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丁丑三月初四日奴婢主幼學喪人田福載年二十二白等號牌的實是齊本縣平陵居李命龍課狀內乙用良買賣眞僞推問敎是乎在亦矣亦遭此連喪亡弟之變喪債與生道爲難曾祖衿得慈母處別給婢卞音化三所生婢巡禮年四十六壬辰同婢巡禮一所生奴惡奉年二十三乙卯二所生婢二尙年十九己未三所生婢舍每年十六壬戌四所生婢禿德年十一丁卯五所生奴福男年六壬申等六口乙價折雌牛一隻錢文拾陸兩以交易捧上爲遣後所生幷以狀者李命龍前永永放賣的實是白去乎眞僞乙良參證各人等處當問敎施■事官白喪人未着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記右手記事段以愚昧所致親葬冒犯於射山李生員宅先山壓龍之地是如可其時現露以正月晦內掘移之意成手記是加尼無兄弟獨身卒發身病至今遲滯矣右宅呈訴題內當捉致督掘向事敎是乎所官決不如好樣故以四月念內掘移之意更爲成手記爲去乎若過此限則當告 官督掘事壬子三月初三日手記主 金相之[着名]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亥十二月十二日幼學李啓華前手記右手記事以愚昧所致親葬冒犯於右宅先山壓龍之地是如可今乃現露不得已來正月晦內掘移之意如是手記若過此限則以此手記告 官卞呈事手記主幼學金相之[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二年丁巳三月初八日門族李敦相前明文右明文事段要用所致傳來衿得婢加之一所▣〔生〕婢五木介年十五癸卯生身一口乙價折錢文貳▣〔拾〕兩依數捧上爲遣右人前後所生幷以永永放▣〔賣〕爲去乎日後子孫中如有雜談是去等持此文告官卞正事 此亦中本文記段都文書幷付故不得▣…婢主幼學李昌緖[着名]證人幼學李師杰[着名]證保幼學李師哲[着名]筆幼學李儒德[着名](背面)嘉慶二年丁巳四月十五日咸平縣背頉本縣居幼學李昌緖傳來衿得婢加之一所生婢五木介年十五癸卯生身一口乙價折錢文貳拾兩依數捧上爲遣本縣居幼學李敦相前後所生並以永永放賣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拾陸年丙申二月十六日 朴泰稷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成造居生是在 唵川面介山里伏在 藁字垈田四斗落只負數參卜 草家四間行廊二間庫乙價折錢文壹百兩交易 依數捧上爲遣 右前以新文記一張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他說隅是去等 以此文記 告官卞正事家垈主 幼學 李奎鎭[着名]證 幼學 徐邦烈[着名]筆 幼學 尹奎焃[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貳拾壹年辛丑十月十三日 前明文右明文段 唵川盖山里家垈後麓柴場 折價錢文參兩 右人前 永永放賣爲乎矣 限界段 籬外藮路長谷 依數捧上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憑考事柴場主 幼學 金基哲[着名]證人 幼學 徐五賢[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回喩事. 惟我卯洞大門中庫舍奉神守門成造之意, 已爲公意齊發矣.今二十六日木手兩人, 入於成造所, 則棟木運役次, 各處諸族而一心同力, 今晦日及英山佛唐峙斫伐次, 後錄發文爲去乎,右日來會, 以免葛藤之地, 幸甚.丙午元月二十六日.執綱 李孝永[着名]李濟遠[着名]成造有司 李仕銓[着名]龍盤池 三名 十八介 松主 李成粲百箇元項里 四名 卄四介德仁里 一名 六介秋堂里 二名 十二介靑湖 一名 六介路下里 五名 三十介安丁里 十名 六十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二三支川里戶籍單子…▣第三戶通德郞羅舜佐年五十九辛亥本錦城▣▣〔父學〕生 景瞻▣〔生〕父學生 景益祖學生 載挺▣〔曾〕祖學生 以驥▣〔外〕祖通德郞金處衡 本道康妻房氏年五十六甲寅 籍南陽父學生 啓亨祖學生 日佐曾祖學生 泰彦外祖學生崔鳳三 本和順率子得儉年二十一己丑己酉式仰役秩婢甲辰年四十三丁卯父良人太萬母婢順每各居秩奴卜同年二十四▣…婢卜丹年二十庚寅母婢甲辰父良人談伊婢林尙年不知母婢順每父良人林哥名不知壬辰逃去順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馬浦冷川米壹石捧上 印鄭[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大雲洞 ▣▣仁收 卄二卜一束 ┐▣乎 卄六卜一束 │▣奉 七卜一束 │▣金 卄▣▣卜 │大奉 六十三卜 │ 戶明金 八十四卜一束 │ 四結十一卜明才 卅九卜 │小仁收 卅三卜二束 │文啓 畓二卜 │二分 七卜一束 │宅德 卄五卜一束 │小無男 四十六卜二束 │春丹 十二卜一束 │夢石 一卜 │二德 七卜 │啓畓 一卜六束 │仝伊 六卜 ┘癸▣二月初七日淸溪代▣…▣[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7년 윤창효(尹昌孝)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漢䧺 妾尹氏 尹昌孝 金漢䧺 妾尹氏<右手>, 金尙澤<着名>, 金德估<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67년 12월 25일에 김한웅 첩 윤씨가 윤창효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767년 12월 25일에 김한웅 첩 윤씨가 윤창효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명문을 작성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이 전답은 첩 윤씨가 매득하여 경작해온 땅인데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해남현 대운동원(大云洞員)에 위치한 보리를 파종한[牟種] 양자전(染字田) 4두락, 부수(負數) 8복(卜)인 곳을 전문 6냥 5전으로 값을 쳐서 받고 방매하므로 일후 족속들 중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문서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는 내용이다.