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강우백(姜遇伯) 처 순창조씨(淳昌趙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遇伯 妻 淳昌趙氏 行郡守<押> □…□ , 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651_001 1819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강우백(姜遇伯) 妻 순창조씨(淳昌趙氏, 62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4년 이돈덕(李敦德)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基榮 李敦德 李基榮<着名>, 李命建<着名>, 李奎衡<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4년 3월 26일에 李基榮이 門族인 李敦德에게 토지를 매도하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이기영은 재산을 매도하는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고 있다. 팔고 있는 토지는 조상에게 전래받은 텃밭의 동쪽 변에 있는 은행나무 바깥쪽의 唐字 자호 1마지기이다. 밭이기 때문에 면적을 '~~耕'으로 표기하는 관례가 있었지만, 숫자는 비워두고 '所耕'만 기재하였다. 結負數는 4부 1속이다. 토지와 함께 밭 바깥에 있는 뽕나무도 매도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본래 매도하는 목적물의 소유 경위를 증명해줄 문서인 本文記도 함께 넘겨야 하지만, 여기서는 '都文記에 함께 적혀있기 때문에' 지급하지 못한다고 하고 있다. 여기서 都文記는 재산을 물려주면서 여러 수취자의 재산목록을 통괄하여 작성한 문서를 가리킨다. 즉 이기영이 팔고 있는 토지는 물려받을 때 함게 작성한 분재기가 본문기가 도지만, 다른 재산이 함께 적혀 있어서 이를 넘길 수 없다는 뜻이다. 매도하면서 받은 대금은 동전 28냥이며, 문중 동족인 幼學 李命建이 증인을, 문중 동족인 幼學 李金衡이 필집을 맡아 문서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술년 이도전(李道銓)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道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술년 12월 24일, 사제 이도전이 사돈댁에서 보내 온 풀보기 잔치음식에 감사를 전하고 며느리를 칭찬하는 내용으로 보낸 답장편지. 경술년 12월 24일, 사제(査弟) 이도전(李道銓)이 사돈댁에서 보내온 풀보기 잔치음식에 감사를 전하는 내용으로 보낸 답장 편지이다. 하룻밤을 함께 하고 곧바로 헤어져 돌아가신 것이 마치 꿈같다며 돌아간 후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전날에 다 저물어서야 집으로 돌아왔고 집안은 별일이 없었다고 전했다. 편지의 목적은 길일(吉日)에 대례(大禮)를 잘 치렀으며 새로 온 며느리가 뜻밖에도 참 정한(貞閑: 곧고 품위 있는)한 예의범절을 갖추었다며 칭찬했다. 보내준 풀보기 잔치(혼인한지 3일 만에 베푸는 잔치) 음식에 감사를 전하고 새해를 맞이하여 만복하시기를 기원한다고 인사하고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한룡(李漢龍)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李漢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43_001 전의 이한룡이 난재 권 어른의 수연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7언율시 형식의 수연축하시 1수. 전의(全義) 이한룡(李漢龍)이 난재(蘭齋) 권(權) 어른의 수연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7언율시 형식의 수연축하시 1수이다. 피봉에는 '족질(族侄) 은재(隱齋)의 수일(晬日)에 차운(次韵)한다'라고 적었다. 자세하지는 않지만 은재 권씨는 영남의 사림으로, 이한룡은 고종대의 학자로 보인다. 본문의 시제와 피봉이 다른데, 은재와 난재가 동일인인지 불분명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次呈蘭齋權丈晬宴韵.臺山來脉頭流連, 從古稱多不老仙, 公道人間雖白髮, 最憐衰境似靑年,請看蘭叟淸肌骨, 非是松村食火烟, 滿座賓朋多賀頌, 題詩瓊軸各,爭先.全義 李漢龍 謹呈.(皮封)次族侄隱齋晬日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강윤흠(姜允欽)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姜允欽 李洪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강윤흠이 이홍인에게 자신의 어려운 생활을 전하고 어제는 무슨 일이 있었느냐고 물은 서간. 강윤흠(姜允欽)이 이홍인(李洪仁)에게 자신의 상황을 전하고 어제는 무슨 일이 있었느냐고 물은 편지이다. 편지의 예식을 최대한 줄여 몇 줄로 기록한 편지로 자신에게 가장 어려운 일은 쌀〔米〕 몇 두(斗)의 일이라고 말하고 어제는 혹시 만날 수 없었느냐고 물었다. 받은 편지를 훗날 누가 다시 베껴 쓴 것으로 발신자를 적은 란에 '강윤흠으로 소명(小名)은 자현(子賢)'이라고 적어 놓았다. 발신자 란에 적힌 '중만(重萬)'은 전라남도 진도군 임이면(臨二面) 중만리(中萬里)로 강재호(姜在皥), 강진흠(姜進欽) 등이 함께 거주했던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李 大雅 洪仁 侍案 入納拜式言. 先肅後言裕不可,當, 又不可於義, 方此客中事也. 第所言且恥, 最難者米那斗間事也. 氣獲亦盍問耶. 昨日倘拘逢耶.中萬 旅中 【姜允欽 小名子賢】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8년 이동범(李東範)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 3顆(6.0×6.0), 司法書士朴容淳 2顆(1.5×1.