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發全州北辰寺 雨歇前程在歸心若病瘳殷勤北辰寺臨發更登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次成石田【輅】 草廬幽寂在湖濱近水遙岑看更親把酒何心談世事魯山眉宇畫中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月二十一日有懷 人無問我我何問從此門無相問人不是不知行訪好只因相笑不相親白頭傾蓋何須問久敬知心卽故人外視陳雷中楚越非徒無益反傷親通靑簾外好風日燕舞鸎歌惱殺人獨詠獨歌還獨笑人誰親我我誰親我何人異人何異人亦人而我亦人我親人後人親我人必親吾吾必親欲我親人必先我望人親我又先人我若拒人人亦拒人如親我我應親我異於人人異我人同於我我同人同同異異人同我親不親親親不親天地人中有一物同天同地又同人可笑何人甘自笑妄生畦畛自疏親理雖同也分殊異我自我兮人自人汎愛親人昭至戒不親親竟至無親怨以直兮恩以德抑吾聞諸古仁人恩恩怨怨隨時可然後中庸庶幾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六月一日有懷 心惱魂銷意又茫誰將水炭置吾腸一爲客旅懷空惠三失機要悔自長雪苑月中催煖氣戌樓梅下別寒香遊春忽覺南岡夢戀舊重與半夜傷柳綠花紅悲逝水房謀杜斷仰遺芳俯臍欲噬嗟何及摽臆徒勞媿未嘗愁與歲年同荏苒居分雲漢隔參商巫山十二傷懷極時復幽吟憶楚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硯銘 鈍乎其質潤乎其文文乎質乎爾之彬彬者兮不可須臾離乎四友之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古宅 當時歌舞醉華筵屈指如今已十年存歿不堪人事改石臺斜日鎖寒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食途中 朝來驅馬小溪湄花柳都非昔日姿不是春光從此變可憐人事異前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日書懷 年來貧病十分加苔滿空庭葉滿家今日却辭彭澤令免敎元亮負黃花【時以興德宰不赴故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食憶舍弟 金華歸路太悤悤消息人間夢已空多病一年春又過楚鄕寒食思無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山途中 雪山今日客重過飢馬能知舊宿家曉起不堪餘睡足擧鞭時打路傍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第六條【絜矩之義】 絜矩之義先儒釋之詳矣以矩爲心者見其本然之則者也以絜爲恕者見其推用之機者也權然後知輕重度然後知長短而以矩爲心則所度者廣矣矩於一國而可以度一國之情矩於天下而可以度天下之情則所以度之者矩也而非謂以矩度矩也夫焉有以心度心之嫌乎夫絜矩恕者事而動以人者學者之恕也動以天者聖人之恕也以是恕而好惡之一於正用人之一於公爲人民事育之道順天地自然之理則國自治而天下平矣程子所謂各正性命者聖人之恕也朱子所謂違道不遠者學者之恕也朱子曰此乃求仁之工正要着力云爾則此恕字果是學者事而充之爲各正性命之功行之爲泛應曲當之妙則亦可以爲學問之極功聖人之能事矣至於理財亦王政之一事也禹謨六府財必與焉洪範八政食貨爲先易繁曰何以聚人曰財聖人之重財者爲養生也衣食足而知禮節倉廩實而致富庶孝悌忠信由是而益篤焉禮樂刑政由此而乃行則此實天德之所與王道之所關也生之疾用之舒而禁其爭奪之習制其産薄其稅而勸其農桑之業則民足而君足里富國富可以爲平天下之道也故大學言至善之功而以理財終焉君子有絜矩之道而以理財中焉然長國家而不以財爲利必以義爲利先德敎而後財用則賢者進而有禮樂之治小人退而無聚歛之害此其推廣絜矩之意也歟謙濟集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經義條對(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從兄文【學心】 維歲次甲辰九月癸丑朔二十二日甲戌從弟學敬命子象頤謹具酒果之奠告于從兄通德公之靈曰嗚呼吾兄之歿歲已再周痛益切思益深資質粹美胷次弘深承接有和暢之氣談論有迭宕之意詩場酒筵披襟談笑軒然爲風流長者莫不稱其美風骨雖早廢科業竊期晩達身遘奇疾年未半百嗚呼痛矣兄嘗曰吾於竹林外作一書堂名之以聽竹吾當作詩君亦作序其後病中又語曰吾病得瘳則不復關念家事重修齋室當與君輩往來風詠詩酒自娛漁採爲業以終餘齡不亦宜哉言猶在耳嗚呼今日兄之志皆不得遂豈不重可痛恨乎花朝月夕無非吾兄之思江雲暮柳無非此心之悲痛矣身在千里之外付數行之文英靈有知庶燭我無窮之痛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鄭【龜煥】文 辛亥五月十二日丙戌故通德郞鄭公將卽幽宅其友幸州奇學敬病未臨壙前二日甲申使子象頤替奠鷄酒于靈几之前而告之曰嗚呼哀哉吾君輝而至此耶純剛其質耿介其操不可復見矣吾輩平日夷險相期痛痒相關而敬遭禍墮坎於兄死生之際淡不相顧此豈人情之所堪也哉嗚呼昔我相訪於溪上也兄雖老矣意氣不衰風神飄灑置酒開懷亹亹不休觀其飮食起居非我之所能及而忽此先我而逝神理杳冥孰訊其由春間自峽歷見悽然有永訣之語每一念之如刀割腸朝暮當相從於泉壞之下以畢未了之懷也嗚呼自道術分裂爲士者自私而用知諧世取容不過爲徼名干祿之階惟兄早脫名場操履貞固內則孝悌外則信義克守正見言論峻潔不懾於毁譽利害之間實有古家餘風不幸壽未八耊官無一命有識莫不歎惜況在姻親之情何如哉嗚呼日月不留窆禮有期儀形永隔會晤無從東望長號痛撤心膂敬方在緬服神思都滅不能匍匐謹以小誄伸寫哀衷英靈炳然尙能監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仲氏文【學淳】 維歲次癸丑九月辛卯朔初七日丁酉舍弟學敬謹以酒果之奠敬告于仲兄靈几之前曰嗚呼痛哉兄主嘗曰吾於天德山下占得寬閑之野水石之窟與汝分山而居耦耕而食南阡北陌前藜後笻春秋杞菊左右圖書談論古今歌詠先王之風不知老之將至則平生之志願也弟聞而願焉非吾兄之高潔安得脫橫流而入淸源乎徐當經營奉以周旋顧此家力未遑事故疊生因循荏苒今焉萬事已矣池塘春草中有宵風雨熏心鑠骨兄主常作家訓以小學一部爲爲人之道盡在於此易簀之時又以直字垂訓豈不服膺吾知兄主子孫必有福祿無窮卽直之爲生之理也平日言行之懿以待異日之更述永隔泉壤半身奚持日暮霜天隻雁獨悲嗚乎痛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