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三山壇享之設 已爲聞知 擬以及期晉參在所不已 而未果者 緣何事故有大於此 而沒禮至此乎 反承 辱問自壇所先之 雖以如木石之頑 寧不無感愧 並摯乎 因審維夏■■僉體候度偕時益茂 實協仰禱 仁山遺稿之考校 行狀之撰述 猥被僉尊之敎而俯從 但切主臣者 於此信非其人文非其 幸惟望 下覽而可否之耳 將圖剞劂之云僉尊爲士林殫力之道理 令人歎仰 而斯文之類 世道之扶 自此有恃矣 幸孰大焉 更祈僉體益護 以利士林之望 餘留不備 惟下照戊戌四月十四日 殘生 鄭憲圭 拜謝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裵錫祉 小鎭萬 奉展貴門不幸 汝從兄錫烈不淑之凶音 來傳於萬千夢外 心焉驚愕 不能定情 其在從行至情之地 悲慟何以堪抑 人家氣數 朝暮不可恃者如是耶 嗟惜不已 更問這間見狀何如 渾眷無事 錫初種種相見否 久擬一者往問而病未能果 今反待汝兄弟間庶或有一次來往矣 尙爾寂然 不無憧憧馳神 先稿印出事 前與朴斯文同春偕議時 槩聞其措畵豫定之策 而於焉秋日過半消息莫憑■(無)悶淂乎 稿中補入書早已處斷而阻音如是 或他有委折在於其間耶 訝鬱之餘 畧付數字以探 餘企回示詳悉 都不宣己亥七月二十七日 姑叔 鄭憲圭 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願以蓬 茫寒凝 猥蒙 感諾 感荷良深 謹未審 季冬令體貞吉 區區拱祝 僕 姑保昔樣已耳 第約婚吉日涓呈 倘無所碍耶 餘在續后 不備 惟下照己酉臘月八日裴錫祉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稽顙拜言 支離全春離索捱過 而今見夏令有日自願景此春亦夏亦寂莫懷緖誰與一破 此時有便 眞千萬望外 矧淂承惠疏珍重者乎 旣驚且感 名喩實難 謹審侍省棣體候連衛萬旺 覃上均慶 實聽哀溯 無任下忱 罪弟 頑縷尙延 而惟幸慈闈姑寧耳 鄙先集 實賴遠近士友血心相扶之力至此無礙利成 其爲幸也 何可盡耳 但事竣后 自外在靡 不有種種逆耳之言 而此則足可爲一笑破者 鉅事後類多如是 今古何殊也今則分緬已盡食可甘寢可夢 龍城去月已送人納一帙 而嶺信則有不佳者爲彼人小拘不淂一帙分編云耳 自聞此報 竦然若肝膽俱墜此豈他人事耶 已經歷此境中 念慮之所無礙者天也 冊價先來 此實吾兩間薄風送之者 安瘀心乎 要之者嗜其利乎 堂初分帙之時 固無或有在傍未安難言處 故預不斷言而至此者兄非弟心也 貸用戔 豈有不要之理耶 間倘可一次見願望之者深矣 餘荒迷不次 伏惟哀照 壬子四月十二日 罪弟 鄭憲圭 拜謝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再拜狀上省式 俯蒙枉慰 已月改日富 更伏未審玆者春和上堂頤養氣體候萬無添損定餘起居珍相 允舍侍做佳勝 令大家尊少節一安否 遠外區區哀忱之至 族孫斬衰人 頑縷苟延 偏省年例善添焦懼無已 而但外家侍率依遣是幸耳就向時某處仰議婚說 如何間尙無消息 故日竢嶺天婚節 且晩信重之地 未可輕意事行 故玆送專价 可否間裏許回眎 仰企仰企耳 餘惟續后 不備䟽上己未三月十一日 族孫斬衰人柄夏 䟽上上堂前 當有仰候 而日思日冀 卒發今朝在軀未暇 此意仰達 遠望 而罪悚罪悚耳譜事未知如何否若去价早抵 卽日回送速爲還來是望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應春兄 侍座集史迺者悤悤作別 遽爾歲換僮僮〖憧憧〗一念 與時俱新 謹未認玆辰春府氣體候 茂納以休亞庭體度 連獲崇護 怡愉餘從友履佳相 溯之不淺 弟新年所得 只添一齒而已 豹皮依本価 有可賣之處 故置之而価文則暮春初入去之時 當相議耳 諒之如何 如干所托穀 相議於士極 賣於良木人 而如或未然 則某条區處 期於作錢 待之如何 專恃專恃耳向來時新蓂一件 中路求得 而仰呈于春府矣 登覽否 餘在早晏間面叙 都留不備癸正初四日 弟白文五拜大連付送 考領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宣城后人金潤奎再拜伏惟孟春尊體動止萬重 仰溸區區之摯就親事旣承頷可私家之倖耳 玆修剛儀兼呈柱單從速成禮伏望伏惟尊察 謹再拜 上狀丁亥正月十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大禮十月二十八日尊鴈納幣 同日巳時庚午十月初六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6년 양회갑(梁會甲)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澹對軒 講所 梁會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 9월 1일에 담대헌강소에서 양회갑을 노사 기정진 선생의 석채 일자를 알려온 통고문 1926년 9월 1일에 담대헌강소(澹對軒講所)에서 양회갑(梁會甲, 1884~1961)에게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선생의 석채(釋菜) 일자를 알려 온 통고문이다. 