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慶州【二首】 戀君千里又思家客裏秋風是處多玉笛一聲腸欲斷東京非復舊繁華歲月紛紛瞥眼中蕭蕭雙鬢又秋風夢殘孤枕傷今古欲說幽懷誰與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言四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辛同年赴旌義 莫道耽羅遠吾行曾半途平生如素蓄風浪若亨衢職事應須勖君恩不可孤病中今作別能得唱驪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全豐川【元卿】 文章巨筆大如椽惠手如何細似紗若使婦人持此手纎纖能織百升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禿山松亭韻 百世浮生孰作仚一身非是資皇天調元手豈漁竿老明日還吾獨釣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莫恠山翁不學仚一生脩短付蒼天要津堪笑恢舟楫蹇涉山溪不用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三可堂文 天生烝民有典有則五倫是叙朋友㞐一余自結髮取友必端掌中雲雨云何足觀惟我與君道同業同比肩連袂㡬載相從薫其徳性蘭臭彌芳惟孝惟友偉節堂堂令聞至天褒奬厥徳表厥宅里豐碑是刻束帛丘園蒲車是安引對丹墀咫尺天顔分憂百里歌頌杜召䆠海多風遭歲黄兔君慨屣脫我亦家食栗里田園菊芳松青朱陳古村犬吠鷄鳴三間白屋一溪南北相呼詩酒不朝卽夕在此無斁永矢不忘天何不佑奄爾云亡已矣此生無復對床言念至此老涙千行嗟呼同一出處同一行装肝膽亦同何負幽眀雙閑亭月萬古長明公乎公乎公知我心敬陳薄具公豈不歆朴公達始行之子早擢進士修行不仕金冲菴凈遊楓岳聞公及朴三可遂良之名因往訪之服其爲人還朝力薦之擢己卯孝㢘科歴弘文著作兵曺佐郎及士林嬰禍公退在鄕典與三可先生同㞐一村朝夕往來講劘經學樂以忘世公性端慤雖隆寒盛暑整服危坐擇言而發三可性踈蕩磊砢不事修飭雖對雜人戱謔不厭所尚不同如此至其忠孝大莭炳如日星者相同故後世並稱爲善士【右出臨瀛誌人物部】朴先生公逹字大觀號江湖登薦科官至兵曺佐郎及罷科後舆三可公常爲酒朋會海上小岸忘形縱酒日以爲娛時人號曰雙閑亭但兩家間水或不厲揭則各於岸上隔水對坐擧杯相邀興盡乃己丙子秋冲菴薄逰關東匹馬往訪曾未面目各言姓名始相親款留數日乃還遺詩曰此地卽蓬瀟【全篇見上】乙巳復科拜承文校檢不就隆慶又復科還本職公晩號四止堂解曰坐止髙陰下步止蓽門裡所食止園葵大懽止穉子云右出己卯黨籍泛虛翁尚震按關東甞就訪先生語人曰斯人如玉壺秋水云右出己卯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賢良科傅旨 王若曰爲國之務人才最先薦賢之責唯在宰輔旁求俊又吐哺握髮古之良相咸以是爲急求之有道世豈無入予之臨政願治求賢如渴一紀于今然而治效末著賢才或遺注擬之際每有乏人之嘆豈不深可嘅哉欲頼羣哲之輔庶臻治理北道咨爾政府其體予懐廣詢博訪以副子仄席之意事下議政府議政府禮曺同議啓目云云歷代取士之法䂓制各異難以編舉西漢孝廉賢良等科最爲近古又其選擧之方考諸史可見元朔元年詔郡國縣官有文學敬長上肅政敎順鄕里出入不悖所聞令上長承上所屬二千石二千石謹察可者令與計偕建武十二年詔三公光祿勳監察御史司隷州牧歳擧茂才四行各一人四行謂淳厚質撲謙遜節儉也郡國茂才偕計到京師天子臨軒親策云云選取節目詳悉備具今依倣此才行兼僃可行之人令京外審覈名實廣薦京中則四舘專掌勿論儒生朝士薦報成均館轉報禮曺中樞府六曺漢城府弘文館亦擧所知移文禮曺外方則留鄕所報本邑守令守令報監司監司更謹察移文禮曺禮曺合取京外所薦聞其姓名行實報政府啓聞殿策諸事臨時啓禀間有名實乖戾謬擧之弊亦爲可慮擧主姓名並錄以憑後考何如啓依允上御勤政殿命題策問京外所薦一百二十人策取金湜等二十八而公居丙科第十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黃卷【開卷肅然是我嚴師】 三千黃卷在左右列昭森最愛文山集燈前萬古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櫟庵八詠 芝峰邀月飛鏡臨蒼岫淸光遍碧霄鉤簾未能寢獨夜擧杯邀黃灘釣魚沙淨灘聲轉人行畫裡如竹竿何籊籊閑釣一溪魚巨坪牧篴夕陽平野裡牛背篴聲歸細雨蓑衣濕曲終無是非德山樵歌殘照在深谷採樵何處童短歌如自得山鬼答虛空北嶺蒼松政合明堂柱蒼然誰所栽試看冬嶺秀桃李摠奴材東園翠竹主人園有竹綠玉挺千竿貞色堪醫俗憑軒盡日看大峙行人官道走南平緣山鳥外橫往來多少客誰是解閑行小南煙樹籬落多喬木團團帶夕煙飛來看宿鷺詩思忽悠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軒居士李公行狀 夫士之所以爲士者。豈徒讀古人之書而已哉。始焉收心養性。繼以物格知至。