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밤에 앉아 夜坐 은하수 더없이 맑고 가을밤 쌀쌀하니온갖 소리 고요하고 달은 서쪽 언덕에 떴네작은 당(堂)의 바람과 이슬에 사람 잠들지 못하는데어부의 노랫소리 길게 들려오는 곳 어디인가 銀漢澄淸秋夜凉萬聲涔寂月西岡小堂風露人無寐何處漁歌韻更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봄날 春日 숲속에 봄 돌아오고 매화길 열리니하늘 가득 온화한 기운 품고 있네작은 재(齋) 한낮에 고요하여 향 사르고 앉으니인간 세상의 온갖 잡념 재처럼 사라지네 林下春回梅路開一天和氣在腓胎小齋晝靜焚香坐消却人間百念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家兒 離家三朔。家信漠然。不知吾行止。何處而然矣。五月十三日。自楊州板谷發書。郭老持去必收傳。大抵經夏諸度免。何不廢看字乎。吾行五月十四日。抵抱川嘉德。謁勉菴丈。請蘆翁碑文。及囂囂公行。狀留一日。雲齋自南中不返。且有貞夫人患節。舍舘且遠。留止極難。而勉丈曰。此近永平玉屛可老里等。貴族所居。不滿一舍地。盍往觀乎。聞之欣然。十六日。向玉屛留二日。可老里。卽牛鳴地也。又向去。則主人卽老。而同派之誼。亦源源。且不貧可喜。而遇雨止留。與監役之子洛基。約金剛之行。七日發。六月初一日。到金剛山下。過大風雨留止五日。入山又逢霖雨。纔玩山內十五日。還到可老里。復留二日。以感冒到玉屛。調一日二十日。再到嘉德勉丈宅。囂囂公行狀已成。蘆翁碑文。終乃謙讓。而以歲月計云耳。二十二日。發嘉德。翌日入城。聞自上有璿源大譜之命。再昨夜。宿桃洞。參隋城府夫人忌祀。以雨諸族無來參矣。今番譜先祖妣。被誣歸正之意。累言於桃台。則答云懸註。則自當削去。至於他下手不得云。有機會難失之慮。然吾下去後。當門議矣。馬洞台載完氏。前有好。而今爲宗正卿。主管譜事。海南宗洪九。爲郞官云。得此好階梯耳。今若失時。則後悔何及。草此去留經歷。付之郵便。今明間。出南門外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梧【直幹廣葉團團可愛】 柯葉如靑玉濃陰月下分鵷雛如或至持以獻吾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徐施伯【景雨】 故人消息路漫漫南國霜寒晩菊殘記得相逢分手處葛川秋色夢中看【南下時遇施伯於葛川酒幕下馬敍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海陽醉贈李見卿【翰龍】 綠暗千林聽杜鵑夜闌星斗滿晴天明朝又是臨岐別共把離觴一悵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贈海客【睦公長欽】茶仙【睦公大欽】 爲吏塵中過一年欲從何處問崔仙今宵幸遇故人飮涼露下池秋滿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內藏寺贈峻上人 雲蹤不出此山前自說生辰癸巳年一捻香煙方丈裡石崖蘿月幾回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次尹按使仲素【履之】韻 榮悴從他付太空獨憐君有古人風誰知戀闕天涯裏回首長安似夢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謝南平倅朴伯游【濠】來訪集古句 閉門新竹自千竿【東坡】人與梅花一樣寒【司空圖】賴遇南平豁方寸【太白】霜天留飮故情歡【王昌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湖舟中次友人韻 蘭舟向晩漾晴波越女含情艶綺羅忽有新鶯啼綠樹殷勤如答渭城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湖上次友人韻 宿雲初散送晴暉江上仙舟載酒歸借問紅亭誰是主綠陰如畫水侵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端午日祗受賜扇有感 輕箑題封出御箱微臣跪受趁端陽火雲當午風生袖深荷天恩到骨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香奩體集商隱句 