이달 15일에 석채(釋菜)를 봉향(奉享)함을 전한 내용으로 망기를 보낸 피봉이 함께 남아 있다. 수취자인 양회갑의 주소지는 화순군(和順郡) 도림면(道林面) 초방리(草坊里)이며, 발신처인 담대헌강소는 장성군(長城郡) 진원면(珍原面) 월송리(月松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皮封_前面)和順郡 道林面 草坊里梁 斯文 會甲 座下[郵便日附印: …▣長城, 15.10.▣…, ▣…▣][郵便日附印: 全南·絞▣, 15.10.10, 后0-4](皮封_後面)長城郡 珍原面 月松里(內紙)蘆沙奇先生釋菜以今月十五日癸未奉享玆以仰告于梁 斯文 座下丙寅九月一日 澹對軒講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6년 안석환(安錫煥)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安錫煥 綾州鄕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 5월에 능주향교(綾州鄕校) 안석환(安錫煥) 등이 교중(校中)의 인사들에게 1907년에 의병장으로 활약한 행사(杏史) 양회일(梁會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방안을 도모하자는 의견을 알리는 내용의 통문 1946년 5월 5일에 능주향교(綾州鄕校) 안석환(安錫煥) 등이 교중(校中)의 인사들에게 보낸 통문(通文)이다. 안석환 등 43명은 정미년(1907)에 의병장이 되어 앞장서 창의한 행사(杏史) 양회일(梁會一 1856~1908)의 업적을 임진왜란 당시 재조지은(再造之恩)에 견주면서, 능주에 공의 의열(義烈)이 있는데도 아직 한잔 술을 올릴 사당이 없음을 한탄하고 공이 광주에서 태어났으니 우리 광주가 공의 의열을 저버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교중에서 영세토록 보답할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자는 의견으로 보낸 통문이다. 행사(杏史) 양회일(梁會一 1856~1908)은 쌍산의소에서 의병활동을 주도했던 의병장으로, 화순군 능주에서 태어났고 본관은 제주이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 10월에 가산을 정리하고 화순 증동 마을에 창의소를 두어 의병과 병기와 군량을 준비하여 1907년 4월에 창의하였다. 화순과 동복, 능주 등지의 일본 헌병분파소를 격파하다가 체포되어 지도(智島)로 유배되었고, 그해 12월에 풀려나 다음해에 2차 의거를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1908년 7월 22일에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校中文湖南素穪忠義府庫粤自 穆陵壬辰至于 洪陵丁未殉國諸公前後相望盖其崇功偉烈一體同歸而杏史梁公實爲丁未首倡公以布衣舊于草野捐軀而無悔扶紀而有光吾鄕之有公爲吾南之有人吾南之有人獨不爲吾東之有人乎竊伏惟壬辰諸公大義聲于天下卒致我國家再造之運時則藎臣碩輔協贊王室內定廟算外控天援上下一心恢復大業猶久而後成今則不然自丙子至壬午乙未政權已在讐虜掌握無歲無變終至乙巳庚戌國遂以奪矣當初彼以開化修好等說嘗試之獨立保護之名啗誘之禍國毋廢君父內禪合倂靡所止届我國臣子苟非倭腸肚者孰不欲粉骨雪恥哉然而賊臣擁蔽四聰强寇盤據要地號令不通手足無所措于時公捐家資粮餉械杖不借人一分之力率自備行師堂堂義氣庶幾得伸則殲滅外寇誅討亂賊進闕號泣復先王舊典恢先王疆土籌回天轉移之策也然方伯守令無一非土倭軍隊營壘無一非賊藪公以不習無援之兵出師未捷志缺身殲奈天不祚宋何哉漢孔明鞠躬盡瘁死而後已成敗利鈍非所逆覩公之謂也是故袒胸大呼却敵兵之亂丸無殺一不辜之患自首控辟摧讐虜之鋒有秋霜烈日之凜當大事而談笑了之臨大節而不可奪有如是者矣嗚呼今天下共憤蕩覆黑齒之巢穴恢復紅槿之疆域救億萬蒼生漏船之命海外群雄祈天永命實與殉國諸公不謀同心仗義努力生死一致末後奠安宗社之日死義諸公之力不讓于壬辰再造之忠槩可知已目今京鄕追悼慰靈如恐不及獎義崇節可見人心不死之天矣吾綾有如公義烈而尙無一酹之侑是公生吾鄕之光而吾鄕負公之義也鄙等不忍緘嘿爲此仰喩于校中圖所以永世崇報之謀伏惟 