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4년 조석윤(曺錫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和順縣監 曺錫胤 行縣監 *1顆(6.0×6.5)*吉挾無改印(墨印, 14.0×3.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68_001 1834년 화순현에서 환부(鰥夫) 유학(幼學) 조석윤(曺錫胤,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조석윤(曺錫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和順縣監 曺錫胤 行縣監 *1顆(6.5×6.3)*吉挾無改印(墨印, 14.0×5.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68_001 1840년 화순현에서 환부(鰥夫) 조석윤(曺錫胤, 6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9년 조병만(曺秉萬)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曺秉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380_001 1869년에 제출한 조병만(曺秉萬)의 시권(試券) 부(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2년 박태익(朴泰益)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政柱 朴泰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02_001 1912년 음력 11월 18일에 전주 박정주(朴政柱)가 전라남도 화순군 서면 웅곡에 있는 밭을 박태익(朴泰益)에게 팔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912년 음력 11월 18일에 전주(田主) 박정주(朴政柱)가 전라남도 화순군 서면(西面) 웅곡(熊谷)에 있는 밭을 박태익(朴泰益)에게 팔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정주는 자신이 매득한 밭을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웅곡리 촌전평(村前坪)에 있는 상자(翔字) 밭[田] 1편(片) 3마지기(결부수: 10부)이다. 이 곳을 전문(錢文) 180냥을 받고 팔았으며,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다른 문건에 붙어있기 때문에 주지 못하고 신문기(新文記: 본 매매명문) 1장만을 준다고 명시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전주 박정주와 증인 이춘화(李春化), 이장 박체규(朴替奎)이다. 토지소재지인 화순 서면 웅곡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도웅리 웅곡 마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正元年壬子陰十一月十八日 朴泰益[朴泰益信]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田 以要用所致 伏在元和順西面熊谷村前坪 翔字田一片三斗落卜數十負■庫乙 價折錢文壹佰捌拾兩依數捧上是遣 舊文幷付他文以新文一丈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異說則 以此文記憑考事田主 朴政柱[印: 朴政柱信]證人 李春化[印: 李春化]里長 朴替奎[印: 西面熊谷里長][印: 朴替奎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3년 장효지(張孝智)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英祖 張孝智 1顆(10.2×10.4)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20_001 1773년(영조49) 2월에 영조가 장효지(張孝智)를 통정대부로 임명한 노직 4품 이상 고신 1773년(영조49) 2월에 영조(英祖)가 장효지(張孝智)를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임명한 노직(老職) 4품 이상 고신이다. 문서 서두에 교지(敎旨)라고 적고 본문에 장효지를 통정대부에 임명한다고 적고 발급일자를 적은 후 일자 옆 왼쪽에 방서로 '83세의 나이로 특별히 가자하라는 전교를 받음'이라고 임명 사유가 적혀 있다. 통정대부는 문관 정3품 당상관의 관계이다. 조선시대는 백성 전체가 80세가 되면 노직 가자로 통정대부의 직첩을 받았다. 가자대상자의 선정은 매년 세수(歲首)에 관찰사로 하여금 고을의 장부와 호적을 상고하여 노인직을 제수 받을 자를 이전의 제수경력과 더불어 조사해 계(啓)를 올리고 이조에서 다시 사실을 확인하고 제수하도록 하였는데 장효지는 조사에 차질이 있어 83세가 되어서야 가자의 은혜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포충사(褒忠祠) 통문(通文) 초(抄)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褒忠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에 송와 정장규의 유고를 간행하고자 하니 호응해 달라는 내용으로 보낸 통문. 1928년에 포충사에서 보낸 통문의 초본이다. 松窩 鄭章奎의 유고를 간행하고자 契를 조직하고자 하니 호응을 부탁한다는 내용이다. 이 초본에 따라 작성된 통문의 원본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에서 '무진년 포충사(褒忠祠) 경의당(景義堂) 포장(褒奬)관련 통문(通文)'이라는 사료명으로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원문과 본 통문의 초본의 내용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문서 작성시기를 알 수 있다. 초본의 작성자는 '鄭'으로 적혀 있는데 원본은 鄭斗和 등이 연명되어 있다. 또한 이 통문에서 간행하고자 한다고 밝히고 있는 문집은 '故判中樞松窩鄭公'의 遺稿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는 『佯松窩遺稿』 1책 5권이 남아 있다. 여기에는 5세손 鄭煥琫이 지은 발문을 실려 있다. 본 통문 초본과 통문 원본에 분명히 5세손 '煥琫甫'가 유고를 간행하고자 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 중인 『佯松窩遺稿』은 이 통문에서 간행하고자 하는 '松窩鄭公'의 유고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문집의 간행년도는 1942년이다. 따라서 통문 원본에서 가장 먼저 이름이 기입한 鄭斗和는 일제시기에 생존한 조선귀족 정두화(1882~1939)일 가능성이 크다. 통문 서두의 松窩 鄭章奎의 생전 행적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정장규는 총명한 자질을 타고나서, 일찍이 雲坪 宋先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여기서 송선생은 송시열의 현손인 宋能相(1709∼1758)을 가리킨다. 그리고 金漢湖 선생에게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禮說에 대해 깊히 연구하였다. 그리고 文辭에 통달하였는데, 宋性潭, 李鏡湖, 朴謙齋 등과 교유하였다. 『佯松窩遺稿』에는 이 인물들과 주고받은 서간이 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당대의 석학으로 인정받던 정장규는 곧 어사의 천거로 능참봉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그는 상소를 올려 사직하며, '讀書하고 몸을 닦는 것은 선비된 사람의 본분입니다. 