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淑夫人光山金氏孝烈碑閣銘主朴水日朴孝子碑閣成乃集人士而落之感慤行之克闡喜輪臭之是新於是孝子之子昌植而吿于衆曰吾父至行賴公議之詢同幸不至泯沒無稱而吾兄嫂金氏之孝之烈逈出尋常謀所以闡揚以其兩世孝烈異碑同閣庶無欠於寓慕僉以爲可乃安其狀而序之淑夫人金氏籍光山文安公諱良鑑后箕仁女密陽人紏正公諱鉉后密山君諱[木+袞]十四代孫丙子勳臣慕巖諱慶云九代孫嘉善諱枝煥玄孫副護軍諱載源曾孫持平諱道鎭孫孝子諱準瞻子承旨朴致植之妻也天性貞淑動靜云爲無一不合於古女士行及嫁孝於舅敬其夫爲宗族妯娌之敬畏舅年七耊病篤備旨試藥靡不用極至有嘗糞驗症乃得回春夫嬰長瘧百藥未效禱天願代乃其未如之境割股和羹回甦至數年竟莫之救必欲自決而屢春夫嬰長瘧百藥未效禱天願代乃其未如之境被家人救解乃含忍泣語曰老姑在堂已死則無以供不獲自盡苟延殘命頭不櫛食不罔惟以未亡人自處事姑之誠尤倍於夫在時其姑頭有瘇疽吮之能己罹病濱危斫指灌口又甦三日而終闔境感歎指其所居曰孝烈村亦有道郡報聞事噫一門之內舅孝婦烈足以警不孝不義者迷懵之心胸韙歟壯哉一辭稱之曰朴氏孝烈碑今乞銘者卽昌植也盥蔽而銘曰閣而尊閣有舅有婦曰孝曰烈曠前絶後不有其身吮瘇斫指有碑屹然過者敬止閼逢困敦小春之晦通政大夫承政院左副承旨兼官修撰官全州李胤鍾撰通訓大夫軍部員外郞平山申鉉台書主高興郡錦山面石井里 朴水日 鍾俊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송운회(宋運會)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宋運會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 遺墨. 5언 절구시 *원문: 我欲山中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박계찬(朴桂燦) 부고엽서(訃告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朴桂燦 朴炯得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護喪 朴桂燦이 朴炯得에게 보낸 부고 엽서. 朴桂燦 재종숙 準孝의 부친이 노환으로 1940년 9월 15일에 별세하였음을 전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숙부인김씨효열비각문(淑夫人金氏孝烈碑閣文) 고문서-시문류-묘문 朴水日 朴炯得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高興郡 錦山面 石井里에 사는 朴水日이 박형득에게 보낸 淑夫人金氏孝烈碑閣銘 필사본. 金氏는 光山金氏 箕仁의 女며, 밀양박씨 朴致植의 妻. 비문은 1924년 음력 10월 29일에 通政大夫 承政院左副承旨兼官修撰官 全州李胤鍾가 撰하였고, 通政大夫 軍部員外郞 平山申鉉台가 글씨를 썼음 *상태: 문서 오른쪽 앞부분에 작은 결락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3년 흥양현(興陽縣) 동면(東面) 부세이정절목(賦稅釐整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暗行御史 興陽縣 暗行御史[押] 二馬牌 22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3년 정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 동면에 발급한 부세이정절목 1883년(고종 20) 정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興陽縣) 동면(東面)에 발급한 부세이정절목(賦稅釐整節目)이다. 주요 내용은 고을 백성들의 과도한 부세를 혁파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東面興陽縣賦稅釐整節目2)光緖九年正月日 興陽縣賦稅釐整節目爲永久遵行事 嗚呼 民惟邦本 食惟民天 民一日不食則飢 邦一日無民則危 民與食關係之重大 天下莫京凡百有位 孰不顧畏保護 而世?俗末 吏奸滋長 舞弄聚斂 年增歲加 遂至於民天日窮 邦本不固 此豈凡百有位之所欲爲哉 或爲吏胥之所弊 或爲舊例之襲謬 駸駸3)然至此極矣 究其源委 寧不寒心 惟此湖南一省 本以膏腴之地 一經丙丁之歉 田土陳廢 穀食艱乏 重之結弊 層生聚斂無節 惟正賦稅之外 徭役寔繁 徵索多岐 在樂歲已 無以安身況歉年其何以糊口 窮蔀景狀 滿月遑汲 惟我聖上特聄民情 去冗汰濫 罷無名之結斂 停虛簿之糶糴 分遣直指 察隱革弊 顧此淺劣 不足以對揚 明命 宣布德化 早夜憧憧 不遑寧處 謹將邇來新添與謬例之可革者革之 可釐者釐之 一結兩稅之外 皆從代錢 而恒定其價 並與所減數爻 開錄于左 另成節目以送 遵玆施行 則庶幾民生 可無遑汲離散之弊 惟願凡百有位 仰體聖上恤民之深憂 統諒微臣爲國之苦心 劃一遵守 永4)久勿替 宜當者暗行御史[着押][二馬牌]後一 賦稅 砲粮需米外 毋得以米排結是齊一 一結所徵錢米 計板列錄于後 官民間依此徵納 更無携貳之弊是齊一 進上添價與京營邸吏役邑雜役米之兩稅中磨鍊者 一並査拔 以付錢邊 計其石數 而每石九兩式 酌定排斂是矣 歉年則翔高穀價 民食惟艱5)原定九兩外 雖分錢 切勿加排 豊年則穀價低下未滿九兩矣 若以九兩 一例捧上 則有違時價 大關民情 必從本邑時價六七兩間 參互排斂 以爲萬一分安民之方是齊一 結揔則必從當年收租揔 而逐年賦稅出秩 雜役磨鍊時 先擧時起結 每結出米幾許出錢幾許是如 告示各面 俾民洞知是齊一 漕倉各邑之馬夫色掌 米數雖些略 此是新剏自今以後 永永勿施是齊一 自上納邑之新添船價 以錢以米 一並還? 