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家兒之還 已審安節 而後復有日謹更請動止候一安 弟依劣何道 就春間 弟用山後 人之有言 實意外也 不過輕視遠人 財欲所貪中發生 若畧干副其意 則以我爲先道理 亦何害也 願兄善爲我周旋 使兩間無所憾焉如何 此指敎家兒事 至■圓美之地 切祝切祝 餘在家兒口達 謹不備候丁丑陰十月初五日 弟安鍾基拜拜終始所恃而無恐者 以有如兄輩數人在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禿峙 薛 都監 宅 執事 入納.城南 許田制 上候狀.省式謹封.(簡紙)間頗阻音, 伏用悵悚, 伏不審這裡體候萬相, 伏溯區區, 不任之至. 査生省事粗安, 伯仲氏俱爲平常, 伏幸何達. 就張也事, 不足責, 不足論, 而一日議送, 一日投榜, 許多險談,指不勝縷此, 所謂晝出之鬼也. 鬼神待接不過多費,且渠之當初出計, 又不過如是討索而已, 十分開喻, 莫如還送, 更無至起鬧之端,若何. 所謂議送與榜記, 玆賫送,覽可詳悉.此等人物不足爲㤼, 爲拘在我淺慮, 或恐累德於査丈故也. 餘姑不備, 伏惟.庚戌四月晦日, 査生 許錝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恭惟時下尊體對時萬重 仰頌且祝 就悚來陰三月十五日丁午에 忠孝祠廟庭碑除幕式을 擧行하오니忙勞枉駕하시와 前賢忠孝을 欽慕하시고後裔들의 誠意를 贊揚하시와 이 자리의 榮光을 祝福하여 주시압기 玆以仰告하나이다餘多不備上甲寅陰三月一日忠孝祠儒會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裴錫祉 字鎭萬 壬戌生 達城人 晦隱文祐后 大谷號顧堂安秉南 字 戊辰生 竹山人 牛山邦準后 梅亭號曺点燁 字松與 庚午生 昌寧人 莊襄公著后 ■莊峙里號碧山典校 李炳根 字號道齋 丁卯生 光山人 淸心堂調元 天台里一區(濟亭)[피봉]〈前面〉道谷面大谷里裴斯文學澈座下〈後面〉綾州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배석하(裵錫夏)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裵錫夏 大谷譜廳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년 2월 8일에 배석하가 대곡리 보청에 보낸 간찰과 자신이 지어서 첨부한 삼현향사단기 병○년 2월 8일에 배석하(裵錫夏)가 대곡 보청(大谷譜廳)에 보낸 간찰과 자신이 지은 삼현향사단기(三賢享祀壇記)를 뒤에 첨부한 것이다. 배석하(1857~?)는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자선(子善), 호는 관천(觀川)이고 칠곡에서 살았다. 배경국(裵經國)의 현손이고, 1902년에 천거되어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제수 받았으며, 문장과 덕행으로 사림의 추중을 받은 인물이고, 《관천문집(觀川文集)》이 전한다. 보청이 설치된 곳은 전남 화순군 도곡면 대곡에 설치한 보청이고 달성배씨 대곡파의 파보를 간행하기 위한 보소로 추정되며, 대곡파는 조선 단종조에 성환도 찰방(成歡道察訪)을 지낸 우재(寓齋) 배두유(裴斗有 1404~1475)가 단종의 손위(遜位)를 한탄하며 남쪽으로 내려온 뒤로 형성된 파이다. 간찰의 내용은, 보소에서 교감 편집하는 일을 하고 있는 분들에 대한 안부를 전하고 말석에나마 잠깐 참여한 뒤 집에 돌아오니 심한 피로를 느낀다고 소식을 전하였다. 그리고 백봉(栢峰) 족조(族祖)가 부탁한 《구소수간(歐蘇手簡)》과 금포(錦圃) 족조가 부탁한 《활순방문(活順方文)》을 보내드린다고 하였고 《회산운총(晦山韻摠)》은 아직 정리되지 않았으므로 다음 기회에 보내드리겠다고 하였다. 또 자신이 대곡보소에서 출발할 때 여러 종인들이 직접 부탁하였기에 부족하지만 〈삼현향사단기(三賢享祀壇記)〉를 지어 보내니, 만약 이 글을 쓰게 된다면 자신이 지은 것에 구애받지 말고 타당하지 않은 곳은 첨삭해서 남들의 웃음을 사지 않게 해달라고 하였다. 그리고 명전(名錢)은 각처에 통기해서 빨리 수납을 완료해서 보청(譜廳)에 납부할 계획이고, 족보를 분질(分秩)하는 사안은 마땅한 쪽으로 써서 올릴 계획이라고 하였다. 뒤에 첨부한 〈삼현향사단기〉는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에 있는 삼현사단(三賢祠壇)의 기문이고, 삼현사단은 1868년에 훼철된 면수재(勉修齋) 문자수(文自修), 의암(義菴) 민회삼(閔懷參), 수월당(睡月堂) 양이하(梁以河)를 향사한 옛터에 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前面)全南 和順郡 道谷面 大谷里裵致黙 氏釜山府 瀛州洞 五百十一番地【湖南여관】物産委托販賣 裵相珍旧三月四日【子基俊 永俊, 釜山市 釜田洞 507番地 釜田建材 電③2256】[郵便日附印: 釜山, 8. 4. 22, 后 0-4](後面)謹未審季春ᄋᆡ侍餘体度大安하옵시고 宅內諸節도 太平否 仰慰且祝耳 就告事由난 租九石餘斗을 放하여그든 石物ᄅᆡ 加入金三十餘円除之하시고 令条난 卽付送하시기을 仰望이옵고 至于今遲滯된긋션 身恙으로 前月辛告中ᄋᆡ 如此無礼되여신니 以此下諒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