年華憂共水相催安得好風吹汝來一自高唐賦成從不知香頸爲誰回暮雨自歸山悄悄王孫歸路一何遙水紋簟上珊瑚枕惟有衣香染未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次玄洲尹新之令公韻 奔馳九衢內九衢多岐路今夕到君家此行不虛步池荷雖已枯臨觴重回顧坐久覺情深天寒知歲暮莫言夜無月孤燭何曾忤醉矣吾亦歸從茲數相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次金都事【德承】韻 疏庸荷寬政特許帶不束相見豈云晩旅館開心曲所嗟遽分手悵望人如玉願言保歲寒古風期共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金東村【蓍國】 可惜當年手一分天涯消息杳難聞春生南國梅花發明月窓前每憶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從子月峯文 嗚呼壽夭窮通一係于天爲而人力不容於其間耶噫以汝之才行宜若享其多福而年未至於六旬官未躋于大夫是孰使之然哉汝之乘化之初聞之者咸曰善人亡矣莫不爲之嗟咄況於至親骨肉之心宜如何痛悼哉嗚呼吾一年長乎爾而兒時竹馬之戲不願暫離讀書之同床就寢之連衾者十餘載矣及其壯也吾與汝竝參蓮榜榮覲萱堂慈顔有喜親戚致賀而畢竟又從而相繼登科實衰門之幸也汝之釋褐而立於朝僅二紀而柏府鑾坡薇垣春坊出入翺翔者久而雅望著於搢紳間矣詩律之淸新字體之遒媚見稱於儕流者夫豈徒哉柰之何黃粱夢罷蘭無香而鶴無聲汝雖早衰豈斜其遽至於斯乎嗚呼憶在歲癸卯之夏吾喪妻于京口時方大暑霖雨連旬汝不遠千里獨乘羸馬訪余於松溪之寓居而握手慟哭情亦至矣亡妻李氏之葬期定于初秋而汝能終始共看躬自題主焉此豈人之所可企而及之哉者至於卒未之秋吾罪與厄俱重在縲絏者三歲汝對人言常流涕嗚咽見之者以爲雖親父子何以過此靡不稱歎由是觀之汝之愛吾也出於至誠非獨吾知之國人亦知之矣上年春之孟吾蒙恩釋而還家于時風塵搶攘遠近騷動而吾便爾登途弔汝墓于他鄕之遠山嗚呼假令汝生存而卜築於彼地則相逢引觴必歡喜不自持而其柰旅墳三尺默默無言而但松風蕭瑟窮山悄寂正古人所謂宿草寒煙與世長隔無知無覺長臥大化之中自未死者觀之則斯爲善矣之說實獲我心想像音容幽明異路悲號躑躅果何益乎只有低空斷雲使我心傷而已嗟乎汝平日休休焉與物無競而傷人之言未嘗出於口如許樂易之君子何處更得來耶悲夫汝之兩男皆質美而好學能繼家聲汝之身後之事其無憾矣吁歲月如流汝之再朞倏焉已迫矣汝生時所自號月峯之下溪山草木村落籬垣宛然當時物色而溫溫昔風味今不可復見矣豈不痛哉執此一酌奠于靈筵汝之魂魄其必有知白頭病叔遠來哀叫之狀想應飮泣於冥冥矣噫噫月峯其尙有感於斯文也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從子君誨【傅立】文 嗚呼去年今日乃喪汝之日也汝之屬纊之際吾從斗一輩環坐嗚咽之光景了了如昨日沈思永痛之情其忍盡言乎哉曩者圍棊論文之會此生不可獲矣夜臺冥茫愛莫起之悲夫悲夫憶萬曆紀元歲在丁酉之秋湖外風塵澒洞吾奉先妣避亂于嶺之南而尋汝於安東府安東府卽汝之外鄕而陪嫂氏所寓之地也汝其時年纔十一見吾輒歡顔而宿于吾之衾裡學史略而讀字聲琅琅吾悅而贊之翌年春聞寇退草草行色奉先妣返于湖南汝以垂髫之童乃能捨慈母之膝下芒鞋徒步跋涉畏途隨吾歸于桑梓是誠不易事也自此飮食行止未嘗須臾離也中間各爲婚宦所縻未能同其居惆悵相望之時亦頻矣至於庚午之秋八月吾以聖節使受王命而航海朝天過冬春於玉河館而竣事回還之路吾不幸而罪與厄俱重在縲絏之中家山杳綿親戚隔遠惕息圓扉所伴者影惟汝輕千里而獨先來訪於圜墻之內握手歔欷備陳苦詞噫汝之常時愛我之誠到此尤著而加於人一等矣厥后賴天日照臨得免爲囹圄之鬼而流竄于嶺海之外幸而前年春蒙恩釋而還故園興汝相見於六載不相見之餘則汝疾已難醫矣然相對而其爲悲喜宜如何哉汝雖困憊委頓床褥置酒催觴勸嘗慇懃吾隨量健倒談笑如常而惟其疾之憂出戶而不自覺其涕流也然豈料其遽至於不淑也哉嗚呼諒汝之生平則視余猶父也而余不得視猶子也之處多焉百年慙痛只有淚闌干而已嗚呼向年夏君涉云亡初朞未周汝又乘化藐此老翁更將何依觸目傷懷忽忽乎不知爲生之樂也吁蘭之枯而玉之摧誰不爲之悼惜耶文翰之美記誦之聰通快之辯恬澹之操生斯世也夫豈易覿鄭學士子容挽詩苦調難諧俗淸標不受塵之句其殆汝一行狀乎汝之蓋棺之日親朋之來哭者皆爲盡哀亦可以占汝之善與人交矣每逢汝相許之朋儕有如見元賓之感也嗟乎以汝之▦宜若享其祿而畢竟有不然天難諶焉爲之何哉然汝之四男皆好文而稱家兒吾伯氏善慶之報其在斯乎嗚呼俛仰人間一場春夢往古來今有才無命而終於一慟者奚獨於汝也薦此泂酌失聲大哭想汝之英爽必不散者存焉吁嗟乎君誨其亦尙監于茲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