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장정규(張珽奎)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珽奎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7.5×5.8)*1顆(6.5×6.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58_001 1843년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정규(張珽奎, 5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무자년 류희경(柳熙慶)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柳熙慶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6.5×4.4)*1顆(7.0×6.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자년 용천면(龍川面)에서 유학(幼學) 류희경(柳熙慶, 6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三年戊子十二月二十一日 幼學李彩原前明文右文爲以要用所致 伏在茶山坪崗字垈田四斗落只 卜數四卜四束庫乙 價折錢文三兩五戔 依數捧上是遣 右人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事田主 幼學 羅尙義[着名]證筆 尹忠彦[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1년 김태종(金兌宗) 등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寡婦 金氏 金兌宗 寡婦 金氏<右掌>, 朴能<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893_001 1791년 10월 6일에 과부 김씨와 장자 이윤이 김태종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791년 10월 6일에 과부 김씨와 장자 이윤이 김태종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명문을 작성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아 경작해 오던 다산평(茶山坪) 강자대전(崗字垈田) 4두락, 복수(卜數)로 4복 4속인 땅을 긴요하게 쓸 일이 있어 전문 3냥 5전으로 값을 치고 본문기(本文記)까지 아울러 방매하니 훗날 문중 자손들 중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문서를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는 내용이다.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명문에 기재된 매매 관련 사항은 명문의 작성일, 매수인의 신분과 성명,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 매매 이유, 매매목적물의 표시, 지불수단의 종류 및 액수, 본문기의 교부 여부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거래에 참여한 매도인, 매매 시 참여한 증인, 명문을 작성한 필집의 성명과 서명 등을 한다. 매매 계약이 성립한 후에는 새롭게 작성한 매매 명문인 신문기(新文記)와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가 적힌 구문기(舊文記)를 매수인에게 함께 양도해야 했다. 구문기로는 주로 분재기와 명문이 사용되었으며, 이들을 본문기(本文記)라고 한다. 명문에서 쓰이는 용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락(斗落)은 '마지기'로 한 말[斗]의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면적의 단위이다. 복(卜)은 수확량을 기준으로 하는 전답 면적 표기 방식으로, 지게로 한 번 질 수 있는 양이다. 곡식의 수확량은 토지면적의 단위로 쓰이면서도 동시에 수확량에 근거한 과세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양자(染字)는 토지를 측량할 때 붙이는 구분 순번이다. 천자문의 글자를 차례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호(字號)라고 하였고, 하위 단위로 지번(地番)을 사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7년 이복만(李福萬)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李福萬 盧濟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7년(순종1) 3월 29에 표주 유학 이복만(李福萬)이 노제상(盧濟庠)에게 전라도 화순현의 금양 산지의 일부를 팔면서 발급해 준 수표 1907년(순종1) 3월 29에 표주(票主) 유학(幼學) 이복만(李福萬)이 노제상(盧濟庠)에게 금양 산지의 일부를 팔면서 발급해 준 수표(手標)이다. 이복만은 촌(村)의 안산(案山)에 있는 자신의 선산(先山) 금양하는 경계에 아버지를 묻은 노제상에게 굴거해 갈 것을 요구했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자 전문(錢文) 20냥을 받고 함께 산(山)을 수호하기로 한다고 본 수표를 작성하여 노제상에게 주었다. 