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丙申十月初三日 前明文右明文事 遺來畓 累年收稅是多可 移買次 伏在順天黃田面山令村前坪攝字丁一斗落卜數三負九束奴礼德帳庫乙 價折錢文貳拾伍兩 依數交易捧上是遣 新旧文記幷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則 持此文記憑考事自筆 畓主 喪人 梁昌洙 喪不着證人 幼學 鄭永奎[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축문(祝文) 초(抄) 고문서-시문류-축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주자지신제축문(朱子地神祭祝文)과 인왕제축문(因王祭祝文)의 초본(抄本) 미상년에 주자지신제축문(朱子地神祭祝文)과 인왕제축문(因王祭祝文)을 필사하고 현토(懸吐)한 문서이다. 축문(祝文)은 상례(喪禮)나 제례(祭禮) 등 신을 대상으로 하는 의례에서 신에게 복을 기원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는 글이다. 신의 종류는 조상신, 토지신, 산신 등 다양하였다. 축문은 어떠한 일로 어떠한 신에게 올리는지에 따라 작성 방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축문식(祝文式)은 ?주자가례(朱子家禮)?, ?가례집람(家禮輯覽)?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주자지신제축문(朱子地神祭祝文)으로 토지신에게 가정의 행복, 횡액(橫厄)의 소멸, 친족의 번영 등을 축원하는 내용이다. 명당에 대한 점복(占卜)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터를 닦은 뒤에 올리는 축문으로 보인다. 두 번째 부분은 인왕제축문(因王祭祝文)으로 인왕토위(因王土位)에게 노친의 안위와 처자의 즐거움, 즉 가족들의 행복이 끊이지 않길 바라는 내용이다. 인왕토위가 어떠한 신을 지칭하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본문에서 사람의 인연(因緣)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불교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두 종류의 축문을 끝마친 뒤에는 각각 인왕대제(因王大祭)와 동토부(動土符)라는 글자를 적고 그 아래 상응하는 부적을 그려넣었다. ?주자가례? 등에 수록된 축문과는 달리 점복이나 부적 등 민간에서 널리 쓰이던 주술행위가 함께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강윤회(姜綸會)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姜綸會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0월 초8일, 강윤회가 상대의 은자 색이 변한 일로 값을 돌려드리겠다는 내용으로 쓴 서간. 10월 초8일, 강윤회(姜綸會)가 상대에게 준 은자(銀子)의 색이 변한 일로 값을 돌려드리겠다는 내용으로 쓴 서간이다. 지난번에 왕림해 주신 일은 뜻밖의 일이었다며 그때 당시의 일이 민망하고 부끄럽다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겸하여 주신 물고기에 감사하고 요즈음 상대와 그 아버지 등의 안부를 물었다. 상중인 자신은 하는 일을 어찌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주요내용은 은자(銀子)가 색이 변한 일을 두고 이에 추심(推尋)해 올리겠다는 것, 옳고 그름은 자신이 불민해서 그러한 것이라며 너무 책하지 말아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나머지는 이달 중에 만나 뵙겠다며 편지를 마쳤다. 발신자 강윤회의 이름 끝에 '어릴 때 이름은 자현(子賢)'이라는 주기가 달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分張便是年前, 景慕何時可弛. 謹未審春殷,尊春府査丈氣體候迎泰神護, 大都諸節一直佶勝否? 並溸仰切仰切. 罪弟頑縷食息, 無庶平人, 罪悚罪悚. 所率則無警, 私分之幸也.咸郞安侍善課否? 常在阿睹, 久無見止, 情私悵結, 專便有价, 愧極愧極, 望須命送如何? 餘謹不備. 伏惟尊照. 上狀.庚申二月八日, 罪査弟李明浩 拜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鉄樹花開六一年, 冲和氣味滿長筵, 膝下八兒皆璞玉, 樽前三老似祔仙, 東南好客座中盡, 海陸佳肴盘上連, 種德之門天必報, 聊知慶福永延綿.星州 都埰圭 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유원중(柳遠重) 등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柳遠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유원중, 송주익 등 8인이 계사에서 예를 올린 후 각자 1수씩 지어서 써 놓은 시. '계사행(溪祠行)'이란 제목을 달고 시를 짓게 된 서론을 쓰고 8인이 운자에 맞추어 지은 시를 기록해 놓은 문건이다. 서론에는 '계사(溪祠)에서 제사를 지내는 예를 올리고 의관(衣冠)을 갖추고 만나는 모임이 쉽지 않아 금방 헤어질 수 없어 매양재(梅陽齋)에서 이틀 자면서 여러 벗들과 운(韻)을 이용하여 시를 지어 호남의 두 벗에게 준다'고 했다. 시축에 기록된 작자(作者)는 서강(西崗) 유원중(柳遠重), 원재(源齋), 송주익(宋周翼. 字 相洛, 号 梧山), 김영옥(金永玉. 字 白明, 号 德隱)이며, 운천(雲泉), 도곡(道谷), 최상식(崔尙植. 号 黙軒)이다. 운자(韻字)는 능(能), 층(層), 정(灯)으로 각기 4절로 지었으며, 내용에는 어려운 행차에 늙은 벗들을 만나 매양재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우의를 다지는 내용들이다. 끝부분에는 최국환(崔國煥)이 지은 '옥계서원(玉溪書院) 전발장(傳鉢藏) 추모음(追慕吟)'이 적혀 있는데 역시 7언절구로 단독으로 지었다. 문서 뒷면에는 경남 합천군 봉산면(鳳山面) 노파리(魯坡里)에 사는 6인(김씨 5인, 최씨 1인)의 이름이 성명, 자(字) 순으로 적혀 있다. 앞면의 인물과 중복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이 기록은 합천의 옥계서원에 방문했다가 돌아오면서 알게된 사람들의 정보를 기록해 놓은 것으로 생각된다. 합천 옥계서원(陜川 玉溪書院)은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에 있는, 율곡 이이의 유물인 『격몽요결 』과 『해동연원록 』등을 소장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옥계서원은 1725년(영조 3)에 지금 있는 자리에서 4㎞ 정도 떨어진 향옥동에 세웠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던 것을 1867년(고종 6)에 마을 동쪽 200m 지점에 다시 세웠다. 