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80_001 1938년에 이동범(李東範)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전 등기를 신청한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대상: 진도군 임회면 봉상리(珍島郡 臨淮面 鳳翔里) 515番地 畓1204坪, 715番地 畓120坪, 1517番地 畓223坪, 1537番地 畓532坪, 547番地 畓154坪, 867番地 畓103坪, 177番地 畓361坪, 579番地 畓21坪, 3537番地 畓134坪, 774番地 田587坪, 384番地 田562坪, 325番地 田835坪, 625番地 田410坪, 3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三年丁丑八月卄五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茂界 累年起耕是多可 移買次 求禮艮田面龍池洞眼山坤軰山茂界二谷三登 價折錢文貳兩五戔 依數捧上爲遣右前新文記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相考事茂界主 自筆 幼學 金石禮[畵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崔箕瑞 崔箕瑞<着名>, 韓道一<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5년(고종42) 1월에 답주 유학 최기서가 구례군 간전면 당자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905년(고종42) 1월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최기서(崔箕瑞)가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최기서는 자신의 답을 다른 땅으로 옮겨 사기 위해서 구례군(求禮郡) 간전면(艮田面) 가수평(哿誰坪) 당자(唐字) 2마지기(결부수: 7부5속)를 전문(錢文) 310냥을 받고 판다고 하였다.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중간에 잃어버려서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거래한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최기서와 증인 한도일(韓道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九年乙巳五月日 前明文文爲段 自己畓 以移賣次 伏在艮田哿誰坪唐字二斗落□□夜味卜數七卜五束庫乙價折錢文參佰十兩 依數捧上是遣 舊文段中間閪失 故以新文一張 右前永永放賣 日後憑考事畓主 幼學 自筆崔箕瑞[着名]訂人 韓道一[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택일기(擇日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집을 짓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익조(鄭翊朝) 사성록(四星錄) 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鄭翊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익조(鄭翊朝)의 사주기록(四柱記錄) 정익조의 사주(四柱)는 乙亥 戊寅 庚子 戊寅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賣買契約書一 所在地名 全羅南道順天郡黃田面道元里內洞大谷坪一 地目養山一 面積一 境界四標一嶝二谷東路西南長嶝北川一 賣買價格貳什四円也一 賣買年月日大正二年六月二日前記不動産은 賣主의 所有인바 今般前記代金으로賣主의계 賣渡ᄒᆞᆷ의 對ᄒᆞ야ᄂᆞᆫ 自今賣主가 前記養山의 關ᄒᆞ야 完全ᄒᆞᆫ 所有權니 有ᄒᆞᆯ事을 保証ᄒᆞᆷ右契約으 確實된거을 証ᄒᆞ기 爲ᄒᆞ야 証書一通을作ᄒᆞ야 保証人과 里長니 連署로 捺印ᄒᆞᆷ順天郡黃田面道元里二統二戶賣渡人 李起馥[李起馥信]仝郡仝面山令里一統二戶買受人 鄭翊朝[鄭翊朝信]仝郡仝面道元里一統十戶保証人 尹秉錫[尹秉錫信]仝郡仝面仝里一統一戶里長 鄭璣鎔[鄭璣鎔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一宵奉晤, 娓娓不已. 旋□別歸, 殆若梦境. 謹審數漢落,體上動止連衛萬重, 都節各得均安, 並慰仰區區之至. 査弟日昨乘暮低巢,別無次欠矣. 就日吉辰良大禮順成, 而且新人貞閑儀範, 寔出料外, 餘何可望, 而餪物之惠饋, 出於念□, 私悶私悶耳. 餘只祝迓新萬祉. 不備謝禮.庚戌十二月二十四日, 査弟李道銓 拜謝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위혁기(魏赫基)·최익규(崔翊奎)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魏赫基 長川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농우 위혁기와 소계 최익규가 만성옹의 74세를 맞아 추보하여 지은 7언시 각 1수. 농우(籠愚) 위혁기(魏赫基)와 소계(小溪) 최익규(崔翊奎)가 만성옹(晩惺翁)의 74세를 맞아 추보(追步)하여 지은 7언 절구 각 1수이다. 내용은 아들과 손자들과 성내에 가득한 여러 군자들에게서 축하를 받는 인간 세상의 한 늙은 신선을 그린 시와 백발의 74세를 맞은 이를 신선으로 그린 시이다. 운자는 년(年), 천(天), 선(仙)이다. 문서의 끝에는 전라남도(全羅南道) 장흥군(長興郡) 고읍면(古邑面) 장천재(長川齊) 별장(別長)이라고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追步晩惺翁七十四朝韻子葉孫枝護永年, 分明壽祿自伊天, 滿城獻賀諸君子, 爭說人間一老仙.籠愚 魏赫基.自髮蕭蕭今幾年, 七旬又四老長天, 壽爲多辱何須說, 多子多孫是地仙.小溪 崔翊奎.全羅南道 長興郡 古邑面 長川齊 別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도채규(都埰圭)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都埰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도채규가 누군가의 61세 회갑을 맞이하여 축하하는 내용으로 지은 수연시 1수. 성주(星州) 도채규(都埰圭)가 누군가의 61세 회갑을 축하하는 내용으로 지은 7언율시 1수이다. 운자는 년(年), 연(筵), 선(仙), 연(連), 면(綿)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