僉君子商量回報千萬幸甚丙戌五月端陽日 發文綾州鄕校 僉座下 安錫煥 梁會潤 閔文鎬 朱善基 任泰鐘 安靖淳 吳永珣 鄭淳學 曺弼承 梁彦黙 梁會甲 梁在龍 梁會曼 梁會文 吳治度 閔泳淳 梁會麟 閔泳璿 曺日燁 黃承顯 安圭喆 魯相基 文宅浩 崔乙鎭 安鍾日 梁會淑 鄭敬采 鄭賢采 鄭英采 鄭鳳采 廉敏燮 崔基英 梁謹黙 梁柱承 梁會祥 梁炫承 南泰祐 裴鉉熙 尹龍赫 吳志鎬 梁和承 閔炳采 閔駿植 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37년 김용현(金容鉉) 엽서(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엽서 金容鉉 梁會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7년 음력 7월 12일에 호상인 김용현이 양회갑에게 양재홍의 아버지 양길묵의 죽음을 전하는 부고 우편엽서 1937년 음력 7월 12일에 호상인(護喪人) 김용현(金容鉉)이 양회갑(梁會甲, 1884~1961)에게 양재홍(梁在鴻)의 아버지 양길묵(梁吉黙)의 죽음을 전하는 부고 우편엽서이다. 뒷면에 부고라고 쓰고 양길묵이 노환으로 이달 9일에 세상을 떠났다고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未審日來貴兄體對時萬安 仰祝不已第悚來二十四日午前中 七松祠에서 七家會議를 開催하고 更債淸算밎春期享祀에 對하여爛商協議코저하오니 掃萬枉駕之地 千萬大望耳 餘立竢不備禮庚戌二月十八日李基來拜後山前 各未修書 以此傳告后當日同伴之地 且祝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會院▣…▣書特書揭于明倫堂大柱曰 國債報償前無論其樣例扶錢一幷停止事而去. 其義理何在, 而爲知有國而不知爲忠, 則設或秦之富楚之强, 囯不能爲國爲知忠, 不知有囯, 則雖有危亂之勢, 弘羊之利, 囯亦不能爲國矣. 今何梁會源何物馨香爲國云, 而不知爲國之本爲忠云, 而不知敬忠之道, 蔑視太學, 肆意臆見, 揭此悔賢藏忠之文,此可謂人生於三百不儀擧天下公共之大義者,則亦不可明淨聖夫, 故有此仰通, 彼爲以報償義捐雙擧而先債後義, 則容有可據以一幷停止事, 爲說是豈士子文法通到行. 座下特念, 尊賢慕忠之義, 躬探梁會源之意注,火速以示, 千萬幸甚.丁未三月五日.綾州 校中 僉座下經函敬履者間以爲 六忠臣建院宇事. 士論高起館通繼發於十三道各郡, 遭請捐義, 人心同然, 如雲行水後院役幾訖矣. 日前光州校中有道會之說, 故其翌日探之, 則綾州居前儀官梁會源斥忠排論大書特書揭付明倫堂大柱曰, 無論某樣例扶報償之前一幷停止事云, 故躬往月伻, 果如所聞, 更以見思義停止事三字, 甚爲糡糊, 亦非士子之文法矣. 大抵國債報償重且重矣. 明倫堂是尊賢慕聖▣…▣彼以何人恣行胸臆, 揭榜於莫重尊敬之堂柱乎.瞻觀駭妄, 問通於綾州 校中, 其答報內有皆曰可也之助矣, 而書揭云故又函報於光 校,其答有但垂手傍觀初無一言果辞云, 窃想閣下以期成會長, 必歸梁會源之惹閙顚末, 而近自建院所促函口到以不侫之蔑力殘象, 如梁會源凌忠侮義者, 末由奈何. 嗚呼,士氣漸凝世道雖降, 若因一梁會源不能尊尙忠義則豈不抑菀乎. 不敢擅便有此仰函, 另加參量, 卽賜 明示爲要.丁未三月九日期成會長 朴源奎 座下.敬函敬履者以不侫之不能典古識博但恨乎.梁會源之沮戱, 六忠使不能建院享百世不朽之芳名業敬名正其罪以士林之恥辱. 有人來言於余曰, 會源古己卯名賢梁學圃公之後孫 淵齋宋文忠公之高弟, 而平生以窮儉勤學能繼乎名祖從述乎. 賢孫余悶來不覺伻節起敬曰, 斯人也. 斯人果如是乎. 吾未知思而私通 貴校曰, 內懷浮念再函於期成會曰恣行胸臆. 此實不敢售於名賢之出孫, 何門之高弟之言非不知妄措之疵, 過不覺愧汗沾矣. 窃想 六忠大節閔忠正公繼承驪陽宋文忠公之攢述尤翁非徒國家之顯忠, 抑役斯文之有光, 其爲冠儒服儒涵泳乎, 濂閩者敢不敬慕欽崇乎. 