서원의 건물로는 강당, 소원사, 내삼문, 외삼문, 관리사 등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二年丙子十一月初二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畓 累年耕食是多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求禮艮田面山亭村後德巨坪周字丁■(貳)〔伍〕斗落內北邊三斗落 右處已爲放賣是遣 南邊貳斗落卜數八負二束庫乙 價折錢文伍拾兩 依數捧上是遣 右前新舊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則 以此文記 告官卞呈事自筆 畓主 幼學 朴齊淳 喪不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0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王德仲 王德仲<着名>, 鄭士彦<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0년(고종37) 12월 14일에 답주 유학 왕덕중이 순천군 황전면 하도 중고개평에 있는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 1900년(고종37) 12월 14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왕덕중(王德仲)이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왕덕중은 자신이 매득하여 여러 해 벼를 받아 오다가 다른 땅을 옮겨 사기 위해서 판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순천군(順天郡) 황전면(黃田面) 하도(下道) 구룡(九龍) 뒤쪽의 중고개평(中高介坪)에 있는 종자(從字) 답(畓) 3마지기(결부수: 10부 5속)이다. 거래가격은 360냥이며 신문기와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를 모두 준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왕덕중과 증필(證筆: 증인과 문서 작성자) 유학 정사언(鄭士彦)이다. 토지소재지인 황전면 하도 중고개평은 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회덕리 구룡마을 일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四年己亥十二月十四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畓 累年捧禾是多可 移買次 伏在順天黃田面下道九龍後中高介坪從字畓三斗落卜數十負五束奴 帳庫乙 價折錢文參佰陸拾兩 依數捧上是遣 以新旧文記幷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異說則 以此憑考事畓主 幼學 王德仲[着名]證筆 幼學 鄭士彦[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10월 24일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朱子地神祭祝文 因王下降日 每月初六日 壬寅丁卯乙亥庚辰乙卯丙申日年月日宅主某敢昭告于土地之神 伏以無極有極 二五之精 妙合動靜 自然之性 物與同包 而最貴者 惟人占得福地 而所居者 明堂兩義之氣順逆相布 八卦之位 主客變更 占斗建之拱揖二十八宿十二星 作甲子之六十七十二候 太步之主 周而復始 陰陽擊搏 變而風雷 屬氣爲殄 震爲靑龍 動百物而爲靈 木得三人 主仁愛而居東 商爲朱雀 長百物而爲麗 大得二七 陰始生於陽中 免爲白虎 成萬物而爲義 金得四九露化霜而居庚 坎爲玄武 藏百物而爲芳 小得一六 陽始生陰中 四時之序 成功者去 一貫之理 無忘者成 有質則有節 體用之像 成像則有神 造化之靈 伏願一白二黑 百步之地 三碧四緣 神祿之塋 五黃六白 滅七灾之橫逆 七赤八白 消八難之厄境 龍吟虎嘯 文武之慶 左輔右弼 六親之榮 九紫地神 下臨百事 此下土所願云 尙饗因王祭祝文年月日某敢昭告于因王土位 人以三才之義 處於世因被燧人鑽火之德 相依主客之義 非人則無以成因王之位 非因則無以分禍福之問 人其億百蒼生 因爲三千六百之位 則今以某生身 旣爲主客 興福除禍 上安老親 下樂妻子 世世主客之道 永世不忘 尙饗因王大祭 動土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0년 이억천(李億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億天 行郡守<押> 周挾字改印, □…□ (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567_001 1780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이억천(李億天,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이억천(李億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億天 行郡守<押> 周挾字改印, □…□ (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567_001 1783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이억천(李億天,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호주 이억천(李億天) 나이 기재 오류, 45세가 아닌 48세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이종관(李宗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寬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582_001 1876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유학(幼學) 鰥 이종관(李宗寬, 8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호주 이종관(李宗寬)의 생년은 이전 호구에서는 무진(戊辰, 1808)으로 기재되었는데 병진(丙辰, 1796)으로 잘못 기재하여 나이가 훨씬 많아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候書向於枉杖, 意外意. 而率主客住, 且悶且恥矣. 兼在 惠鱄(?)萬賀不已. 伏不審此辰做候侍旺, 春堂亦萬康,幷溸且祝. 罪弟, 營事何喩.第銀子事 以爲色卞云,故玆呈推尋, 而其在是非, 於吾不敏, 勿爲 惠責,如何. 餘在月中面對, 不備.十月初八日, 姜綸會 拜疏.【小名 子賢】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