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金辰星父塚金辰星曾祖母塚金辰星亡母新塚自李東憲母墓相距四十九步坐立俱見金辰星曾祖父塚李東憲母墓自金辰星母塚相距四十九步坐立俱見隻金辰星[着名]起訟李東憲[着名]刑吏姜周元[着名]摘奸鄕所全陽宅[着名]〈題辭〉大典通編山訟條在宗親六品限以五十步而文武官則遞減一十步今此禁葬係是通編所定步數之外且金辰星■■入葬處乃是繼葬於先山階下則繼葬之勿禁亦是法典依法典李民置之落科事戊子四月卄三日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光錫 李光錫<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4년(고종1) 3월 14일에 답주 유학 이광석이 구례현 문척면 산치리에 있는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 1864년(고종1) 3월 14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이광석(李光錫)이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이광석은 자신이 사서 여러 해 경작하다가 방매하고자 한다며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구례현(求禮縣) 문척면(文尺面) 산치리(山峙里) 소산령(小山令)에 있는 가경답(加耕畓) 5승락지이다. 거래가격은 냇물이 범람하여 씻겨 내려가 모래로 뒤덮혔기 때문에 전문(錢文) 5전을 받고 팔았다. 문기는 신문기 1장으로 거래한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이광석 1인으로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문척면 산치리는 현재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중산리 산치마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三年甲子三月十四日 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起買得 累年耕食是如可 放賣次 伏在文尺面山峙里小山令加耕畓五升落只 天汰覄沙 故價文伍戔依數捧上 右前新文記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雜談則 以此文記憑考事畓主 幼學 以光錫[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趙浚良 趙浚良<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고종26) 2월 28일에 답주 유학 조준양이 순천부 황전면 삽치에 있는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89년(고종26) 2월 28일에 답주(畓主) 유학(幼學) 조준양(趙浚良)이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조준양은 자신이 사서 여러 해 세(稅)를 거두다가 형세 상 부득이하여 판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순천부(順天府) 황전면(黃田面) 삽치(霅峙) 중고개(中高介) 동개평(同介坪)에 있는 종자(從字) 답(畓) 1마지기(결부수: 3부 3속) 노(奴) 명진(命辰)의 이름으로 양안(量案)에 등재된 곳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39냥을 받고 팔았으며 신문기와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도 아울러 준다고 하였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조준양 1인으로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토지소재지인 황전면 삽치는 오늘날 전남 순천시 황전면 회룡리 산령마을에 해당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五年丁巳二月二十八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畓 累年收稅是多可 勢不得已 順天黃田面霅峙中高介同介坪從字畓一斗落只負數三負三束奴命辰帳㐣 價折錢文三十九兩 依數捧上是遣 新舊文幷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是非則 以此文記告官 卞正事自筆 畓主 幼學 趙浚良[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7월 12일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를 치르기 위해 택일(擇日)한 문서 안장일은 8월 28일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3년 이남걸(李南杰)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李南杰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3년(고종30) 6월에 이남걸을 통훈대부 사헌부감찰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 1893년(고종30) 6월에 이남걸(李南杰)을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이다. 이남걸이란 이름자가 후에 써진 양식으로 공명첩에 기록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문관 정3품 당하의 품계이며, 감찰은 사헌부의 정6품 관직이다. 