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명문에 기재된 매매 관련 사항은 명문의 작성일, 매수인의 신분과 성명,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 매매 이유, 매매목적물의 표시, 지불수단의 종류 및 액수, 본문기의 교부 여부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거래에 참여한 매도인, 매매 시 참여한 증인, 명문을 작성한 필집의 성명과 서명 등을 한다. 매매 계약이 성립한 후에는 새롭게 작성한 매매 명문인 신문기(新文記)와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가 적힌 구문기(舊文記)를 매수인에게 함께 양도해야 했다. 구문기로는 주로 분재기와 명문이 사용되었으며, 이들을 본문기(本文記)라고 한다. 명문에서 쓰이는 용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락(斗落)은 '마지기'로 한 말[斗]의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면적의 단위이다. 복(卜)은 수확량을 기준으로 하는 전답 면적 표기 방식으로, 지게로 한 번 질 수 있는 양이다. 곡식의 수확량은 토지면적의 단위로 쓰이면서도 동시에 수확량에 근거한 과세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양자(染字)는 토지를 측량할 때 붙이는 구분 순번이다. 천자문의 글자를 차례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호(字號)라고 하였고, 하위 단위로 지번(地番)을 사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二年丁亥十二月二十五日 幼學尹昌孝前明文右明文事段 自起買得耕食是如可 要用所致 本面大云洞員伏在染字田牟種四斗落只 負數八卜庫乙 價折錢文六兩五錢以交易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幷永永放賣爲去乎 日後族屬中 如有雜談是去等 此文告 官卞正事田主 幼學 金漢雄妾尹氏[右手掌]證 幼學 家翁從孫 金尙澤[着名]筆 幼學 金德估[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二東面第二三支川里戶籍單子第一統第三戶通德郞羅舜佐年五十六辛亥本錦城父學生 景瞻生父學生 景益祖學生 載挺曾祖學生 以驥外祖通德郞金處衡 本道康妻房氏年五十三甲寅 籍南陽父學生 啓亨祖學生 日佐曾祖學生 泰彦外祖學生崔鳳三 本和順率子得儉年十八己丑仰役秩婢甲辰年四十■■〔丁卯〕父良人太萬母■〔戶〕婢順每各居秩奴卜同年二十一■■〔丙戌〕婢卜丹年十六■■〔庚寅〕母■〔戶〕婢甲辰父良人談伊■…■〔婢林上母戶婢順〕■…■〔每父良人林哥名不知壬辰逃去〕順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時下,尊體百福, 仰祝仰祝. 第後石先生文集正寫事, 將欲於今月卄日開始爲計, 玆依衆望, 以座下選定書寫. 伏惟勿勞,枉臨以成大事, 千萬幸甚.若遷延時月, 則決無可編之日,更願速圖是望.辛未九月十日,湧珍精舍講會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丁酉式同福郡內西面鶴灘里第十三統第七戶故羅漢珪代子大運年三十一本錦城士業前居父學生 漢珪祖學生 綵成曾祖學生 廷說外祖學生宋庚黙本洪州奉母宋氏年五十二妻林氏齡二十六籍平澤率弟雷運年二十八嫂李氏籍光山弟且運年十七雇傭奴甲奉現存男三女三草家五間建陽二年正月 日行郡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丑式同福郡內西面鶴灘里第六統第四戶戶主幼學羅大運年三十五本錦城士業父學生 漢珪祖學生 綵成曾祖學生 廷說外祖學生宋庚黙本洪州奉母宋氏年五十六妻林氏齡三十籍平澤率弟幼學雷運年三十二嫂李氏籍光山現存男二女三草家四間光武五年月日 行郡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寅式同福郡內西面鶴灘里第十三統第七戶戶主幼學羅大運年三十六本錦城士業父學生 漢珪祖學生 綵成曾祖學生 廷說外祖學生宋庚黙本洪州奉母宋氏年五十七妻林氏齡三十一籍平澤率弟童蒙京運年十九現存男二女二草家四間光武六年月日 行郡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春間拚別以後, 詹望嵨雲,恒勞我懷. 未意便中, 伏承惠翰, 謹審溽暑侍餘起居, 以時有相, 令胤安侍, 區區慰荷, 無任卑私.弟省節遇熱多損, 已極參悶, 而外他蟰擾, 或日期生, 良覺苦哉. 敎意謹悉, 而頃者任置, 此中之刊所加入十一兩錢, 適値窮節, 未免犯用,然從當隨力辦送于咸悅, 後受答以送, 以此諒恕, 而勿慮小竢如何.餘適擾, 姑留績申, 不備候禮.己亥七月十二日, 世弟 宋秉燮 拜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禮拜言. 周朞三百不爲不多,而獨於有喪之家, 偏若迅駚,謹未審仲秋,孝中哀棣體候支安, 仰溸區區, 冲悵有倍常品. 弟省候粗安, 而眷率無警, 以是爲幸耳. 就祥期淹迫, 攀號之慟, 想復靡逮, 而以孝傷孝, 古人所誡, 則伏乞更加節哀, 回從禮制, 若何. 適有所縻末由奔慰, 恐其於情禮掃蔑, 只以若干些略物, 忘畧汗呈, 笑領如何.還爲愧騂也. 令弟氏消息種種聞之乎. 五月良便紙來到見之, 則住所未定, 故未曾爲摻候也. 則以此恕諒如何.貴庄農形或得穴農耶.鄙邊則日旱特甚, 拔穗已久也. 而長立不爲落穗, 則何望有秋乎, 歎之奈何而已.餘惟冀祥祀利成. 不備疏禮上.己巳八月十三日, 査弟 李起萬 拜疏上.令弟氏留在住所東京府 下馬兦町 字松原 四三一番渡辺八卽方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