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7년 이병묵(李秉黙)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李秉黙 梁會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3월 5일에 척제 이병묵(李秉黙)이 양회갑(梁會甲)에게 족숙 사간공의 교지 및 왕복서류를 보여주고자 하오니 차동 명학정으로 왕림해 주기를 바란다고 보낸 우편엽서 1947년 3월 5일에 척제(戚弟) 이병묵(李秉黙)이 양회갑(梁會甲, 1884~1961)에게 왕림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보낸 우편엽서이다. 지난번에 군(郡)에 오겠다고 약속한 것을 왜 지키지 않는냐는 것, 자신의 족숙(族叔) 사간공(司諫公)의 교지와 왕복서류를 가지고 형에게 보여주려고 했는데 지난번에 출타를 하는 바람에 뜻대로 되지 못했다며 속히 일간 차동(車洞) 명학정(鳴鶴亭)으로 왕림해 주시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역대 왕조 세계록(世系錄)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단군조선(檀君朝鮮), 기자조선(箕子朝鮮), 위만조선(衛滿朝鮮), 사군한(四郡漢), 이부한(二府漢), 삼한(三韓), 삼국(三國), 신라(新羅), 고려(高麗)까지의 왕조를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조선왕조(朝鮮王朝) 세계도(世系圖) 1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17_001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세계도(世系圖)로, 태조(太祖)부터 선조(宣祖)까지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4년 동복군수(同福郡守) 고시(告示) 고문서-첩관통보류-고시 同福郡守 內北面執綱 行郡守 *同福郡守之章(1顆, 2.5×2.5)*同福郡印(3顆, 4.2×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4년 8월에 동복군수가 내북면의 집강에게 성균관의 경의 문답에 선발된 유생 장기홍에게 통보하여 음력 9월 16일 안으로 학부에 도착하게 한 다음 그 상황을 치보할 것을 명령한 고시 1904년 8월에 동복군수가 내북면(內北面)의 집강(執綱)에게 성균관의 경의 문답(經義問對)에 선발된 유생 장기홍(張基洪)에게 통보하여 음력 9월 16일 안으로 학부(學部)에 도착하게 한 다음 그 상황을 치보할 것을 명령한 고시이다. 이전에 도착한 부훈령(府訓令) 내용에 '성균관의 경의 문답에 선발된 본 군의 유생 장기홍에게 음력 9월 16일 안으로 통보하여 학부로 보내라'고 명하였다. 이에 군수는 바로 집강에게 '내북면 월선(月仙)에 사는 장기홍에게 통보하여 기한에 앞서 미리 출발하게 하고, 선발지에 도착한 다음 그 상황을 바로 치보할 것'을 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장윤문(張允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允文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7.5×5.6)*1顆(6.8×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828년 8월에 전라도 동복현에서 호주 장윤문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 1828년(순조 28) 8월에 전라도 동복현(同福縣)에서 호주 장윤문(張允文)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이다. 장욱의 사망으로 호주가 된 장윤문의 거주지는 내서면(內西面) 학당리(學堂里) 제3통 1호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나이는 35세 갑인생(甲寅生)이며,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욱(旭), 할아버지 학생 한신(漢臣), 증조 학생 효지(孝智), 외조(外祖) 학생 이필달(李苾達) 본관은 전주이다. 장윤문의 아내 류씨(柳氏)는 나이 37세 임자생이고 본적은 선산(善山)이다. 류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연수(演樹), 할아버지 성균생원 복삼(復三), 증조 학생 규홍(奎弘), 외조 학생 류성채(柳星采)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이외 가족으로 동생 유학 윤빈(允彬), 나이 31세 무오생이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종으로 돌윤(突潤)이 있다. 문서에는 동복현감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으며, 1825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을유호구상준인(乙酉戶口相凖印)'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6년 조봉환(曺鳳煥)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曺鳳煥 和順縣監 <書押> 1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6년(고종 23) 8월에 화민 조봉환이 화순현감에게 올린 소지 1886년(고종 23) 8월에 화민(化民) 조봉환(曺鳳煥)이 화순현감(和順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김문백(金文伯) 등이 자신 쪽을 고발한 소지에 관하여 언급하며 나정채(邏丁債)의 아직 주지 못한 돈은 이미 관가의 처분에 따라 향중(鄕中)에서 거두어 주기로 하였으니 임오년에 환배(還配)된 죄인에게 다시 거론하지 말라는 뜻으로 입지(立旨)를 성급해 주어 훗날에 증빙할 수 있게 해 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관에서는 27일에 무슨 훗날의 걱정이 있느냐며 이 문서로 빙고(憑考)하라고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化民 曺鳳煥右謹言 伏以金文伯等所訴內 都事及邏丁債未及條 旣有 官家之處分 而自鄕中擔當收議 依數劃給是乎所 玆以緣由仰稟爲去乎 伏乞洞燭敎是後 邏丁債未及條七十兩 旣有鄕中收給 則更勿擧論於壬午年還配罪人之意 立旨成 給 俾爲日後憑考之地 千萬伏祝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 丙戌八月 日官[署押](題辭)有何後慮 以此憑考向事卄七日[官印] 1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70년 전라감사(全羅監司) 감결(甘結) 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全羅監司 和順縣監 兼使<書押> 3顆(9.4×9.