卒以措之踐履。乃可謂眞讀書。而無愧於古人。至如松軒居士近之。公諱萬龍。字士見。松軒其號。李氏之系出公山者。新羅文武公天一爲肇祖。簪組繼承。有諱明德。以牧隱高弟。事我太祖爲名臣。於公爲十世祖。高祖諱慶雲。贈同知敦寧府事。曾祖諱靈肅。贈通政大夫。吏曹參議。祖諱鞾。成均生員。號衋悔齋。行蹟。詳載勉菴先生所撰碣銘。考諱東榮。隱德。號曰敏齋。前妣茂松尹氏佐郞就湯女。妣坡平尹氏興之女。公以肅廟己未生。乙丑遭父喪。時年甫七。其哭泣之哀。擗踊之戚。動至隣里揮涕。奉偏慈。殫誠竭力。夙夜不懈。若老成人。母夫人甚安之。及就學。才氣聰敏。見輒成誦。性又沈潛。以存養爲日用本領。可謂認得聖門要法。入則愛親敬兄。出則弟長遜友。不言言之。皆古人嘉論美行。不交交之。皆域內賢人君子。雖交相密邇者。少不以怠忽戱慢。加之其篤敬如此。而樂善崇賢之心。尊華攘夷之義。未嘗一日少弛。曾以沙溪先生。尤菴同春兩先生事。皆參上疏。又以色掌。竝力周旋。不以始終緊慢其志。老又不憚遠役。參謁萬東廟。其執心堅確磊落。類皆如是。終于英廟癸亥。以禮月葬于綾南道莊坊。東豆山斗里峰向坤之原。配寶城吳氏。同岡而封。擧二男。長鳳齊次鵬齊。鳳齊一男思訥。鵬齊四男一女。之訥處訥應訥行訥。女適林昌翰。內外孫蕃衍不盡錄。嗚呼。蹟公始卒。幼而失怙。極其哀痛。奉養天只。盡其誠孝。蓋其天性然也。而又讀聖賢書。而開發之。施之平日事爲之間者。率多中規。至若扶陽脈崇賢哲之義。蔚然爲頹世表準。而人莫敢撓奪。非君子立志卓然而能然乎。孟子所謂。孶孶爲善。舜之徒者。非如公之云乎哉。公六代孫秉彦。使其四從秉五。持公遺事。謁余。余雖病朽辭拙。特感其事行之可傳而不可泯者。不敢牢辭。而爲之畧加檃括如右云。謹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묵매24)에 쓰다 題墨梅 노룡이 조화를 훔쳐다가벼루 웅덩이에 신묘한 기술 부렸나전날 밤 먹비 지나더니옥빛 매화 얼굴을 푹 물들였네 老龍竊造化神術硯泓間前宵行墨雨染盡玉梅顔 묵매(墨梅) 먹으로 그린 매화 그림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비 온 뒤에 깨달음이 있어 雨後有得 찬비가 앞 들녘 지나더니남산 씻기어 푸르기도 하여라.원래부터 멋진 기상이었건만비 내리기 전보다 훨씬 낫네 그려 凍雨前郊過南山洗面靑從來好氣像殊勝雨前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시월 어느 날 새벽에 일어나 감회가 일어 十月曉起有感 어제 서릿발 매섭게도 날리더니바람 한 점 없는데 잎이 절로 흩날리네뜰에는 쇠잔한 국화만이 남아시들시들 아침 해를 향해있네 昨日霜華重無風葉自飛庭餘殘菊在憔悴向朝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봄을 보내며 감회가 일어 送春有懷 금리48)에 봄이 저물려고 하니향기로운 물가엔 꽃이 참으로 쇠잔도 하네왕손을 그리워하는 이 내 한49)을흰 갈매기에게 알려 알게 하리라 錦里春將晩芳洲花信衰王孫靑草恨報與白鷗知 금리(錦里) 금성(錦城)으로, 나주를 가리킨다. 왕손(王孫)을 그리워하는 이 내 한 푸른 풀이 돋아나는 봄이 지나가는데도 그리운 사람을 여전히 만나지 못하고 있는 심정을 의미한다. 한(漢) 나라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초은사(招隱士)」에 이르기를, "왕손은 유람하러 나갔다가 돌아오지 않건만 봄풀만 돋아나 무성하구나.[王孫遊兮不歸, 春草生兮萋萋.]"라고 하였는데, 이후로 '춘초(春草)', '청초(靑草)' 등은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하게 되었다. 《楚辭 卷1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四休堂 相阻一日如三月戀乃心知戀我心數則斯疎言似薄故人交道不如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三五綱常於【一云有】我何一鄊全美在君多世人一樣看雙老蓬直誰知實賴【一作賴倚】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權彦器【璉】落第還鄊寄一絶 居君東里人來報昨夜西家困馬嘶衣錦遝鄊余日望如何猶着舊麻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師傅【益齡】草堂次申企齋韻 昨宵乗興訪柴扉看竹歸來雪滿衣松下莫留童子去客來猶恐問師歸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