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海南李 先達 東欽 宅丹骨吏 金弘植 伏呈.回啣十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馬浦面五小坪稅代捧上記錢貳兩 他洞稅錢錢拾壹兩捌戔玖分 長寸稅錢錢肆兩肆戔伍分 安丁稅錢錢貳兩壹戔壹分 奉西稅錢錢貳兩伍戔參分 冷泉稅錢錢貳兩貳分 報新德稅錢乙酉六月卄九日 傳關色金[着押][印]馬浦冷川里稅代錢中拾壹兩壹戔伍分捧上 印本縣已奉納乙酉五月二十日 裝挩色 安[着押]馬浦冷川里明禮宮稅代錢壹兩捧上 印乙酉七月初八日捧上 安[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癸卯式同福縣內西面第五寶巖里第卄三統第五戶幼學鰥夫羅得儉年七十五己丑本錦城父通德郞 舜佐祖學生 景瞻曾祖學生 載挺外祖學生房啓亨本南陽率子幼學元翼年五十六戊申次子幼學元慶年三十三辛未外祖學生金萬錠本光山率孫幼學鉉成改名綏成年二十四庚辰外祖學生曺顥振本昌寧賤口逃亡婢福▣…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丙午式同福縣內西面第五寶巖里第 統第四戶通德郞鰥夫羅得儉年七十八己丑本錦城父通德郞 舜佐祖學生 景瞻曾祖學生 載挺外祖學生房啓亨本南陽率子幼學元翼改名廷吾年五十九戊申次子幼學元慶故外祖學生金萬錠本光山率孫幼學煥奎年二十七庚辰次孫幼學萬奎年二十三甲申次孫童蒙甲晦年十三甲午外祖學生曺顥振本昌寧賤口逃亡婢福丹癸卯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己酉式同福縣內西面第五寶巖里第 統第三戶父通德郞羅得儉故代子幼學廷吾年六十二戊申本錦城父通德郞 得儉祖學生 舜佐曾祖學生 景瞻外祖學生金萬錠本光山妻曺氏年五十一己未本昌寧父學生 顥振祖學生 允觀曾祖學生 命永外祖學生安性亮本竹城率子幼學采成年三十庚辰次子幼學鉉成年二十八壬午次子幼學鈺成年二十六甲申次子幼學奎成年十六甲午賤口逃亡婢福丹丙午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子式同福縣內西面第五寶巖里第 統第五戶幼學羅廷吾故代子幼學綏成年三十三庚辰本錦城父學生 廷吾祖通德郞 得儉曾祖學生 舜佐外祖學生曺顥振本昌寧妻林氏年二十九甲申本淳昌父學生 成祿祖學生 昌復曾祖學生 再茂外祖學生曺後周本昌寧率弟幼學埰臣年三十一壬午賤口逃亡婢福丹己酉戶口相準印行縣監[署押]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式. 五馬來莅隣邑後迨謂一次奉晤矣. 竟未如意瞻悵曷勝. 卽伏惟新元政候起居迓新▣…區區無任之至. 戚從粗▣…▣…▣…▣專恃專恃. 餘…▣姑不宣, 伏惟下照. 謹候狀.乙巳元月初二日, 戚從服人 李敬元 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向者營下拜晤, 至今懷耿. 伏惟政候起居履, 玆初寒益淂衛重,▣區具則幸矣. 何以則可更奉晤聲息, 莫憑有時, 只勞瞻言而已. 餘不備,伏惟下照. 謹拜上候狀.乙巳至月初三日, 少弟服人 晳東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前後便梯未遂一字修候, 是迺衰懶所使焉.敢望原赦之科耶. 卽於伻來, 淂奉抵家兒書,聞承大槩安信, 慰沃何可量也. 憑審宵回,靖居體宇淸裕, 允舍得做佳穩. 從氏棣床湛吉, 吾家人亦蒙庇安好, 何等奇幸, 而將其舅者, 洞於冗役, 便萬相忘, 沒情姑舍, 瞻聆豈非可駭耶. 査契無泮苦海, 到老愈深. 春夏經歷便是刀釼山水有不足枚擧耳. 惟餘累懷遣孫兒方留邑校忠健善課, 是爲差幸. 家兒日前入邑, 姑未返面, 未知何所關而然也. 內行以九月二十三日擇送, 倘無拘碍於農務耶. 仙庄又被穴損聞不勝貢悶, 荐致之之政, 何以堪當也. 餘万, 在續后, 姑不備禮.藥材價文, 家兒未還, 故未能付呈, 恨恨耳.乙丑八月十三日, 金性洙 二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拜追謝狀.屢書情益勤矣. 感荷無量, 而所布不隱, 情緖又可見. 君子用心之忠厚, 仰賀仰賀.書後有日,朞服體候連護保重, 仰溸不任勞祝. 弟山頹虞外頭擢失懷, 慟哭失聲, 罔知所措, 承訃之日病未奔哭, 望北發喪三日成服而已. 三事之理, 安任哉運氣, 劑別無記, 未副請悶悶. 但某生某生書擲生年月日時, 則以思量劑呈矣. 放學在那日, 而明春期某業耶.