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姜萬貴贈折衝將軍僉知中樞府事者康熙五十八年十二月初三日嘉善大夫加設同知中樞府事姜德尙祖考依法典追 贈[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8년 강홍제(姜弘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齊 行郡守<押> □…□ (7.5×7.5), 周挾字改印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651_001 1768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제(姜弘齊, 3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四十九年甲辰三月二十六日 門族敦德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垈田 西邊杏木外 唐字 一斗落 所耕 四負一束庫果 开田外自桑木處幷後山三株松下爲境界是遣價折錢文二十八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如有雜談是去等持此文卞正事此亦中 本文記段 都文幷付 故未得出給事垈田主 門族 幼學 李基榮 [着名]證 門族 幼學 李命建 [着名]筆 門族 幼學 李金衡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1년 강홍제(姜弘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齊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651_001 1771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제(姜弘齊, 3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강홍제(姜弘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齊 行郡守<押> □…□ , 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651_001 1813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제(姜弘齊, 7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9년 이규대(李奎大)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李顯義 李奎大 李顯義<喪人未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69년 2월에 이현의가 집안 사람인 이규대에게 노비 3명을 팔면서 작성해준 매매명문. 1769년 2월 18일에 李顯義이 門族인 幼學 李奎大에게 노비를 매도하면서 작성해준 노비매매명문이다. 이현의는 재산을 매각하는 시유를 '상을 당한 나머지 喪債를 마련하여 갚을 방도가 없어서'라고 하고 있다. 팔고 있는 노비는 총 3명인데, 그 인적 사항은 '婢 答禮의 둘째 소생인 奴 月金, 넷째 소생인 奴 德岩, 다섯재 소생인 婢 德禮'이다. 매도하고 받은 금액은 동전 27냥이다. 문서를 작성하면서 증인은 따로 갖추지 않았고, 필집은 매도자인 이현의가 직접 맡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參拾肆年己丑二月十八日 門族幼學李奎大前明文右文爲事段 喪敗之餘 喪債末由備報 故婢答禮二所生奴月金 年二十七壬戌 四所生奴德岩回年十九辛未 五所生婢德禮 年十六甲戌 參口乙 後所生幷以 價錢文貳拾柒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等 持此文卞 政事奴婢主自筆 李顯義 喪人未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오년 정흠만(鄭欽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欽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10월 28일, 사제 정흠만이 사돈댁에서 안부편지와 함께 보내온 물건들에 감사를 표하고 사돈댁의 요청대로 아들을 보낸다는 내용으로 쓴 답장 편지. 갑오년 10월 28일, 사제(査弟) 정흠만(鄭欽萬)이 사돈댁에서 안부편지와 함께 보내온 물건들에 감사를 표하고 사돈댁의 요청대로 아들을 보낸다는 내용으로 쓴 답장 편지이다. 그리워하던 중 상대의 편지를 받고 가까이서 뵙는 것 같았다고 인사했다. 10월이 저무는 날에 상대가 평안하고 가족모두 잘 지냄을 알았다며 위로되고 마음이 놓인다고 했다. 