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原韻附 沙村日暮叩柴扉夕露霏霏欲濕衣江路火明聞犬吠小章來報主人歸右申企齋光漢十年長掩故山扉塵土東華幾染衣遥想鏡湖林夜月子䂓應喚不如歸右趙龍門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咏雲呈四休 浮雲一片態無常朝暮衣狗變白蒼不作春霖蘓朽草謾遮山路滯行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借鷹 鷗無擘【一云博】翼人無癖鷹淂膏雉悅者多若使捕鳳而捉月先歸江海主人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松 宜【一云只】髙節藏於内不必開凋物不同偏爾獨將寒後色人人從此得知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沈士烱【彦光】韻 袖中神劒是龍泉醉把行吟負郭田落魄湖山尋舊約投簪松竹結新緣不堪眼軟思君淚肯惜囊空買酒錢世事從來寧有定昇除飜覆似昏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㡬䄵香案侍楓宸飜作天涯一逐臣北闕縱難能徹意東門容易可藏身平生事業無遺䇿半世悲懽不怨人天序四時功者去春鳳纔過又秋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三可堂 斗南當日冠羣賢千載髙名吏永傳恩到頴川黄覇右孝居莊屋老萊前心情旣與無終始生死如何異後先一閉佳城休敢惜樂夫天命古來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同知夫人輓 擇配歸君子閨儀世共師常如賓又敬豈但室家宜百歲纔過判孤魂逝莫追遺巾芳澤在不盡叩盆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默軒 山雨巖邊過春殘冷傡秋溪聲鳴似玉山色翠如流詑我發淸興招君同勝遊瓮頭今盎盎高蓋倘來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彦謙丑川亭韻 五馬非爲貴自然傷感多光陰流似箭功業薄如紗愛日情何極終天慟豈涯英雄過去盡不廢此山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小樓韻【二首】 【缺】知稽古力常抱范公憂聖代今爲郡慈親曾減油民風詢父老農事勸田疇五馬功名足其如雙鬢秋策策商聲起登樓聽武溪路長靑草遠山近白雲低把酒愁應破哦詩手自題使君勤挽袖暮雀度樵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攵叔墓 痛先親死猶君死悲失知心是我心宿草荒凉那不哭無端雙涙自沾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卽事 病父歸嫌佩網筐溪南魚子數寸長豆青稻白相傾汰須拾蓬蒿煑夕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 林泉㞐豈全忘世時向西鳳戀至尊雨露皆天芽苑地漁樵閒差亦君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具府使【壽聃】相别 天髙民未一䄵借臥轍難留泣下多村婦不知離别恨隔林猶唱五袴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私姓朴氏諱公達字大觀其先系出新羅中移江陵爲江陵府人新羅功臣大阿飡堤上之後曾祖諱自儉端川郡事祖諱中信永興判官考諱始行司諫院司諫妣英陽南氏生員邁之女生二男公其季也公以成化庚夤生公稟性醇謹端慤孝友篤至雖隆寒盛暑整服危坐擇言而發鄉黨稱爲善士焉中乙卯生員之後修身飭行堅㘴讀書不復治擧子業金冲菴雅聞公及公之堂侄遂良公之名丙子秋自楓岳來訪曾無一面之素各言姓名始相親款留數日而歸贈詩以别之有曰相逢捿隱䖏此地卽蓬瀛江海扁舟月飄浮一客星趣添皆骨遠眼入鏡湖青分手又千里馬前霜葉零盖以隱逸許公也及還朝力薦之中廟十四年正德己卯朝廷選孝廉時京外所薦一百二十人上御勤政殿命題策問取金湜等二十八人而公居丙科第十八是年拜弘文著作歴兵曺佐卽及士林嬰禍羣小指以薦科爲非公而罷之公退居江陵卜築沙月與三可結爲道義之交朝夕來徃講劘經學樂以忘世家下海口有岸斗起二公日遊其上樹以松栢世號曰雙閒亭兩家隔溪時或水漲不能揭厲則各於岸上隔水對㘴舉杯相勸興盡乃已三可堂先公而卒公作文以哭之有雙閒亭月萬古長明之句公廢處二十餘年至仁廟元年嘉靖乙巳命復