증인과 필집을 갖춘 매매명문의 성격으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표주 이복만과 증인 유학 손재춘(孫在春), 필집(필집: 문서작성자) 유학 이화서(李化西)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武丁未三月晦日票右票事 李福萬先山在於村案山 哀盧濟庠親山入葬于其禁養之界于今數年 福萬責掘是置事勢果難 故價折貳拾兩捧上 而協爲同山守之意 則伊後子孫與宗族中 如有雜說 則告官 之意 永許成票事票主 長孫 幼學 李福萬[着名]證人 幼學 孫在春[着名]筆執 幼學 李化西[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0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孫在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0년 손재춘(孫在春)이 이매(移買)하기 위해 밭을 방매하는 내용의 매매명문 1910년 12월 18일에 전주(田主) 손재춘(孫在春)이 작성한 토지 매매명문이다. 손재춘은 선대로부터 상속받은 밭을 이매(移買)하기 위해 방매한다고 사유를 적었다. 토지의 소재지는 능주군 회덕면(懷德面) 백암동(白巖洞) 가양평(可良坪)에 있고 자호(字號)는 여자(餘字), 면적은 2두락지(斗落只) 부수(負數)로는 4부(負) 8속(束)이며, 거래 가격은 전문(錢文)으로 85냥이다. 해당 토지에 대한 구문기(舊文記)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김양숙(金良淑)이 증인으로 참여하였고, 이장(里長)이 거래에 참여하여 인장을 찍었다. 이장이 거래에 참여하여 도장을 찍은 것은 1906년 토지가옥증명규칙(土地家屋證明規則)과 1907년 토지가옥증명사무처리순서(土地家屋證明事務處理順序)에 따른 것인데, 이에 따르면 거래사실에 대한 증명을 받기 위해서는 통수(統首) 또는 동장(洞長)의 인증서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별도의 인증서 양식에 따라 작성한 경우도 있고, 그 중에는 기존 명문에 증인이나 필집(筆執) 외에 이장이 참여하여 도장을 날인하여 인증서를 대신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명문에 그에 해당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07년 장운구(張雲衢)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肅宗 張雲衢 1顆(10.2×10.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07년(숙종33) 3월 3일에 장운구(張雲衢)를 노직으로 통정대부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 1707년(숙종33) 3월 3일에 장운구(張雲衢)를 노직(老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이다. 임명 사유가 기록된 연호방서(年號傍書)에는 '90세가 되어 진연(進宴)한 후에 은혜를 미루어 가자(加資)하는 일로 전교(傳敎)를 받았다.'라고 기록하였다. 조선시대 전체 백성은 나이 80세가 되면 노직을 받을 수 있었으며 90세, 100세 등에 각기 가자(加資)를 더해 받을 수 있었는데 첫 임명은 통정대부(通政大夫)부터 시작하였다. 이로보아 장운구는 90세가 되기 전에 노직을 챙겨 받지 못한 사례이다. 90세의 사서인(士庶人)이 노직을 받는 절차는 경조윤과 순영에서 세전(歲前)에 조사하여 계문(啓聞)하면 세수(世守)에 노직가자를 품의하여 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나라에서는 국역을 담당하기 어려운 노인들을 우대하기 위해 경로연을 베풀거나 직첩을 내어 줌으로써 우대하고 국역을 면하게 해 주었다. 노인직으로 인한 종부직(從夫職)이나 나이든 부녀자로 인하여 남편이 처의 직을 따르는 등의 일은 금지되었다. 노인직의 발급은 이조(吏曹)의 고훈사(考勳司)에서 담당하였다. 통정대부는 문관 정3품 당상관의 관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酉十一月卄四日馬浦冷川里丙戌稅米壹石捧上 印都監[着押][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酉十一月二十九日馬浦冷川里丙戌稅米壹石捧上 印官[着押][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丙戌正月二十三日馬浦冷川里稅米壹石捧上 印都監[着押][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酉十二月二十四日馬浦冷川里丙戌稅米壹石捧上 印都監[着押][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一年丙子式北面花南里戶籍單子第二統第一戶閑良李弼文年二十八己酉本光山父閑良 鳳彦年七十八己未祖學生 貴載曾祖學生 白雲外祖學生韓天儀本淸州妻朴氏年二十八己酉▣▣▣父學生 昌宗祖學生 太萬曾祖學生 斗益外祖學生金善明本金海女年三甲戌賤口婢順辰年五十四癸未[周挾 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七年丁酉式北面花南里戶籍單子第二統第四戶幼學李漢孝年三十四甲子本光山父學生 弼▣〔文〕祖學生 鳳▣〔彦〕曾祖學生 貴▣〔載〕外祖學生朴昌宗本密陽母年四十九己酉妻申氏年三十四甲子本平山父幼學 士學祖學生 ▣▣曾祖學生 ▣▣外祖學生李鎭發本全州賤口順辰年五十牧使[署押] [周挾 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九年己酉式花南面花南里戶籍單子第四統第四戶閑良李七權年四十六甲子本光山父學生 弼文祖學生 鳳彦曾祖學生 貴載外祖學生朴昌宗本密陽妻金氏年四十六甲子本光山父學生 仁孫祖學生 德萬曾祖學生 孝貞外祖學生金德瑞本金海賤口順辰▣…牧使[署押] [周挾 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二東面第二三支川里戶籍單子第六統第四戶幼學羅舜佐年五十辛亥本錦城父學生 景瞻生父學生 景益祖學生 載挺曾祖學生 以驥外祖通德郞金處衡 本道康妻房氏年四十七甲寅 籍南陽父學生 啓亨祖學生 日佐曾祖學生 泰彦外祖學生崔恭三 本和順率子得儉年十二己丑仰役婢甲辰年三十四丁卯父良人太萬母戶婢順每各居秩奴乭毛致年四十五丙辰父私奴暹金母戶婢良德居同福藍峙奴卜同年十八癸未父良人談伊母戶婢甲辰婢卜丹年十辛卯父母上同婢順每年五十八癸卯父私奴占山母戶婢尙烈婢林尙年十六乙酉父良人林哥名不知母戶婢順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