자신은 겨우 모양을 유지하며 지내고 있다는 것, 근래 어린아이에게 문제가 생겨 사적으로 매우 걱정된다고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사돈이 보내준 여러 가지 물건에 너무 과념하였다며 도리어 불안하다고 인사했다. 집 아이를 말씀대로 보낸다며 모레 이후 즉시 보낼 것이라고 하였다. 속히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인사한 후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懸仰之際, 獲拜耑札, 可敵促膝穩晤. 憑審小春旣暮,棣體候連護錦安, 寶覃均慶, 何等慰釋. 査弟僅拄形骸, 而近以稚兒之故, 私切焦悶耳. 第所送諸種, 過念旋爲不安. 家兒依 敎命送, 再明後卽爲命還,如何如何. 握叙之期, 似在於鄙要,不可留待也. 不備伏惟, 謹謝狀.甲午十月二十八日, 査弟 鄭欽萬 拜謝.侄兒冠禮時多(皮封)謹拜謝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계선생묘석역소(屛溪先生墓石役所) 의조록(義助錄)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계 윤봉구 선생의 묘석을 세우는데 의연금을 낸 명단과 금전 내역.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 1683~1767) 선생의 묘석(墓石)을 세우는데 의연금을 낸 위씨가문 일곱 곳의 명단과 출연 금액, 조의 대표자의 이름을 기록한 치부록이다. '위백규(魏伯珪 存齋)댁, 일금24원, 오대손 계신(啓信)'등 일곱 곳의 명단과 금액(총56圓)이 적혀있다. 조의금(助義金)은 위존재(魏存齋 伯珪)댁 일금24원(5대손 啓信), 노죽와(魯竹窩 天政)댁 10원(4대손 城鐸), 위청계(魏聽溪 德穀)댁 종중 일금6원(10대손 啓洋), 위판서(魏判書 德和)댁 종중 5원(10대손 啓玟), 위안항(顔巷 德厚)댁 종중 일금4원(10대손 啓文, 啓龍, 8대손 澤基, 9대손 琠植 ), 위청금(魏廳禽 廷勳)댁 종중 일금3원(9대손 啓祥, 啓河), 위씨문중(古邑) 일금4원(8대손 萬植)이 총 56원을 마련하였다. 존재 위백규 선생(1727~1798)은 병계 윤봉구 선생의 제자로 사제 간에 깊은 인연이 있었다고 한다. 원래 병계 선생의 묘소 등 흔적이 있던 곳은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가야산 일원이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명당 풍수설을 믿고 1846년 경기도 연천에 있던 아버지 남연군 무덤을 많은 정성과 노력 끝에 덕산면 상가리 가야산 내 가야사를 철거하고 가야사지 터로 이장(移葬)하였다. 이로 인해 가야산 자락에 위치했던 선생의 묘소는 현손 헌일 때 지금의 예산군 봉산면 궁평리로, 아우 윤봉오 선생의 묘소는 공주시 유구면으로 강제로 이장되었다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屛溪先生墓石役所 義助錄魏存齋 伯珪宅 金二十四圓 五代孫 啓信魯竹窩 天政宅 金十圓 四代孫 城鐸魏聽溪 德穀宅宗中 金六圓 十代孫 啓泮啓昌魏判書 德和宅宗中 金五圓 十代孫 啓玟魏顔巷 德厚宅宗中 金四圓 十代孫 啓文啓龍八代孫 澤基九代孫 琠植魏廳禽 廷勳宅宗中 金三圓 九代孫 啓祥啓河魏氏門中 古邑 金四圓 八代孫 萬植合金五十六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文爲通諭事 以璿源后裔 使不齒儒林於聖明之世 則貴邑儒之稱 亦惟世臣家子孫 而然耶 噫 貴邑李明濟李東吉李春謙 卽定宗大王第九男石保正後孫也 僻處海陬 雖有淮橘之歎 靈芝有根 醴泉有源 則吾儒相愛之道 當待敬之不暇 而獨無蕙難之心使不得弁諸儒苑者 是可謂尊奉聖朝之意耶 以名家後裔言之 無論代數遠近 凡係彛倫 莫不俯待 而況璿源後孫乎 貴郡雖遠 莫非率濱之地 亦莫非聖人之民 則其在崇奉朝家之義 以貴邑臨淮面璿裔 使之入籍於校院事華通旣至 則鄙等參互本道動善之地 不敢囚舌而黙 齊弁發文 惟願僉尊 通到卽時稟于主官 使石保正子孫亟賜儒任之地 幸甚右敬通于珍島鄕校戊午四月二十九日 [印] 發文 權克壽 宋弼煥 朴基安 黃宇儉 柳俊培 李希大 崔鎭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8년 죽림서원(竹林書院)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竹林書院 珍島鄕校 竹林書院(흑색, 6.0×4.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758_001 1858년 7월에 죽림서원에서 진도에 사는 종실 후손을 향교의 직임에 임명하라는 요청을 진도향교에 보낸 통문 1858년 7월 1일에 竹林書院의 吳顯益 등 7名이 연명하여 珍島鄕校로 보내는 通文이다. 