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0년(고종7) 5월 12일에 전라감사가 사마시에 입격한 조병만(曺秉萬)을 희현당에 오도록 하라는 내용으로 화순현감에게 내린 감결 1870년(고종7) 5월 12일에 전라감사(全羅監司)가 화순현감(和順縣監)에게 내린 감결(甘結)이다. 이번 봄 시험에 입격한 화순의 선사(選士)를 후록(後錄)하니 그를 이달 20일 희현당(希顯堂)에 모이도록 알리고 보내어 모르는 폐단이 없도록 하라고 지시하였다. 뒷부분에는 감결을 받은 일자와 시간을 기록하고 어떻게 일을 처리했는지 먼저 회신하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후록에는 조병만(曺秉萬)의 이름이 적혀 있다. 감결(甘結)은 상급관아에서 하급관아로 보내는 공문 중의 하나로 시급하게 처리할 사안이 있을 때 사용한 문서였다. 희현당은 전라도 유생을 교육하기 위해 전라 감영에서 직영한 전주 소재 영학(詠鶴) 교육기관 겸 출판사이다. 1700년에 전라 감사였던 김시걸(金時傑, 1653~1701)이 유생들의 강학소(講學所)였던 사마재(司馬齋)의 옛터에다 누정(樓亭) 형태로 새롭게 지은 학당이다. 전라 감영에서 직접 운영한 교육기관이었기 때문에 교육뿐 아니라 감영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용 교재를 인쇄하고 출판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甘結 和順本邑今春選士入格人 後錄發甘 今月二十日齊會於希顯堂之意 知委起送俾無未知之弊爲㫆 甘到日時擧行形止先卽馳報宜當者庚午五月十二日兼使[署押] 都事後曺秉萬際[官印] 3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東二面塾爲文報事 倫堂講會後 旣有兩度帖敎 而本面各里講儒所讀 自至這這收納之意 依官帖輪告各里已過三四日 收錄未及者居多 其在奉行之道 極爲惶悚 故以錄及者爲先馳報 而面下人擧行凡節待講會時齊禀措處之意 緣由並報爲臥乎事右 牒 呈城 主癸酉十二月初五日化民曺秉萬官[署押](題辭)本面講生 多於他面 而自至何其如也十三日則卞谷會講時 沒數畢至 幸甚初七日[官印] 1箇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單子 化民張東植惶恐仰達于城主閤下民質素癡獃學淺才踈而匪意向日猥沗校宮之任自顧劣陋似涉未堪玆以仰單 特爲許逓以私分千萬幸甚伏惟藻鑑癸酉二月 日〈題辭〉依施向事卄四日[官印]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장욱(張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旭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7.9×5.7)*1顆(6.5×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40_001 1825년 8월에 전라도 동복현에서 호주 장욱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 1825년(순조 25) 8월에 전라도 동복현(同福縣)에서 호주 장욱(張旭)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이다. 장욱의 거주지는 내서면(內西面) 학당리(學堂里) 2호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나이는 62세 갑신생(甲申生)이며, 본관은 흥덕(興德)이다. 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한신(漢臣), 할아버지 학생 효지(孝智), 증조 학생 치언(致彦), 외조(外祖) 학생 김진채(金振採)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장욱의 아내 이씨(李氏)는 나이 57세 기축생이고 본적은 전주이다. 김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필달(苾達), 할아버지 학생 갑훈(甲勳), 증조 성균생원(成均生員) 상회(相會), 외조 학생 이택후(李宅垕) 본관은 공주이다. 이외 가족으로 첫째 아들 유학 윤문(允文), 나이 32세 갑인생과 둘째 아들 유학 윤빈(允彬), 나이 28세 무오생이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종으로 돌윤(突潤)이 있다. 문서에는 동복현감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으며, 1822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임오호구상준인(壬午戶口相凖印)'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7년 장효지(張孝智)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張孝智 行縣監[着押] *周挾無改印, 1顆(墨印, 13.0×4.6)*1顆(6.7×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477_001 1817년 동복현(同福縣)에서 유학(幼學) 장효지(張孝智, 6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乙酉十一月三十四日馬浦冷川里丙戌稅米壹石捧上 印都監[着押][北倉都監圖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告示 內北面執綱前到 府訓令內經義問對業經考選而被選儒生本郡張基洪今隂曆九月十六日內知委起送學部亦敎是故玆以佈飭到即知委於本靣月仙居儒生張基洪使之受出本郡公文先期發程赴選爲旀令到形止先即馳報爲宜事甲辰八月卄六日[同福郡印]行郡守[同福郡守之章]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