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허량(許樑)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許樑 忠州郡守 郡守<着押> 忠州郡守 7顆(5.0×4.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허량(許樑)이 충주군수에게 올린 소지(所志) 허량(許樑)이 충주군수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주요 내용은 신미년 8월 15일 밤 집에 불이 나 소장하던 선조의 교지(敎旨)와 호적·족보가 모두 불에 타버려 추후 참고할 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훗날 보첩(譜牒)을 다시 작성할 때 이러한 사정을 빙고(憑考)해 달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광주군수는 호적 8장, 교지 6장, 족보 10권이 모두 불에 타버렸으니 애석하다고 하면서, 빙고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문서는 후대에 위조된 것이며, 그 근거는 '허익(許䄩) 소지(所志)'에 서술한 내용과 같다. 요컨대 이 소지는 선대의 임명문서를 위조하려는 목적으로, 위조의 근거를 만들기 위해 마련한 문서이다. 실제로 동 가문에 전해지는 홍패·백패·고신 등의 문서들을 살펴보면 위조의 정황이 확인되므로 소지와 서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장재풍(張載豊)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載豊 康津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0년(순조10) 장재풍(張載豊)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강진현(康津縣)에 제출한 호구단자 1810년(순조10) 장재풍(張載豊)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강진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본래 호주였던 홀아비 장계득(張啓得)의 사망으로 인하여 대신 호주가 된 장재풍은 나이 29세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거주지는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이다. 이어서 장재풍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문서의 말행(末行)에 적힌 '신미년(1811) 8월'이 대체로 다른 호구문서의 경우 호적대장의 식년보다 반년 전에 작성되어 제출되므로 '기사년'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아마 오류로 추정된다. 이 문서의 첫 행에 있는 경오식년이 작성연대가 되어야 한다. 문서의 하단에 '서(書)'라고 쓰여 있어 제출된 호구단자를 확인한 후 다른 대장(大帳)에 올렸음을 추정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島鎭里戶籍單子庚午式戶鰥夫張啓得故代□…□載豊年二十九壬寅本仁同父 大運祖折衝武良 【書】曾祖學生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辛未八月日(뒷면)을○년七月初二日젼一兩목화밋천으로 문호방이지거ᄒᆞ되정녀리모가봉슈ᄒᆞ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3년 한은석 접수증(接受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3년 5월 29일 한은석의 산주 등록 신고 접수증(接受證)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105-1지번 소재 산지를 신고하는 내용 영광군 군서면 송림리 595-4번지에 사는 한은석이 접수함 소유자: 한영석, 관리자: 한은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4년 한규채(韓圭采) 