진도군에 사는 종실 후손 李明濟 등 5명을 校院의 직임에 임명하라는 요청을 담고 있다. 통문 서두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우리 예의와 문물의 고향에서 사는 둥근 冠을 쓰고 모난 옷깃을 입은 선비들은 世臣의 집안 후손이 아닌 자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임금의 은택을 칭송하고 모두 유교의 교화 속에 포용되어 있으니, 이는 菁莪의 다스림으로 5백년 동안 배양한 공로입니다. 아! 前王을 잊지 않고 있으며 금니로 쓴 왕의 문서를 아직도 볼 수 있으니 공경히 흠모하여 존숭하지 않은 바가 없거늘, 하물며 璿源의 종파에 있어서겠습니까?"라고 하고 있다. 이어서 통문을 보낸 구체적인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그쪽 군읍의 士人인 李明濟, 李春芳, 李東吉, 李孟奎, 李弘奎 등은 石保正의 후손으로써 먼 시골에 영략하여 떠돌고 있어 진약함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하늘이 내린 당연한 도리에 있어서 누가 안타까워 하지 않겠습니까. 본 고을(진도)의 여러 유생분들의 아끼고 보호하는 마음은 아마 필시 다른 지역의 배가 될 것입니다. 모두 世臣 집안의 후손으로써 지금 밝은 덕을 지닌 임금이 다스리는 세상에 살면서 우리 선왕의 후계를 이렇게 보면서 감히 서로 구제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이에 여러 선비가 公議를 발하여 위로는 성균에서부터 화양서원에 이르기까지 통문을 잇달아 보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들도 같은 서원의 반열에 있기에 통문을 보냅니다."라고 하고 있다. 여기서 진도향교에서 定宗의 제9자인 石保正의 후손에게 유림으로써 대할 도리를 하지 않은 조치에 대해 항의하고 있고, 이는 성균관과 화양서원이 나설 정도로 조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문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인 조치 전주향교에서 요청하는 바와 같이 속히 석보정의 후손을 향교와 서원의 직임에 임명하라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文爲通事 惟我禮義文物之鄕 圓冠方領之士 莫非世臣家後孫也 至今頌咏聖澤 咸囿於儒化之中 菁莪之治五百年來培養之功 嗚乎 不忘前王惟尙見金泥王牒 莫不敬慕而尊崇 況璿源餘派乎 貴郡士人李明濟李春芳李東吉李孟奎李弘奎等 以石保正後孫 流落遐陬 殘劣至此 其在秉彛 孰不慨然 本邑僉章甫愛護之心 想必有倍於他 而俱以世臣家後孫 生今聖明之世 見此我先王後裔 敢不相救 而共濟乎 是以多士之公議齊發 上自館學以至華院 通章繼起 故鄙等忝在同院之列 玆以發通 惟願僉君子 當此▣…▣釋菜之日 以石保正後孫 亟付校院之任 以副多士顒望 千萬幸甚右敬通于珍島鄕校戊午七月初一日 竹林書院 別廳齊會所發文 幼學 吳顯益 宋秉萬 閔宗鎬 金東煥 趙秉和 李肇淵 宋秉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文爲通諭事 貴郡臨淮牧場兩面居 李啓春李明濟李寅植等 卽我定宗大王第九男石保正之後孫也 流寓海陬 今雖寒微 而溯其本 則金枝玉葉 不顯亦世至若儒林間校院任 固當優爲之 而近聞貴齋擯而不齒云 烏在其重璿系之義耶由是而士論激發 至有華陽竹林及長官士林之問通 鄙等忝在首善之地 亦不容泯黙 玆以發文通諭 惟願僉君子 仰體朝家敦敍之至意 使此璿源後孫 獲添章甫之任 幷齒俎豆之列 而到卽施行後 賜答之地 千萬幸甚右敬通于珍島鄕校戊午六月日 太學 西班首 李 [着名]東班首 趙 [着名]此亦中 執綱姑未差 圖署不得開用 故兩班首着啣 以此憑信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8년 이정용(李正容) 토지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李正容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 崔永俊 2顆, 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 2顆(6.0×6.0), 司法書士朴容淳 (1.5×1.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11월 30일에 이정용(李正容)이 최영준(崔永俊)을 대리인으로 하여 토지에 대한 소유권 보존 등기를 광주지방법원 진도출장소(光州地方法院珍島出張所)에 신청한 문서 대상: 진도군 임회면 봉상리(珍島郡 臨淮面 鳳翔里) 739-1番地 田 581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