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8년 성균관(成均館)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成均館 珍島鄕校 西班首李<着名>, 東班首趙<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58_001 1858년 6월에 성균관에서 진도에 사는 종실 후손을 향교의 직임에 임명하라는 요청을 진도향교에 보낸 통문 1858년 7월 1일에 성균관에서 珍島鄕校로 보내는 通文이다. 진도군에 사는 종실 후손인 李啓春 등을 유생이 맡는 직임에 임명하라는 요청을 담고 있다. 통문 서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그쪽 군읍의 臨淮面, 牧場面에 사는 李啓春, 李明濟, 李寅植 등은 곧 우리 定宗大王의 제9자인 石保正의 후손입니다. 떠돌다가 바닷가 시골에 살고 있고 지금은 비록 한미하지만 金枝玉葉입니다. 유림 사이에서 校院의 직임으로 마땅히 우대해 주어야 합니다. 최근에 들으니, 그쪽에서 물리치고 반열에 끼워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소중한 璿源의 계파를 대하는 의리는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하고 있다. 이어서 통문을 보낸 구체적인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이에 士論이 격하게 일어나서 화양서원과 죽림서원이 성균관의 장관에게 사림의 의문을 묻는 통문이 도달했습니다."라고 하고 있는데, 여기서 진도향교에서 定宗의 제9자인 石保正의 후손에게 유림으로써 대할 도리를 하지 않은 조치에 대해 항의하고 있고, 이는 화양서원과 죽림서원이 성균관에 알리는 통문을 보낼 정도로 조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문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인 조치 전주향교에서 요청하는 바와 같이 속히 석보정의 후손을 '章甫之任' 즉 향교의 임원으로 임명하라는 것이다. 여기서는 '俎豆之列'에 나란히 할 수 있게하라고 표현하는 문구가 있다. 이는 석보정의 후손이 홀대받은 구체적인 사건이 향교에서 시행한 제사에 참여하지 못한 일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平陵面射山化民李啓華右謹言情由事世或有非理之訟而豈有如安寧洞▣…▣乎民之親山在於▣〔安〕寧洞左麓而同鄭履東稱以村▣…近率衆起訟是如可累度見屈末乃請和故▣其▣…▣給準價是乎則更無他說是乎矣山地主人卽其▣…鉉也民入葬之後山地不可不買故右人處折價成文時同鄭履東之子垸來勸賣買飮酒參見則渠之父▣…無他說而年前臘月日同鄭履東抑何所見▣…▣山地白虎至近處十步內臆奪之意敢自呈訴是乎所▣…子勸買其父起訟此何道理此何人事民不▣〔勝〕寃憤亦呈訴是乎則 題音內杵頭飢狗之自糠及米何足▣…責更若侵責是去等嚴治懲礪次捉待事敎是乎所民奉題音往視是乎則渠乃自知理屈更無他說矣▣…何奸計而更爲擧訟是乎喩民以所買文卷與本狀帖聯仰訴伏乞嚴明之下上項鄭履東處論理 題下以杜日後非理起訟臆奪之弊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壬寅二月 日〈題辭〉待新官更呈事十四日行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2년 이계화(李啓華)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啓華 咸平縣監 官[着押] 3顆(6.5×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816_001 1852년 이계화가 함평 현감에게 자신의 조모 산소에 투장한 김상지를 고발하며 무덤을 파 옮기도록 독촉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의 소지 1852년 3월에 평릉면 사산리에 사는 이계화가 신광면에 사는 김상지(金相之)와 산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함평 현감에게 올린 소지이다. 대동면 갈구지에 있는 이계화의 조모 산소에 지난해 12월 무렵에 김상지가 투장을 하였고, 추궁하는 과정에서 김상지는 1월 말까지 파서 옮기겠다는 내용으로 수기(手記)까지 작성하였다. 그런데 이미 기한을 넘긴지 한참이 되도록 차일피일 미루고 있으므로 이계화는 당시 작성한 수기를 첨부하여 이 소지를 올리면서 김상지를 법정에 붙잡아 들여서 투장한 무덤을 파 옮기도록 독촉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이에 함평 현감은 형리(刑吏)에게 붙잡아서 파내도록 독촉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平陵射山化民李啓華右謹言憤迫情由段不知法理縱欲偸葬者世或有之而豈有甚於新光面▣…▣居金相之爲名漢乎民之祖母淑夫人墳墓在於大洞面渴龜池壬坐之原而去臘月良中右漢金相之偸葬於▣之祖母山主龍壓脉不遠之地是如民卽聞此報顚倒卽往據理責之則渠以愚昧所致冒法犯禁是如以正月晦內掘移之意成手記萬萬哀乞故民暫發不忍之心忍憤姑爲限定矣今已過限久矣而渠以此頉彼頉▣…▣掘去以一邑之漢偸葬於一鄕士夫家禁養至近之地而延拖頑拒民不勝憤迫玆以手記帖聯仰訴▣…孝理之下 參商敎是後右漢捉致 法庭卽爲督掘以雪幽明之寃千萬祈恳之至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壬子三月 日〈題辭〉當捉致督掘向事初三日刑吏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齊淳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6년(고종13) 1월 15일에 답주 유학 박제순이 구례현 간전면 산정리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6년(고종13) 1월 15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박제순(朴齊淳)이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제순은 