실상 없는 이름으로 성은을 잘못 입었습니다. 지극히 우매하고 극히 고루한 제가 어찌 감히 임금의 얼굴을 올려다 볼 수 있겠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정장규는 만년에 국왕의 부름을 받아 어전에 나아간 적이 있었다. 임금께서 '그대의 연령이 높으니 마땅히 壽爵을 내린다.'라고 하며 특별히 가선대부의 관품을 내리며 經筵에 입시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그는 또 늙어서 사리판별이 어둡워서 감당하기 어렵다고 사양하였다. 그리고는 곧 차자를 작성하여 聖學十圖를 제출하였다. 임금을 이를 극히 칭찬하며 判中樞府事의 직함을 내렸다. 끝내 관직 생활을 사양한 정장규는 사직을 요청하여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리고 곧 시골에서 학자의 학문적 의문에 답을 풀어주며 살았고, 매달 말에 鄕飮禮을 행하여 太極圖說을 강의하였다. 통문에서는 이와 같이 정장규의 삶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후, 곧 현재 후손이 그의 遺集의 초고 6책과 儀要補遺 상편을 갖고 있지만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간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5세손인 煥琫께서 지금 원고를 校印하길 원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위해 契를 조직하여 간행 비용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통문을 받는 곳에서는 부디 호응해서 도와주었으면 한다고 말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8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盧學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8년(순종2) 11월 24일에 답주 유학 노학겸(盧學兼)이 전라남도 능주군 회덕면 백암동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8년(순종2) 11월 24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노학겸(盧學兼)이 전라남도 능주군(綾州郡) 회덕면(懷德面) 백암동(白岩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노학겸은 자신이 매득한 논을 여러 해 동안 갈아먹다가 쓸 곳이 있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백암동 촌전평(村前坪)에 있는 여자(呂字) 논[畓] 1마지기 1배미(결부수: 5부)이다. 이 곳을 전문(錢文) 90냥을 받고 팔았으며, 신문기(新文記: 본 매매명문) 1장으로 거래한다고 밝혔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유학 노학겸과 증필(證筆: 증인과 문서작성자) 유학 박유근(朴有根)이다. 토지소재지인 회덕면 백암동은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1리 백암동 마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隆熙二年戊申十一月二十四日 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可 要用所致 伏在懷德面白岩洞村前坪 呂字畓一斗落一夜味負數五負㐣 價折錢文玖拾兩 依數捧上是遣 右前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言端之弊則 持此文記憑考事畓主 幼學 盧學兼[着名]證笔 幼學 朴有根[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조선왕조(朝鮮王朝) 세계도(世系圖) 2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17_001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세계도(世系圖)로, 인조(仁祖)부터 정종(正宗)까지 간략하게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6년 장성용(張聲容)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聲容 同福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896년 10월에 전라도 동복군 내서면 학당리에 사는 호주 장성용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옥 형태 등을 기록하여 제출한 호구단자 1896년(건양 1) 10월에 전라도 동복군(同福郡) 내서면(內西面) 학당리(學堂里)에 사는 호주(戶主) 장성용(張聲容)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옥 형태 등을 기록하여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장성용의 나이는 54세 갑진생(甲辰生)이고,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동식(東植), 할아버지 학생 정규(珽奎), 증조 학생 욱(旭), 외조(外祖) 학생 정문옥(丁文玉)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장성용의 아내 류씨(柳氏)는 나이 39세 기미생이고 본적은 고흥(高興)이다. 그 외 가족과 고용(雇傭)은 없으며, 살고 있는 가옥은 초가 3칸 집이다. 당시 동복군수의 이름은 최준상(崔俊相)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張孝智爲通政大夫者乾隆三十八年二月 日年八十三特爲加資事承傳[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장한익(張漢翊)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漢翊 谷城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795년에 전라도 곡성현 삼기면 농소막에 사는 호주 장한익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제출한 호구단자 1795년(정조 19)에 전라도 곡성현(谷城縣) 삼기면(三歧面) 농소막(農所幕)에 사는 호주(戶主) 장한익(張漢翊)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장한익의 직역은 유학이고, 나이는 53세 을사생(乙巳生)이며,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동지중추부사 효지(孝智), 할아버지 학생 치언(致彦), 증조 통정대부 운구(雲衢), 외조(外祖) 통덕랑 허세신(許世臣) 본관은 김해이다. 장한익의 아내 김씨(金氏)는 나이 39세 기미생이고 본적은 김해이다. 김씨의 사조는 아버지 유학 성창(聲昌), 할아버지 학생 만혁(萬赫), 증조 학생 여기(汝器), 외조 학생 서필항(徐必恒) 본관은 이천(利川)이다. 소유하고 있는 앙역비(仰役婢)는 연단(連丹)이고, 나이 54세 갑진생으로, 그녀의 어머니는 수영개(水营介)이고 아버지는 지부(之夫)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三歧面農所幕戶籍單子 一統二戶新戶幼學張漢翊年五十三乙巳 本興德父同知中樞府事 孝智祖學生 致彦曾祖通政大夫 雲衢外祖通德郞許世臣 本金海妻金氏年三十九己未 籍金海父幼學 聲昌祖學生 萬赫曾祖學生 汝器外祖學生徐必恒 本利川賤口仰役婢連丹年五十四甲辰丁酉自首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