)을 받은 후 이 문서들을 가지고 예조에서 단자를 만들고 이것을 승정원에서 국왕께 아뢰어 윤허를 받아야 했는데 이러한 과정이 문서의 내용에 모두 담겨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年五月 日禮曺立案右立案爲繼後事曺 啓呈故學生曹允漢無後其妻尹氏亦以其家翁同姓八寸弟翊龍第三子權弼立案爲良結呈狀爲白有去乙取考兩邊戶口則入籍的實是白在果尹氏所志內家翁嫡妾俱無子身死家翁同姓八寸弟翊龍第三子權弼欲爲繼後兩家同議呈狀依他立後事所志幼學曹翊龍所志內同姓八寸兄允漢嫡妾俱無子身死矣第三子權弼欲爲繼後兩家同議呈狀依他立後事所志尹氏緘辭內家翁嫡妾俱無子身死家翁同姓八寸弟翊龍第三子權弼欲爲繼後兩家同議呈狀的實曹翊龍條目內同姓八寸兄允漢嫡妾俱無子身死矣第三子權弼欲爲繼後兩家同議呈狀的實曹允漢曹翊龍等門長幼學曹章玉條目內曹允漢嫡妾俱無子身死其妻尹氏亦其家翁同姓八寸弟翊龍第三子權弼欲爲繼後兩家同議呈狀的實事所志及緘辭條目據相考則大典立後條嫡妾俱無子者告官立同宗支子爲後註兩家父同命立之父歿則母告官事載錄向前曹權弼乙曹允漢繼後何如乾隆四十年五月二十六日同副承旨臣洪景顔次知 啓依允敎事是去有等以合行立案者判書[署押] 參判 參議 正郞 佐郞正郞 佐郞正郞 佐郞[禮曹之印] 16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1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부(賦) 부제(賦題): 소응왈낙(笑應曰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23년 장치언(張致彦)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致彦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7.5×5.8)*同福郡印, 3顆(6.0×6.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5_001 1723년 11월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치언(張致彦, 5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9년 장성용(張聲容)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郡守 張聲容 *同福郡印, 1顆(4.2×4.3)*同福郡守之章, 1顆(2.5×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68_001 1899년 1월 동복군(同福郡)에서 유학(幼學) 장성용(張聲容, 5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康熙五年八月 日 海南縣考丙午成籍戶口帳內 比谷面第二內比谷里 住戶幼學尹譏榮 年五十三▣(甲)寅 本海南 父効力副尉權知訓鍊院奉事緘 祖保功將軍行訓鍊院習讀安中 曾祖嘉善大夫行定州牧使行 外祖學生安敬倫 本竹山 妻李氏 年二十八己卯 籍慶州 父武學春發 祖學生彦邦 曾祖訓鍊院習讀忠元 外祖忠義衛金有隣 本金海 率奴乭毛赤 年三十八己巳 父名不知母戶婢每秋 買得婢禮成介 年二十七庚辰 父私奴己生 母私婢者斤遠居 被奴吉南 年四十七庚申 父私奴㗟世 母戶婢能德 婢次玉 年二十六辛巳 父校生金輪母 戶婢栗音介花山面居等准給者行縣監[着押][周挾無改印][海南縣監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康熙三十五年十一月日海南縣考丙子成籍戶口帳內 馬浦第十四山幕里第二統第二戶 幼學李發源年六十七庚午本原州 父學生得信 祖學生希哲 曾祖學生瑀 外祖學生尹連本海南 妻尹氏年六十四癸酉籍海南 父學生鳴商祖學生特立 曾祖學生春陽 外祖學生尹夢麟本海南 率子幼學世寬年三十三甲辰 妻朴氏年三十四癸卯籍密陽 次子世芳年二十丁巳率婢連今年四十三甲午父私奴朴玉母戶婢連介 連今一所生婢連上年十七丁巳 外居秩奴連哲年二十八己酉父母上同 婢召上年三十九戊戌父私奴戒童母戶婢愛花癸酉戶口相準行縣監[署押][周挾無改印][印] 1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2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권(試券) 시제(試題): 예의(禮義) 시월야(是月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미년 자부(子婦)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子婦 어마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 12월 15일에 자부(子婦)가 시모(媤母)에게 쓴 한글 편지 신미년 12월 15일에 자부(子婦)가 시어머니[어마임]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눈 내리는 추운 날씨에 시어머니의 안부를 여쭈면서 시아버지[시부임]는 무사히 돌아오셨는지 궁금해하였다. 자신은 무고하게 잘 있음을 전하며 내내 안녕하시기를 바란다는 말로 끝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편지 앞면문안 알오여니 여ᄐᆞᆺ 설ᄒᆞᆫ긔텨후 만안ᄒᆞ오시며 어졔 일긔ᄒᆞᆫ열ᄒᆞᆫᄃᆡ 시부임 무사히 도라오신닛가 이곳 자부은 듕시하 〃명의 무고이 잇소오니 다향니로소이다 아올말삼 남사오나 그만 근치ᄂᆞᆫ이다 ᄂᆡ〃긔태후 안령ᄒᆞ오산가 바뢰나이다신미 십이월 십오일 자부 상살편지 뒷면어마임 전 상살근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