차용금증서(借用金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圭采 吳竹實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4년 5월 16일 한규채(韓圭采)가 오죽실(吳竹實) 등 2명에게 차용(借用)을 증명하는 문서 오죽실(吳竹實) 등 2인이 600원을 빌렸고 매년 1회 11월말에 이자 8분 3리로 지불하라는 내용 차용금(借用金): 600원 이자(利子): 8分 3厘 채권자(債權者): 한규채(韓圭采) 연대(連帶) 채무자(債務者): 오죽실(吳竹實), 한광현(韓光炫), 한홍봉(韓泓鳳) 부동산(不動産) 담보(擔保): 영광군 무량면 덕흥리(靈光郡 畝良面 德興里) 604번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和明彦七首 幷直銀臺日相看不得親床前纔獨夜牕外已將晨等是忙中客誰爲定裏人所嗟恩未報心緖劇奔輪名騏今正絆沙鳥舊相親丹地通宵直滄波獨釣晨生才元有數應世豈無人憂道宜霜鬢遺榮傲畵輪蓬蓽江湖外賓主始得親雨風鷄不已遲暮夜難晨草草塵中趣寥寥卷上人從君知學妙蟣蝨亦車輪來詩追蓼蓼霜落正懷親入室如承欬呼天似隔晨心慚反哺鳥身擬負恩人君意馳雙壠遙遙逐去輪一室披襟處嫦娥獨許親有懷誰與語無夢坐來晨試問隨行者爭如自在人驅馳須共戒平地亦摧輪逢君眞妙質論篤日相親約已資觀物精心坐達晨未承千載緖虛作百年人最喜圖書說中宵得月輪聞道何嗟晩推誠肯許親看書蟠鶴膝爲善惕鷄晨苟若盡吾性眞能開我人路歧久未辨腸內繞車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溪十六詠【在慶州江西面玉山洞晦齋李先生別業公按節嶺南時揭板獨樂堂】 谷口休揚馹騎塵原頭恐浼耦耕人深林往往逢蓑笠莫是明時鄭子眞龍湫【湫有上下】波瀾停蓄是龍湫神物蜿蜒黑處遊莫道淵潛但貪睡旱天霖雨此曾求洗心臺【在龍湫上下之間】紫玉山高溪水深盤陀有石可登臨洗心臺廢無人見悵望無由問洗心紫玉山【在獨樂堂右】千峯紫玉落晴天形勝曾於國誌傳今日看看眞面目令人直欲賦歸篇獨樂堂【在紫玉山下】丹碧非奢獨樂堂下車磬折感衷腸窮通所在終何事不改顔瓢一味長舞鶴山【在獨樂堂南】獨樂堂前舞鶴山千秋如見鶴飛還仙遊倘遇王喬輩山上白雲空自閒溪亭【亭之前後植以松竹皆先生手種】朴素溪亭壓水頭十年心計一莬裘當時手種松兼竹戰勝風霜閱幾秋觀魚臺臨臺盡日獨觀魚至樂應須到物初欲把萬殊歸一理問君曾見漆園書詠歸臺【此兩臺在溪亭之東】東風著物競芳菲春服初成獨咏歸坐久當年行道處遊魚飛鳥解忘機淨慧寺【自獨樂堂十一里】淨慧伽藍創幾年藤蘿深處近諸天讀書人去禪寮在耆臘猶能說大賢澄心臺【在寺前最佳處】澄心臺境最幽深翠壁如屛嘉木陰更有淸潭涵碧玉相思何日奏瑤琴濯纓臺【在澄心之上】昔賢曾此幾閒行臺下溪流徹底淸一歃只應除萬慮令人不敢濯塵纓道德山【在紫玉山之北】紫玉山連紫翠重堪將兩大較雌雄等閒高竝何須說却比先賢道德崇華蓋山【在淨慧寺之東】亭亭華蓋起天東東海群仙若可從我欲問山山不語千巖萬壑盪心胸紫溪【在獅子巖底溪之上流】上盡淸溪靜不喧問君何地覓眞源倚筇斜日茫然久只愛潺湲洗醉魂獅子巖【一區形勝至此尤絶先生欲構亭不果云】獅子奇巖枕碧潭至今遺跡付冥探要看萬象皆歸處此地終須結草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양학한(梁學漢)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 梁學漢 牧使[着押]統主李[手決] 印 1顆(7.2×7.2, 정방형,적)周挾改印(16×4.7,장방형,흑)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3년 광주목에서 양학한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3년(정조 7) 광주목에서 양학한(梁學漢)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호주(戶主)의 정보 및 그의 사조(四祖)와 가족정보, 소유노비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年乙丑十二月十五日 子女等處分給記夫所謂分財云者 小有饒名 年老濱死者之所爲也 而觀吾田土不過七石落 則其可曰小有饒名乎 想吾年歲 不過五十歲 則其可謂年老濱死乎 年未老矣 亦無饒名 而及是日 所謂分財者一病支離 自分無奈 則至於濱死 有何慮及後而有此今日之分乎 嗟 爾子女同我骨肉也 及我之未耄 以病濱死而分財 則子女之心 倘復如何 言之自咽 想之自淚 想此病 父之情狀 雖以一斗落之分給 心以哀之 心勿齎怒於小無畜一毫爭競之心 雖曰難 悟者 義理也 易爭者財利云 不曰難得者 兄弟也 易得者財利乎 且夫禮與食孰重 義與利孰重 以此知悉 若有爭競 則九原他日吾何以瞑目 殃必及汝曺矣 今吾分給之後 後勿爭競之意 