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74년 추원재도유사(追遠齋都有司) 통지서(通知書)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韓麟敎 追遠齋都有司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4년 3월 15일 추원재 도유사(追遠齋都有司)에게 보내는 통지서(通知書) 삼재관리위원회(參齋管理委圓會) 위원장인 한인교(韓麟敎)가 추원재 도유사(追遠齋都有司)에게 보내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2년 장대운(張大運)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大運 康津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2년(정조6) 장대운(張大運)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강진현(康津縣)에 제출한 호구단자 1782년(정조6) 장대운(張大運)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강진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으로, 나이는 34세이다. 호주인 장대운의 사조(四祖)와 처 나주추씨(羅州秋氏)의 사조 및 같이 살고 있는 아들 장계득(張啓得)이 함께 기재되어 있다. 장대운의 사조는 부(父)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처 나주추씨는 34세이고 나주추씨의 사조는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金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아들 장계득은 16세이다. 호구단자는 호주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대조 및 확인 작업을 거친 후 다시 돌려주는 과정에서 지방관의 서압(署押)이나 관인(官印),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 또는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 등이 찍히기도 하는데, 이 호구단자는 그러한 흔적은 없이 문서의 하단에 '서(書)'라고 쓰여 있어 확인 후 다른 대장(大帳)에 올렸음을 추정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癸卯式戶籍單子戶待變軍官張大運年三十四庚午本仁同父折衝武良 【書】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秋姓年三十四庚午本羅州父嘉善大夫尙連祖命金曾祖松伊外祖趙奉伊本平山率子啓哲年十甲午壬寅十月日【古今鎭壬子式戶籍單子】【古今鎭壬子式戶籍單子 曾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通訓大夫行草溪郡守兼▣▣鎭管兵馬同僉節制使丁哲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同治二年六月 日忠節卓異 贈職事承傳[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3년 정철(丁哲) 처(妻) 윤씨(尹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哲宗 丁哲 妻 尹氏 施命之寶(10.0×10.0)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에 정철의 처 숙인 윤씨를 정부인으로 추증한 추증교지 1863년(철종 14)에 정철(丁哲, ?~1595)의 처(妻) 숙인(淑人) 윤씨(尹氏)를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이 문서의 왼편을 보면 '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都正丁哲妻依法典從夫職'이라는 표현이 쓰여 있는데, 남편 정철이 가선대부병조참판(嘉善大夫兵曹參判) 겸동지의금부사(兼同知義禁府事)로 추증되면서 아내인 숙인 윤씨를 법전에 의거하여 남편의 관직에 따라 정부인으로 증직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淑人尹氏贈貞夫人者同治二▣…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都正丁哲妻依法典從夫職[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40년 모(母) 송씨(宋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증빙류-입안 官 官<着押>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40년 11월 7일에 모(母) 송씨(宋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분급해 준 분재기 1640년(인조 18) 11월 7일에 모(母) 송씨(宋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분급해 준 분재기(分財記)이다. 