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金槐山【公藝】 論交無早晩得子律身弘事業期程邵胸襟貯玉氷親年知喜懼山郡屈才能聖主應還召征車莫疾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司馬所兼送米斛 名字從來不直錢着鞭還愧祖生先丁寧爲寄靑帘債須向花時共醉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竹 此君與我示深契要取千叢斫地栽强項風霜操直節佇看成實鳳凰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朴訥齋昌世【祥】 文章一代盛名傳合置端宜日月邊暫屈海城卑濕地只携琴鶴送餘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悼金引儀【地】 泣血三年眼已枯摧心漠漠上天高秖今衰病空皮骨又哭東牀坦腹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杏花 三月東風列錦羅。野村無酒杏花多。牧童且莫浪相指。恐有遊人來取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달밤에 피리 소리를 듣고 月夜聞笛 이슬 기운 맑고 찬 십이루(十二樓)251)높은 난간 굽이굽이 달 밝은 가을이네한 줄기 옥피리 소리 바람 따라 들려오니왕자교(王子喬)252)가 난새 타고 넓은 거리 지나네 露氣淸冷十二樓危欄曲曲月明秋一聲玉篴隨風便王子乘鸞過九衢 십이루(十二樓) 전설에 신선이 거처한다는 12층의 누대다. 왕자교(王子喬)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 진(晉)이다. 생황을 불어 봉황의 울음소리를 잘 내었는데 신선 부구공(浮丘公)을 만나 숭산(嵩山)으로 들어가 도술을 배운 지 30여 년 후 백학(白鶴)을 타고 구지산(緱氏山) 마루에 올라가 며칠을 있다가 떠나 버렸다고 한다. 《列仙傳 王子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子彦 示喩。以心體虛靈之中。天命之性具焉者。謂之枯木死灰。則謂明德何如。乃可耶。大抵心之爲物。本非至虛至靈。神妙不測。周流貫徹者耶。以此之心具天之理者。謂之枯死之物。惡乎可哉。若以虛靈二字。旣稱明德之全體。則下段。何必復有具應之文也。蓋虛靈不昧心也。具衆理性也。應萬事情也。三者缺一。則不得成明德之名。此張子所謂心統性情之義也。今曰德本虛靈不昧。又曰不昧之統體。貫虛靈而寂感云者。實不可曉。而至有明德虛體靈用云。則是以心之虛靈。認爲性情。而謂德之體用也。其可乎。若曰非以虛靈直指性情。而以其寂感言也。則蓋靈者。心之知處。雖未感而靈固自若。豈可以用言之也。玉溪盧氏。曾有體用之分。而我東諸先生。皆已駁之。朱子每以虛靈稱心體之意。尤較著矣。神明云云。近矣。而亦不無强牽襲取之患。望須更究如何。心之精微。實非固陋病昏者之所可辨論。故未敢張王橫竪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曰攻乎異端。斯害也已。曾聞人之於異端。痛絶之可也。而若欲究異端之爲異端。則斯爲害也。而近間與人論此。其人曰。若如彼看。則大不合本文義。當看註說。攻。專治也。異端。非聖人之道。而別爲一端。蓋聖人之道。則兼四端而異端。則爲仁而至於無父。爲義而至於無君。若專治仁一端義一端。則爲害甚。前後兩說。誰是。 李海英 此蓋曰異端。決不可爲也。而若專治之以欲精之。則其爲害尤甚也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云。緡蠻黃鳥。【止】首節言民則註宜言人所止。而反言物所止。此節言鳥。則註宜言鳥所止。而反言人所止者。何也。首節。泛言所止而意廣。故幷包物而爲言。此節。言所當止而意緊。故單指人而言乎。 文載煥 細翫或問。玄鳥詩。以民之止於邦畿。而明物之各有所止。綿蠻詩。以爲鳥猶知其當止之處。豈可人而反不如鳥之能止所止。而止之乎之說。則首節註言物。此節註言人之義。不待他求而自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曾子曰吾日三省吾身。【止】朱子曰三省。固非聖人之事。然是曾子晩年進德工夫。蓋微有這些子査滓去未盡。豈聖人而猶有査滓未盡之可言乎。 文載益 聖有三等地位。不勉而中。不思而得。是生知安行之聖。孔子是也。至若學知利行之聖。顔子是也。曾子則竟以魯得之。是困知勉行之聖也。日三省其身。而用工不已。則是微有些査滓去未盡底氣像。故朱子云然。此與孟子動矣未變。顔子變矣未化之意相似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示講會諸君 蓋吾儒之學。其道有三。存養而立最初基本。致知而格物。窮理力行而畜德廣業。然此三者。非是今日存養。明日致知。後日力行。只是一時幷了。如輪翼相須。而不可相離也。要在乎主敬。敬則萬理俱存。而此心瑩然。不爲氣稟之拘。物欲之累。而全乎天理。雖一日之間。百起百滅。而虛靈知覺之體。常燦然燁然。未發而未嘗有偏倚。已發而亦未有過不及。此所以體立用行。而天命之至純。人心之至正。未嘗有毫釐之差者也。聖賢所以立言垂訓。而眷眷於後學者。皆此道也。嗟。吾晩生。雖未能親承磬咳。今六經語孟庸學。程朱之書。及我東諸先生至言美論。該備而存。敢不昕晡熟複。交修互勵。以寓尊聖希賢之萬一哉。旣自箴戒。兼以勉諸君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秋祭享文 天資篤實學業精純行高德盛師門嫡傳梅花淸節玉蘊休光吉日明薦歆我微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禪雲兠率祈雨文 惟我兠率明靈攸宅時降惠霈普施仁澤化育萬物無有差忒今玆大旱維魃之虐川澤盡涸稻秔未移農乃晩時人無生意守臣不穀以致灾異嗟我群黎果有何辜民如和悅神亦康娛亟著靈感興雲致兩枯槁悉潤裁植是宜賴此庥庇報祀無怠齋沐虔禱庶格神明洋洋在上降鑑微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正卿 老夫非是好文詞秪愛中宵秉燭輝習氣因君還鼓動百篇投贈莫相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李伯益【希輔】 殘年扶病赴朝班十日應無一日閒不分高軒先枉我那堪慚色滿衰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柳灌之【二首】 十五年前老翰林逢君堂後語深心銀臺便博觀風史嶺外雲山入嘯吟詩酒顚狂古錦城乃兄相見卽吾兄百年未半幽明隔怊悵靑山空復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啓沃 人間好事信難諧四月觀燈尙未偕抱病屛巖方讀史尺書還使老眸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客訪我不遇留一絶次韻【二首】 高蓋何人暫屈卑彈丸詩句更驚奇向時侶伴吾堪數定是平生管鮑知列峀庚庚眼底卑騷翁詩筆却添奇縱君一扣雲扄入莫遣兒曹取次知附原韻蘇仙精舍隔喧卑獨占終南水石奇靑鶴上天名洞在客來誰報主人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