丁寧反復云耳所謂財者 七石十一斗落 而父祖以上 素是貧穷 自曾祖以下 無其祭位條 故二石土則自曾祖父母以下 爲其祭位條 十五斗落以爲吾夫妻祭位條 十斗落 以爲家人生前條 而其餘如干田土 則以爲同生奴屬等處分給 則視吾病中之事 非耶是耶 事之是也而謂其非者 非也 事之非也而謂其是者 非也人之將死 其言何有不善者乎一 曾祖父母祭位條 王字二斗落只九卜八束庫果 化化〖字〗二斗落只八卜庫果及字五斗落只二十三卜九束庫祖父母祭位條 被字三斗落只十一卜一束庫果 傷字三斗落只十三卜七束庫果化字七卜二束果 被字十一卜五束庫 合四斗落 王字七斗落只三卜六束庫父母祭位條 化字四斗落只二卜三束庫果 絲字染字十斗落只四十七卜庫我夫妻祭位條 賴字七斗落只二十三卜四束庫果 毁字五斗落二十八卜 信字五斗落十五卜八束生前條 鳳字七斗落三十二卜長子衿下吳字二斗落只七卜九束 始字八斗落只十九卜 毁字三斗落只十三卜九束 大字三斗落只八卜二束 敀字四斗落只十五卜一束次子衿下場字三斗落只十五卜二束 又場字六斗落只二十五卜三束 女字四斗落只十九卜九束 景字·行字三斗落十二卜 化字二斗落七卜九束 鞠字三斗落九卜七束長女衿下場字七斗落只二十二卜七束 場字三斗落只十五卜二束 吳字五斗落只十五卜六束 常字五斗落只二卜三束次女衿下首字六斗落只二十七卜 罪字七斗落只三十一卜五束 羔字六斗落只十八卜八束同生衿下駒字五斗落只二十二卜三束長孫衿下效字三斗落只十三卜山直衿下羔字一斗落只三卜三束婢福今衿一斗婢福丹衿一斗財主 父[着押]筆執 幼學 徐鳳來[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2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占을 보고 나온 결과를 기록한 문복록(問卜錄) 경인(庚寅), 무인(戊寅), 계미(癸未) 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3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癸丑 十二月 二十二日에 태어난 사람의 占을 보고 나온 결과를 기록한 문복록(問卜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9년 서문홍(徐文洪) 부고엽서(訃告葉書)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徐文洪 朴炯得 1개(흑색원형)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에 徐文洪이 朴炯得에게 보낸 부고 엽서. 柳聖甲의 부친 柳誠根씨가 숙환으로 1939년 3월 20일에 별세하였음을 전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노학봉(魯學鳳)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魯學鳳 朴炯得 魯學鳳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에 노학봉(魯學鳳)이 박형득(朴炯得)에게 『문헌보감(文獻寶鑑)』의 잔금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 1938년 양력 5월 9일에 노학봉(魯學鳳)이 박형득(朴炯得)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문헌보감(文獻寶鑑)』 책 대금의 잔금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이다. 『문헌보감(文獻寶鑑)』은 1938년에 이기택이 우리나라의 역대 문헌 가운데 문체를 달리하는 2,050여 편의 문장을 가려 뽑아 분류하여 편찬한 유서(類書)로, 12권 3책으로 광주(光州)에서 발행하였다. 박형득이 노학봉을 통해 『문헌보감(文獻寶鑑)』을 구입하여 비용을 지불한 것으로 보인다. ‘노학봉’이라고 찍힌 도장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楅興面金榜洞 化民 許樑辛未八月十四日夜 空然失火之中 家垈典簿燒火 而十四世祖諱 晊長漣縣監公敎旨 十三世諱 義兵曹議郞公敎旨 十二世祖諱 紀司正公敎旨 十世祖諱 壽贈嘉善大夫戶曹正郎公敎旨 九世祖諱 璠及第敎旨 八世祖諱 稧原州牧使公敎旨 戶籍八張 族譜十卷 盡爲燒火 則參考無路 故日後譜牒改看之時 憑考之義 千萬幸甚城主 處分 辛未八月 日郡守[着押][忠州郡守](題辭)汝矣金洞戶籍八張 敎旨六張 族譜十卷 盡爲燒火 則以此歇 日後可惜 憑考向事五七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