분재의 이유는 송씨의 나이가 70에 가까워져 병환이 나날로 깊어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송씨는 영성정씨 정응진(丁應軫, 1555~1615)의 아내로, 이러한 사실은 송씨가 분재기에 날인한 인장을 통해 알 수 있다. 분재대상자는 장손 정상익(丁尙益) 및 둘째 아들 정원(丁騵, 1603~1662) 셋째 아들 정류(丁騮, 1610~1668), 넷째 아들 정사(丁駟, 1615~1668)이다. 정상익은 첫째 아들 정온 (丁{馬+昷})의 아들이나 분재 당시 정온은 사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분재기 뒷면에는 1649년 11월 4일에 작성된 배탈사급입안(背頉斜給立案)이 있다. 배탈사급입안에는 비(婢) 오월(五月)의 첫째 딸 필선(筆仙, 庚辰生)을 전치선(全至善)이라는 사람에게 판매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庚辰十一月初七日 子女等處分給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 母亦年將七十 老病日深乙仍于田民些小爲良置 不可不區處 而玆與門族相議 平均分給爲去乎 其中元世所生段 曾已分執使喚爲如可 去乙亥年分 其上典處 見奪捉去後 今庚辰年七月分 使喚爲在 子女等 各備價木買得之時 一名字隨便乙仍于 母之名字以 買得爲有去乙 一從當行買得人衿付爲旀 其餘奴婢段 平均分給爲去乎 鎭長使用爲乎矣 某子息中如有不均之說 則告官論罪施行事五月此亦中 得後所生乙良 不入于分給之中爲去乎 相考施行次乙未十月初六日定□內 得後所生奴於屯金乙 他奴婢代給次以孫壻金之鑑處別給 而今則別無代給奴婢 故前別給明文 受理安徐次長孫尙益衿 綾州耳谷龍仇乃員畓三斗落只 上山底員畓二斗落只 路高頭員田太拾二斗落只 垈田太拾四斗落只 苧田一斗落只 奴石難 婢三月四所生婢已花此婢段騮衿 畓三斗落只果 從自願相換次女朴時立衿 柳坪願火畓下过三斗落只 立石洞愛田皮拾五斗落只 婢奉花一所生婢梅花 三月三所生婢三花 桂花一所生奴春男 ■■■(三所生) 同婢三所生婢靑德 婢礼上一所生奴信龍 婢三月四所生婢已花一 子騵衿 鳥城歸畓四斗落只 柯亭子問畓三斗落只 柳坪火畓中 同一斗落只育字垈田皮一斗五升落只 愛字田皮五斗落只 婢三月一所生奴德立 二所生婢德春 婢納玉 婢奉花四所生奴納叱金 婢桂化礼上■■■■■■四所生婢信女一 子騮衿 鳥城歸畓四斗落只 柳坪火畓上过二十五升落只 綾州畓三斗落只 此畓段 與尙益衿付 婢已化果 從自願換付次 立石洞育田皮一斗五升落只 分土洞草田皮二斗 沙太洞育田三斗落只六月二所生奴卜世 三所生婢內乙伊 奉花三所生婢五月 五所生奴同卜■■■■■婢礼上五所生一 子駟衿 柯亭子問畓六斗落只 松亭平畓一斗落只 立石洞愛田四斗落只 婢六月一所生奴卜只四所生婢內乙葉 奉花二所生婢閏月 桂化二所生婢靑今■■■■■■礼上三所生奴信難 婢六月癸位柳坪火畓三斗落只 婢礼上一所生信女財主母 宋[丁應軫妻宋氏]證 同生娚 前習讀 宋尙忠[着名][着押]五寸族下 禮賓寺正 宋驥[着名]筆執 長子 騵[着名](背面)順治六年十一月初四日 全至善狀以 婢五月一所生婢筆仙 年庚辰生身一口乙 後所生幷以 全至善亦中 放賣眞僞 證筆推閱次以 斜給 官[着押][官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창임영개(晨窓林影開)'라고 쓴 遺墨.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 잡영시(雜詠詩) '은구재시(隱求齋詩)' 구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야침산천향(夜寢山泉響)'라고 쓴 遺墨.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 잡영시(雜詠詩) '은구재시(隱求齋詩)' 구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나수복(羅壽福) 국채증권(國債證券) 미교부증(未交付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羅壽福 나주 나주나씨 나덕준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237_001 나수복(羅壽福)이 발급받은 200원정 no.170 제13회 국채증권 미교부증(國債證券未交付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산위(山衛) 시(詩)를 쓴 서예 글씨 고문서-기타-서화 보성 평산신씨 신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산위(山衛)를 주제로 적은 7언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지초(芝草) 시(詩)를 쓴 서예 글씨 고문서-기타-서화 보성 평산신씨 신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초(芝草)를 주제로 적은 7언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