歲除不遠, 餘只祝餞迓茂祉. 不備, 追謝狀.丙二之日望, 心制人 金斗衡 拜謝.某年某月某日某時, 如此書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松石面化民梁相輔閔啓鎬尹滋鉉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 伏以敦尙儒術 尊德崇賢 卽我列聖朝衛道興學之大政 而窮搜巖阿 擧賢進能 又是刺史守相薦剡鄕貢之先務也 本面墨谷鄭斯文義林卽故觀察使公諱麟晋之十八世孫也 故應敎公諱熊之十三世孫也 故判書永思公諱演之十一世孫也 蘆沙奇先生諱正鎭之高弟也 自在孩提 已有敦孝之心 事父母極盡誠敬 凡戲嬉言語大有動人者 而材器超越 天性好學 年甫六七 學通史 八九歲 涉獵經傳 一自就傳之後 博洽群書 深究問學之要 纔逾成童 不遠千里 負笈往從於石塘鄭先生門下 先生與之講論 大加獎許 學未成就 先生旣沒 弱冠執贄于蘆沙奇先生之門 先生一見其儀容端正言語純粹 許之以朋遠來之樂焉 服事二十年 得其宗旨 其箚錄中難疑答問 積成卷帙 而尤精於庸學性理之書 旣篤於存養修齊之要 則先生之道 賴以不墜 而依鉢之託 可謂得其人矣 又於世安堂金先生 全齋任先生之門 俱有書贄之禮 無不延見 而稱賞之坼湖嶺海之間 鴻儒碩士 與之從遊 與之書問 則可見其師友之正學問之博矣自蘆沙易簀之後 固守林樊門不受 徒所讀者 程朱之書 所樂者 孔顔之道 而不以名利易其操 不以貪窮動其心焉 則尤見踐履之篤 出處之正矣 及持父母之制 哭泣之哀 喪葬之節 務盡誠禮 居廬三年 身不釋衰 鄕里莫不觀感而欽慕焉 苟無篤學之實 而其孝如是乎 其學行也 孝行也 冠冕於南服而前等時 累被鄕薦是乎乃 終未見闡揚之擧 則士林之抑鬱爲當何如哉 民等居在一坊 旣飽其德 亦不無好賢之心 而終不可泯默 故玆敢齊籲於孝理文治之下 特念擧賢進能之義 鄭斯文義林之文學行義 卽爲報營 薦聞朝廷 得蒙闡揚之地 千萬幸甚 伏惟藻鑑乙酉七月 日 化民梁相輔 閔啓鎬 尹滋鉉 鄭鳳鉉 梁益煥 鄭在綱 梁斗默 金佑鍾 文命純 廉錫浩 吳在鴻 南相必 閔致伯 等(題辭)孝行學行 固所欽歎而報營今非其時 姑俟後日向事 二十一日使[着押][綾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5년 이상호(李相鎬)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相鎬 綾州牧使 使<押> 綾州牧使之印 3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274_001 1885년 8월에 이상호 등 21명이 능주목에 올린 상서 1885년 8월에 이상호 등 21명이 능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능주 송석면(松石面) 묵곡(墨谷)에 사는 정의림(鄭義林)은 관찰사공(觀察使公) 정인진(鄭麟晋)의 18세손, 판서공(判書公) 정연(鄭演)의 11손이다. 정의림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어려서부터 천성이 학문을 좋아하고 부모에게 효성스러웠다. 뛰어난 학문에도 항상 겸손하니 여러 사람들이 그를 천거해야 한다고 여겼으므로 이 상서를 올린 것이다. 이상호 등의 상서에 대해 능주목에서는 학행이 진실로 흠모할 만하고 공의(公議)가 세월이 갈수록 더욱 좋아지지만 우선 후일을 기다리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서(上書)란 백성들이 관에 청원이나 탄원할 일이 있을 때 제출했던 소지류(所志類) 문서의 일종이다. 소지류 문서에는 상서 외에도 단자(單子)·발괄(白活)·의송(議送)·등장(等狀) 등이 포함되었고 각 문서들은 발급 주체나 수취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서식적 차이가 있었다. 상서의 경우 기두어에 '上書'라는 문구가 기재된다는 특징이 있다. 관에서는 이러한 소지류 문서의 여백에 제사(題辭) 혹은 뎨김[題音]이라고 부르는 처분을 내렸다. 제사가 기재되었다는 것은 관의 공증을 거쳤다는 의미이므로, 백성들은 제사가 기재된 문서를 소송 자료 또는 권리나 재산 등을 증빙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