계고직비(階高職卑)의 상황이므로 관계와 관직사이에 '행(行)'자가 기록되어야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름이 기록되지 않은 채 관에서 발급했던 공명첩(空名帖)에는 정상 고신과 구별되는 위격 요소가 하나 이상 있었는데 이 문서에서는 행수법이 생략된 특징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南杰爲通訓大夫司憲府監察者光緖十九年六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이만채(李萬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萬彩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569_001 1834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鰥 이만채(李萬彩, 3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0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仁奎 金仁奎<着名>, [金]貞華<着名>, 李淙奎<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0년(철종1) 1월 6일에 답주(畓主) 김인규(金仁奎)가 영광군 후증도의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50년(철종1) 1월 6일에 답주 김인규가 논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인규는 부모로부터 분재 받아 갈아 먹다가 형세 상 부득이하여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영광군(靈光郡) 후증도(後甑島) 대도촌(大島村) 앞에 있는 새 방죽 안에 있는 논 4마지기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20냥을 받고 판다고 하였다. 구문기(舊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 문서, 本文記라고도 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문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은 답주 김인규와 증인 동성6촌 김정화(金貞華), 필집(筆執: 문서작성자) 이종규(李淙奎) 3인이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영광군 염소면 후증도는 현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參拾年庚戌正月初六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衿得畊食是如可 勢不得已 灵光郡地俊甑■〔大〕島村前新堰內伏在畓 肆斗落只所畊 庫叱乙 價折錢文貳拾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若有紛紜之弊則 以此文記憑考事畓主 金仁奎[着名]訂人 同姓六寸 貞華[着名]筆執 李宗奎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7년 시장문기(柴場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朴永淳 朴永淳<着名>, 李昌洪<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7년(고종4) 2월 19일에 시장주(柴場主) 박영순(朴永淳)이 영광군 후증도 외장성동 불당동에 있는 시장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시장매매명문 1867년(고종4) 2월 19일에 시장주(柴場主) 박영순(朴永淳)이 시장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시장매매명문이다. 박영순은 자신이 매득하여 풀을 베다가 형세상 부득이하여 팔게되었다고 방매사유를 밝혔다. 방매 토지는 영광군(靈光郡) 후증도(後甑島) 외장성동(外長城洞) 불당동(佛堂洞)에 있는 시장(柴場) 5홉락지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9냥을 받고 팔았다. 본문기(本文記: 이전 거래 및 소유 증명문서)는 잃어버려서 줄 수 없다고 명시하였다. 문서 작성 시 참여자는 시장주인 박영순과 증필(證筆: 증인과 문서작성자) 이창홍(李昌洪)이다. 토지소재지인 전라도 영광군 후증도 장성동은 현재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陸年丁卯貳月十九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買得艾草是如可 勢不得已 靈光郡地後曾島外長城洞佛堂洞伏在柴場伍合落只 庫叱乙 價折錢文玖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他談卽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本文記段 迺失 故未給印柴場主 朴永淳[着名]訂筆 李昌洪[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19년 강덕상(姜德尙) 비(妣) 김씨(金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肅宗 姜德尙 妣 金氏 施命之寶(10.0×10.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622_001 1719년(숙종45) 12월 3일에 강덕상의 어머니 김씨를 정부인에 추증한 추증교지 1719년(숙종45) 12월 3일에 강덕상(姜德尙) 비(妣) 김씨(金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한 추증교지이다. 4품 이상 고신에 양식에 맞추어 첫머리에 '교지(敎旨)'라고 적고 본문에 김씨를 정부인에 임명한다고 적은 뒤 발급일자의 좌방(左傍)에 '가선대부(嘉善大夫) 가설(加設)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인 강덕상의 비(妣: 돌아가신 어머니) 이므로 법전에 의거하여 추증(追贈)한다.'라고 임명사유를 기록하였다. 강덕상이 받은 가선대부는 문·무관 종2품 하(下)의 관계이므로 그의 부모도 자식의 관계에 준하여 종2품 관계와 관직에 임명하였다. 정부인은 조선시대 문·무관 정·종 2품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외명부 작호이다. 강덕상은 1714년 국가 진휼시에 조(租) 214석을, 1718년에 조 50석을 관에 납부함으로써 진휼에 대한 공을 세워 각 년도에 가설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첩(帖)을 성급(成給)받았다. 관리가 자신의 3대 조상을 추증 받을 수 있는 조건은 실직 정2품을 지내야 했는데 이로보아 가설직이라도 강상덕이 실직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金氏贈貞夫人者康熙五十八年十二月初三日嘉善大夫加設同知中樞府事姜德尙妣依法典追贈[施命之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