且今吾輩生於衰世, 若不知賢爲賢, 知忠爲忠之, 義則一日之生不如一日之死, 故京外多士重議創院以享乎. 百世不易之賢忠, 或於蓮文, 而鳩財或於捐家而謀物世無義理後生輩糊塗說去一般惡口種種有之. 嗚呼, 此說莫足爲嫌然以岳或穆之忠秦檜讒焉. 程叔子之賢邪恕毁之不侫, 以謂我▣…▣之世, 豈有如秦檜邪恕之惡乎. 設有市虎之訛, 吾不信矣. 以一夫左袒衆心將憐, 則大義所在勢將何如. 想惟梁會源名祖之尙孫師門之高弟, 似不能凌賢毁師之擧, 是必無賴之輩, 做出意表之說, 以及斯人, 參量須 僉君子, 俯賜鑑亮, 此意輪布境內紳士, 速捐扶義, 千萬爲原綾州 鄕校 僉座下.敬函.敬履者 夫爲 國報償之也. 慕賢建院義也. 如忠之地不可無義, 如義之地不可無忠▣與義兼全則非但今日之得宜可或後世之称美也. 實必 國債報償前建院停止之義, 以愚灄見千萬思復, 則建院之義小無指於報償之忠, 故玆敢仰函, 奉須 鑑量幷行忠義, 以暢五百年中華之忠義於天下萬國, 千萬爲要.丁未三月二十二日期成會長 座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不審春欄僉尊體大安 區區溸仰且祝之至 生際玆適有堂叔母喪未副僉尊許不鄙愛我之誠 自顧愧赧無地 仰告是亦運耶命耶 矜此菲薄之人 甚勿責之地 千企萬望 餘徒縮不備候禮更祝僉尊體大安戊戌三月初五日 生尹在楠謹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6년 윤흠수(尹欽壽)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梁國民 尹欽壽 梁國民<着名>, 梁國臣<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6년 2월 23일에 한량 양국민이 계집강(契執綱) 윤흠수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06년 2월 23일에 한량 양국민이 계집강(契執綱) 윤흠수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명문을 작성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부모로부터 받은 전답을 여러 해 경작하다가 올해 들어 생활이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전세(田稅)와 사채(私債)를 갚아야 하기 때문에 전답을 방매한다고 하였다. 전답은 해남현 청계면(淸溪面) 정지평(井只坪)에 있는 난자답(難字畓) 1배미 2두락, 부수가 2복이 되는 땅이며 전문 ▣0냥을 받고 영구히 방매하니, 훗날 자손 중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명문을 가지고 관에 고하여 바로잡으라는 내용이다.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명문에 기재된 매매 관련 사항은 명문의 작성일, 매수인의 신분과 성명,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 매매 이유, 매매목적물의 표시, 지불수단의 종류 및 액수, 본문기의 교부 여부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거래에 참여한 매도인, 매매 시 참여한 증인, 명문을 작성한 필집의 성명과 서명 등을 한다. 매매 계약이 성립한 후에는 새롭게 작성한 매매 명문인 신문기(新文記)와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가 적힌 구문기(舊文記)를 매수인에게 함께 양도해야 했다. 구문기로는 주로 분재기와 명문이 사용되었으며, 이들을 본문기(本文記)라고 한다. 명문에서 쓰이는 용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락(斗落)은 '마지기'로 한 말[斗]의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면적의 단위이다. 배미[夜味]는 밭이나 논의 두렁을 기준으로 한 지형적인 경계 구분이다. 앞에 수효가 붙어서 같은 지번 내의 토지의 구획이 몇 곳인지를 표시한다. 복(卜)은 수확량을 기준으로 하는 전답 면적 표기 방식으로, 지게로 한 번 질 수 있는 양이다. 