자신이 물려받은 논을 여러 해 지어먹다가 형편상 부득이하여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구례현(求禮縣) 간전면(艮田面) 산정리(山亭里) 덕거리평(德巨里坪)에 있는 주자(周字) 5마지기 중 북변 3마지기(결부수: 12부 4속)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210냥을 받고 팔았는데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다른 전답과 함께 있어 내어 주지 못하고 신문기(新文記: 지금 작성된 토지매매명문) 1장을 내어 준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박제순 1인으로 증인 없이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간전면 산정리는 현재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삼산리 산정마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33년 이남걸(李南杰)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智島鄕校 李南杰 智島鄕校(흑색, 5,2×4.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8월에 지도향교에서 유학 이남걸을 석전제의 수헌관으로 위촉하면서 보낸 망기 1933년 8월에 지도향교(智島鄕校)에서 유학(幼學) 이남걸(李南杰)을 제관으로 위촉하면서 보낸 망기(望記)이다. 향교의 문묘선적제(文廟釋奠祭)의 수헌관(首獻官)으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 헌관은 제사 시 술을 올리는 헌관을 말하는데 올리는 차례에 따라 초헌관(初獻官), 아헌관(亞獻官), 종헌관(終獻官)으로 부른다. 수헌관은 초헌관과 같은 용어이다. 지도향교는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에 있는 향교로 1896년 지도군이 새로 설치되면서 유림들이 뜻을 모으고, '1군 1향교'의 원칙을 따른 성균관이 주선하여 1897년 건립되었다. 문묘에서 해마다 봄·가을 상정일(上丁日)에 공자를 모시는 제사를 지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幼學李南杰文廟釋奠祭首獻官選定者孔子降生二千四百八十四年八月 日智島鄕校[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2년 이종관(李宗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寬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582_001 1872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유학(幼學) 鰥 이종관(李宗寬, 6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召史 金召史<右掌>, 李秉昱<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5년(고종2) 12월 15일에 답주(畓主) 김조이(金召史)가 영광군 후증도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65년(고종2) 12월 15일에 답주(畓主) 김조이(金召史)가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조이는 자신이 사서 갈아 먹던 곳을 쓸데가 있어서 판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영광군(靈光郡) 후증도(後甑島) 소지명(召地名) 대촌(大村) 뒤쪽의 당치(堂峙) 아래에 있는 정자(亭子) 위에 있는 밭[田] 2마지기와 개장동(盖葬洞) 산지 곁에 있는 전(田) 2마지기와, 개장동 산지의 동범(東犯) 내에 있는 익전(益田) 아래에 있는 밭 2작(作) 3마지기, 총합7마지기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60냥을 받고 팔며 본문기(本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잃어버려서 줄 수 없다고 명시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전주 김조이 이외에 증필(證筆: 증인과 문서작성자)로 참여한 이병욱(李秉昱)이다. 조이[召史]는 양민의 아내나 과부를 부르던 명칭으로 앞에 성(姓)을 붙여 호칭하였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영광군 후증도는 현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8년 이수현(李壽玄) 토지소유권 이전 등기신청서(土地所有權移轉登記申請)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壽玄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 崔永俊 3顆,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6.0×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78_001 1938년 11월 30일에 이수현(李壽玄)이 최영준(崔永俊)을 대리인으로 하여 토지에 대한 소유권 이전 등기를 광주지방법원 진도출장소(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에 신청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8년 이수현(李壽玄)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6.0×6.0), 司法書士朴容淳(1.5×1.