薦科除承文校撿而辭不就明廟卽位之初李芑仁鏡等啓罷薦科宣廟元年隆慶戊辰李公浚慶等以雷霆之變啓復薦科還公本職先媤尚領相震巡按關東就訪之退而語人曰斯人如玉壺秋水其推重如此公初號江湖晚號四止堂又號四休嘗自解四止之義曰坐止髙陰下歩止蓽門裏所食止園葵大懽止穉子其閒淡自適之趣可見公贈沈漁村詩曰不堪眼軟思君淚雖處江湖之遠而愛君忠國之誠末甞少渝也年八十餘而卒鄉入立祠于社以鄕七賢享祠焉公卽其一也其後朴醫俗軒民獻按莭關東追慕两先生遨遊自得之趣親訪古迹溪山幽閴松檜隱暎雙閒亭宛然如昨乃嘆賞不已使畫師啚其形勝而歸公天資甚髙慕道希賢出而爲一世之所宗處而爲一鄕之矜式非有力學篤行也實能如是乎四休先生遺稿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장이(金丈而) 신(愼)의 시에 차운하여 오군(吳君)의 소헌(小軒)에 제하다 次金丈而愼韻。題吳君小軒。 수운(水雲) 사이에 작은 집 새로 짓고서만고(萬古)에 변함 없는 높은 산의 얼굴 고요히 대하네이제부터 선조의 유업(遺業) 계승하는 일207) 그대에게서 점칠 수 있으니백 년 세월 나와 그대 함께 한가로우리 新營小屋水雲間靜對高山萬古顔從此肯構君可占百年吾與爾同閒 선조의……일 원문의 '긍구(肯構)'는 '긍당긍구(肯堂肯構)'의 준말이다. 기꺼이 집터를 닦고 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선조의 사업을 잘 계승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서경(書經)》 〈주서(周書) 대고(大誥)〉에, "아버지가 집을 지으려 작정하여 이미 그 규모를 정했는데도 그 아들은 당(堂)의 터도 만들려고 하지 않으니 하물며 기꺼이 건물을 만들려고 하겠는가.[若考作室 旣底法 厥子乃弗肯堂 矧肯構]"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갈대 자란 물가에서 한가로이 낚시하다 蘆磯閒釣 찬 갈대 자라고 꽃잎 떨어진 작은 물가 사이달빛이 맑은 강에 내려 깎아지른 산 비치네백 척의 긴 낚시줄 거울 같은 강물 속에 드리우니잔잔한 바람 솔솔 불어와 물결 일으키네 寒蘆花落小磯間月照澄江暎斷山百尺長絲垂鏡裏細風微動水痕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가을밤 하얗게 누인 밝은 은하수를 올려다보며 秋夜仰見明河練白 상계(上界)의 어떤 이가 흰 명주 누여서온 길에 고르게 펴 긴 하늘에 걸어두었나만약 황룡포(黃龍袍)를 물들여 만들고자 한다면우리 임금의 오색실로 마름질하고 기워야 하리237) 上界何人練素絹平鋪一道掛長天若爲染作黃龍衮裁補吾王五色線 만약……하리 '오색실'은 곤룡포(袞龍袍)를 기울 때 사용하는 다섯 가지 채색 실이다. 《서경》 〈익직(益稷)〉에, 순 임금이 우(禹)에게 이르기를 "내가 다섯 가지 채색으로 다섯 가지 빛깔을 내서 옷을 만들려 하거든 그대는 그것을 밝게 만들라.[以五采 彰施于五色作服 汝明]"라 하였고, 두목(杜牧)의 시 〈군재독작(郡齋獨酌)〉에서는 "평생에 오색실을 가지고, 순 임금의 의상을 기워 보았으면.[平生五色線 願補舜衣裳]"이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虛白室銘 虛白室者。靑皐子。暇日讀書偃仰之所也。歲庚辰春築焉。其冬入處越明年。命之曰虛白。蓋取諸虛室生白之義。又粵明年作斯銘。銘曰維此秋南長門之閭。有一窩焉。王父所居。敢曰窄陜房少。客餘友朋相會。正難容。余西北之隅。有地而虛。可遊我神。可藏我書。我欲卽之。早結蝸廬。經歲經營。事巨力疎。遷延者久。勇則遂初。乃築斯室。一房一軒。東西三窓。南北七門。背陰有藏。向午取溫。不隱不野。正中于村。非侈非儉。可愛者存。可使我身。朝石偃仰。可使我氣。天地浩蕩。可使我心。聖賢想像。可使我志。掃除慨慷。旣適我用。亦合我求。旣豊我好。亦宜我遊。豈心於此。無往不美。春日增麗。秋月無滓。太虛無物。雲影垂几。于斯時也。幽興未已。榜曰虛白。名難得似。維古至人。可以有是。我何以學。物我無彼虛受益焉。白受采矣。名焉在玆。常若虛己。天下之實。自此而始。澄澈本源。鑑空水止。不知有餘。曷知其足。我銘我室。以備昏燭。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