곡식의 수확량은 토지면적의 단위로 쓰이면서도 동시에 수확량에 근거한 과세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양자(染字)는 토지를 측량할 때 붙이는 구분 순번이다. 천자문의 글자를 차례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호(字號)라고 하였고, 하위 단위로 지번(地番)을 사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壹年丙寅二月二十三日 契執綱幼學尹欽壽前明文右明文爲事段 矣父母衿得畓 累年耕食是如可 當此今年 生道爲難?除良 田三稅與私債 自然許多報償之道 無路仍于 勢不得已縣地淸溪面井只坪伏在 難字畓壹夜味壹斗落只 負數二卜庫乙 價折錢文▣拾兩以交易 依數捧上爲遣本文記段 都文書載錄 故不得出給是▣…▣新文書一丈以 右人前永永放賣爲去▣…▣同生子孫中 若有雜▣(談)▣▣…▣此文記 告官卞呈▣(事)畓主 閑良 梁國民[着名]筆 舍兄 梁國臣[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8년 김한종(金漢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再曄 金漢宗 李再曄<着名>, 金胄胤<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8년 11월 24일에 이재엽이 김한종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08년 11월 24일에 이재엽이 김한종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명문을 작성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긴요히 쓸 곳이 있어 전에 매득하여 경작해온 옥천(玉泉) 다산평(茶山枰)에 있는 강자답(崗字畓) 3두락, 부수로 10복 4속이 되는 전답을 전문 20냥을 받고 방매하며 본문기 1장까지 모두 위 사람에게 양도하니 뒷날 다른 말을 하거든 이 문서로 바로잡으라는 내용이다. 명문은 주로 매매 등의 거래 내역을 작성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급한 조선시대의 계약서를 말한다. 명문에 기재된 매매 관련 사항은 명문의 작성일, 매수인의 신분과 성명,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 매매 이유, 매매목적물의 표시, 지불수단의 종류 및 액수, 본문기의 교부 여부 등이 있다. 마지막에는 거래에 참여한 매도인, 매매 시 참여한 증인, 명문을 작성한 필집의 성명과 서명 등을 한다. 매매 계약이 성립한 후에는 새롭게 작성한 매매 명문인 신문기(新文記)와 매매목적물의 권리 유래가 적힌 구문기(舊文記)를 매수인에게 함께 양도해야 했다. 구문기로는 주로 분재기와 명문이 사용되었으며, 이들을 본문기(本文記)라고 한다. 명문에서 쓰이는 용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락(斗落)은 '마지기'로 한 말[斗]의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면적의 단위이다. 배미[夜味]는 밭이나 논의 두렁을 기준으로 한 지형적인 경계 구분이다. 앞에 수효가 붙어서 같은 지번 내의 토지의 구획이 몇 곳인지를 표시한다. 복(卜)은 수확량을 기준으로 하는 전답 면적 표기 방식으로, 지게로 한 번 질 수 있는 양이다. 곡식의 수확량은 토지면적의 단위로 쓰이면서도 동시에 수확량에 근거한 과세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양자(染字)는 토지를 측량할 때 붙이는 구분 순번이다. 천자문의 글자를 차례대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호(字號)라고 하였고, 하위 단위로 지번(地番)을 사용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