各自該邑 依 朝令 必以賃船裝載 趁限上納是齊一 各邑節目 一統修成冊 藏置于巡營 以憑後考是齊一 稱以不恒上下料外結斂之弊 自巡營別般6)嚴束 期圖防奸 俾省民力是齊一 邑置節目 爲先釐正以送 而各面良中 各成一件 反貼出給是齊[二馬牌]每一結所出田稅元納米┐三手元納米┘ 陸斗陸升雜費米壹斗伍升貳合玖夕邑役米伍合伍夕 錢行去新添錢貳戔貳分 永減砲粮元納米壹斗7)雜費米陸升伍合柒夕貳里 壹升伍合柒夕貳里減 實伍升新添戔參分參里 永減稅太元納太貳斗貳升玖合陸夕壹里雜費太伍升參合貳夕貳里邑役太壹合玖夕添給米貳升貳合玖夕陸里 戊午爲始新添錢柒分柒里永減大同元納米拾貳斗雜費米壹斗參升肆合捌里浮價米壹斗肆升柒合貳夕貳里 壹升柒合貳夕貳里 減 實壹斗參升邑役米肆升 錢行去新添錢捌戔 永減結作元納米玖升雜費米貳升肆合壹夕 永減8)雜役米貳斗陸升柒合參夕玖里 錢行去雜卜添給米五升參拾陸夕捌里 己未爲始 參合陸夕捌里 減 實五升結錢貳戔壹分結排戔參戔合米貳拾玖斗陸升參合肆夕捌里內陸升柒夕貳里 減參斗壹升貳合捌夕玖里 錢行去實米貳拾五斗捌升玖合捌夕柒里太貳斗捌升肆合柒夕參里錢壹兩陸戔肆分內壹兩壹戔參分 減實五戔壹分又壹兩捌戔柒分柒里肆毫 邑雜役米價來 每斗陸戔式定價合錢貳兩參戔捌分柒里肆毫[二馬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4년 흥양현(興陽縣) 대강면(大江面) 환비전절목(還費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暗行御史 興陽縣 暗行御史[押] 二馬牌 8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4년 12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 대강면에 발급한 환비전절목 1884년(고종 21) 12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興陽縣) 대강면(大江面)에 발급한 환비전절목(還費錢節目)이다. 주요 내용은 환비(還費)의 명목으로 수취하는 금전이 지나치다면서 이러한 폐단을 혁파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축년~정묘년 대강면(大江面) 집강안(執綱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축년 9월부터 정묘년 4월까지 大江面에서 작성된 執綱案. 연도별로 都察과 執綱의 명단을 열거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8년 이 생원(李生員) 명문 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姜召史 李生員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8년 4월 6일에 강 조이가 이 생원에게 발급한 명문 1878년(고종 15) 4월 6일에 강 조이(姜召史)가 유학 이 생원(李生員)에게 발급한 명문이다. 강 조이는 양인(良人)으로 삼촌면(三寸面) 항리(項里)에 살고 있었는데, 최근의 큰 흉년으로 인해 남편이 굶어죽고 많은 자녀를 과부의 처지로 돌보지 못해 자신 또한 굶어죽을 지경이라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부득이 막내딸 오인순(吳仁順, 甲戌生)을 10냥에 판매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四年戊寅四月初六日 幼學李生員宅前明文右爲明文事段 小女素是良人 居於三寸面項里是加尼 當此無前之大凶 矣夫飢死之後 多率子女 {女+寡}居身勢 東漂西泊 至於餓死之境 勢將末由 故三四子女欲爲生活之意 不得已而末女甲戌生身吳姓仁順 納賣於右宅次 折價錢文拾兩交易 依數捧上爲遣 累萬代遺傳之意 成文券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諸兄娚妹及諸族間紛紜之端是去等持此文記 告 官卞呈事母 姜召史[右掌]長子 吳三星 喪不着次子 吳三石┐吳達石┘童不着證人 幼學 權尙淳[着名]幼學 尹奎三[着名]幼學 李亨三 喪不着筆執 幼學 羅致鎰[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7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6월 18일에 창리(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5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6월 8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48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박량진(朴亮鎭) 부고장(訃告狀)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朴亮鎭 朴氏僉宗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護喪 朴亮鎭이 밀양박씨 僉宗에게 보낸 부고장. 四從弟 朴璟鎭의 모친 孺人申氏가 병을 얻어 1940년 6월 20일에 별세하였음을 전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