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78_001 1938년 11월 30일에 이수현(李壽玄)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 등기를 신청한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대상: 진도군 임회면 봉상리(珍島郡 臨淮面 鳳翔里) 605番地 畓71坪 등 4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平陵面射山居李東憲右謹言情由段民先▣…▣淑夫人墳墓在於大洞面渴九之村右麓甲▣…▣原而山下居奸民輩稱以四山局內無主累累之塚謂其族山偸葬之弊每每有之故隨現呈官掘祛是乎乃日後又有偸葬之弊是良置四山局內勿許入葬事 立案成給事參商處分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壬辰七月日〈題辭〉依所訴成給向事 初一日行官 封印[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41년 이계화(李啓華)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啓華 咸平縣監 官[着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99_001 1841년 이계화가 부친의 무덤을 쓴 산지를 두고 정이동과 진행한 산송에서 함평 현감에게 제출한 소지 1841년 12월에 평릉면 사산리에 사는 이계화가 자신의 부친 무덤을 쓴 산지를 두고 정이동과 산송을 벌이면서 함평 현감에게 제출한 소지이다. 이계화는 지난 1836년 2월에 평릉면 안영동 좌측 산록에 부친의 무덤을 썼는데, 이때 마을 사람인 정이동 등이 인가 근처라는 이유로 소송을 벌여 패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분란을 진정하자는 뜻으로 간청하기에 이계화는 마을 근처에 있는 7마지기 논과 돈 10냥을 주면서 그들이 원하는 대로 문서를 작성하여 주었고, 마을 사람 정완, 김상지, 정식현 등 13인 명의로 다시는 침범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내용의 문서를 받았다. 그런데 정식현이라는 자가 따로 찾아와 자신의 시장(柴場)이 촌금(村禁)에 섞여 들어갔다고 주장하여 이 사람에게도 시장 값으로 15냥을 주고 문권을 받았으며, 정완이란 자는 이때 함께 술을 마시며 흥정하는 자리에 참여한 자라고 하였다. 그런데 느닷없이 정이동이 산지의 경계를 두고 억지를 부리자, 자신의 선산을 두고 벌어진 그간의 정황을 설명하면서 해당 산지의 소유가 자신에게 있음을 호소하였다. 함평 현감의 처분은 문서의 결락으로 인해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二年丙子正月十五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畓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伏在求禮縣艮田面山亭里德巨里坪周字五斗落內北邊三斗落只負數十二卜四束庫乙 價折錢文貳百拾兩 依數捧上爲遣 旧文記段 他畓幷付 故未得出給 以新文一丈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若有雜談紛紜之弊 則以此文記相考事畓主 自筆 幼學 朴齊淳 喪不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8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徐相基 金澤絃<着名>, 金贊斗<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고종35) 11월 20일에 답주 유학 서상기가 순천 황전면 산령촌의 논과 밭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98년(고종35) 11월 20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서상기(徐相基)가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서상기는 자신이 매득하여 계속 세금을 받아오다가 형세 상 부득이하여 방매하고자 한다고 하였다. 방매 토지는 순천부(順天府) 황전면(黃田面) 산령촌(山嶺村) 후평(後坪)에 있는 섭자(攝字) 정답(丁畓) 1마지기와 전(田) 태종(太種) 2마지기와 감나무 2그루, 유목(油木) 수 십 그루, 대추나무 수 십 그루와 회장(灰場)(총결부수: 7부 2속)으로 조(趙) 노(奴) 복만(福萬)의 이름으로 양안(量案)에 등재된 곳이다. 거래가격은 전문(錢文) 70냥이며,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갑오년 동학 소요 때에 유실되었다고 하며 신문기 1장으로 거래한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시 참여자는 전답주 유학 서상기와 증필(證筆: 증인과 문서작성자)로 유학 김택현(金澤絃), 김찬두(金贊斗)이다. 토지소재지인 황전면 산령촌은 현재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회룡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二年戊戌十一月卄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畓 累年收稅是多可 勢不得已 放賣次 府地順天黃田面山嶺村後坪攝字丁一斗落果田太種二斗落果柿木二株油木數十株棗木數十株灰場並負數柒負貳束趙奴福萬帳㐣 價折錢文柒十兩 依數捧上是遣 舊文記甲午東擾流失 故右人前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二說則 以此文記相考事田畓主 幼學 徐相基 喪不着證笔 幼學 金澤絃[着名]金贊斗 [着名]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