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奇松沙文 嗚呼。蘆翁倡道。英才景從。尊華植綱。福我東方。公以肖孫。善繼善述。攷古驗今。心量宏達。仁精義熟。炳其文章。孝友忠敬。不絿不競。德盛行尊。灑落誠明。遭時翻覆。怪變相挺。出或匡救。計策殫盡。天乎不與。絀莫能伸。抱道捿山。自靖獨善。多士林立。舍不能容。誘掖激厲。允蹈規繩。其敎維何。聖賢閫域。其講維何。菙夏正脈。孰謂一疾。遽至於斯。坤陰愈窮。天不憖遺。昔我先師。歷訪頭流。我旣趨謁。公亦來候。浹旬留淹。講書賦詩。自後從逐。欽敬愈深。金利蘭臭。謂契同心。松茂柏悅。謂終歲寒。堅冰未釋。公乃恝然。誰謂此別。遂隔死生。緘詞寓哀。涕淚泉湧。然未親酹。動至倩人。嗟吾病躄。公昔稔認。遠寄空觴。惟誠之存。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鄭月波文 嗚乎。公以淸明純粹之資。服事蘆翁。正傳有受。竊聽士友。謂公博識。其識維何。心性正學。至若古今。事變之異。及夫草木鳥獸之微。靡不硏究。各極其理。之才之德。兼備交須。出而措之。牖俗何有。氣數局促。遽際不辰。終老陋巷。永矢獨善。鶴鳴子和。生徒自來。誘勵漸摩。文學之藪。天不憖遺。奄致千古。斯文孰扶。淳風誰回。嗚乎。昔余丙夏。縲絏而歸。公與鄙鄕。二友見慰。于時病劇。款吐未能。至今黙識。感悵交竝。情當匍匐。靈几洩哀。足盭神遁。跬步罔移。山罇走酹。躬莫之親。禮雖欠闕。奈勢使然。靈若有知。庶幾諒焉。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牛峰文公墓表 故牛峰文公。掩竁十六年。而其族子達煥。以公之孫載益狀。志其墓石之陰曰。公諱興休。字舜華。牛峰因所居自號也。考諱永祐。祖諱義鎭。號釣翁。曾祖諱福岐。母夫人。金海金氏某女。公以純廟辛卯寅降。以今上乙未十二月觀化。越明年。葬于宅之西北數百步。負乾之原。曰五虎峰者。公爲人。沈潛凝定。虔守帝畀。篤修人倫。秉心寬弘。處事綜詳。家故剝落。賣傭供旨。志體俱養。執喪哀毁踰節。奉祭必盡誠敬。御家必極雍睦有二弟。曰喆休曰廷休。廷休早亡。有二穉女。撫育無間已出。悲其早失怙恃。尤加矜恤。擇婿具奩而嫁之。有再從子早孤者。收卹成娶。令立家戶。二弟數破貲産。立其家計。使自安之者。非止一再。有孤而雇於家者。亦得婚娶設産。村之塾。無有爜灶。身輒代勞數年。蓋勤於敎子。而少無艱阻之意。晩尤力稼以自給。澹然若無求於世。而其所行身及物之。謹厚質慤。類如是。夫人河東鄭氏某女。勤謹貞靜。備有婦德公之幹檢踐履。亦多內助。擧一男一女。男武煥。女適朴海鳳。武煥二男二女。男載益載萬。女閔泳仁洪某。海鳳四男。載東載植。餘幼。嗚乎。公之孝友。爲宗族稱。鄕黨稱。齊口一辭。而公之意。則常若不及。盡已及人。一出悃愊。玆非夫子所謂。十室之邑。必有忠信者乎。我文氏世德。備載先世墓刻。此不復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弟月溪墓表 竹樹東一舍强。月山下杜陵洞。楮田上坐巽之原。有封若堂者曰。族弟月溪之藏也。君諱錫洛。字慶雲。號月溪。永平人也。文氏爲東方著族。以新羅武成公諱多省爲鼻祖。自後名碩繼承。簪組蟬爀。至麗季。有三憂堂先生諱益漸諡忠宣。道學忠孝。冠一世。至有感動胡夷。至孫諱和。始仕本朝。都丞旨。贈左贊成。諡景惠。曾孫參議尙行。贈參知議政府事。諡敬肅。再傳至勉修齋先生自修。官縣監。士林俎豆之。後承若干。有蔭職及文武科。俱不揚。曾祖諱珏相。祖諱思喆。同樞。考諱弘基。贈禮曹佐郞。妣光山李氏正夏女。夢見慶雲生君。君生而端重秀爽。幼失怙。鞠於偏慈。八歲入學。甚聰敏善記誦。從學于其從兄月菴公。公甚奇愛。期其遠到。自童穉有親癠。侍側不離。抑搔扶擧之節。擬若老成人。若其前後三椏。川鱉山鷄之感應。亦豈偶爾哉。隣里聞之。咸異之。將欲聞官。君輒止之曰。親癠調饍魚鳥等物。是例事也。假饒得之不偶。何必求人知爲哉。性至孝。養而極其志體。喪而盡其易戚。御家有法。奉祭備禮。至若交隣敦族。無不協其常理。嘗作歌謠十數章。而自警。皆出於性情之正。足可見天理之藹然於人事間者也。君以哲宗甲寅二月十五日生。終于當宁乙巳六月一日。得壽五十二。齊長水黃氏縣監基源女。擧二男。長昶浩次明浩。昶浩二男。濟元濟萬。明浩一男。濟韓。惜乎。以君之才之行。尤敦篤於文學。克盡孝之始終。而至於立身揚名。以顯父母。則足以通于神明。而竟泯沒。爲匹夫之孝而止。嗚呼惜哉。其子明浩。泣涕抱狀。至誠闡揚。詩所謂孝子不匱。永錫爾類者。尤可驗矣。撮其大要。銘石詔後。奚止警樵牧而已哉。庶幾勵回淳風。而有補於世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비 온 뒤 경치가 기이하기에 雨後奇形 조물주는 그림을 잘도 그려강천이 푸른 병풍과 같다네옅은 구름 서너 점 사이로두어 산봉우리 푸르게도 그려 놓았네그려 造物工於畫江天似翠屛纖雲三四陣寫出數峯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자다 깨서 睡起 자다 깨어 아무런 생각 없이홀로 텅 빈 방 안에 앉아있네사체는 존재하지 않는 듯하고일심은 허공에 매달린 듯하여라조용히 참된 경계에 도달하여주인옹39)을 불러일으키네두 번째아파 졸다가 잠깐 눈 좀 붙인다는 것이눈 떠보니 해가 저물어가고 있네저물녘 들판에는 서늘한 기운 일고산골 구름은 청적색이 섞였어라한가히 앉아 성긴 창에 기대있자니새는 울어대는데 인적은 하나 없네 睡覺百慮滅獨坐虛室中四軆若無物一心如懸空默到眞境界喚起主人翁其二病睡乍交睫開眸日向夕微凉生晩郊峀雲間靑赤閒坐倚踈欞鳥鳴人寂寂 주인옹(主人翁) 몸의 주인인 마음을 의인화한 것이다. 당(唐)나라 때 서암(瑞巖)이란 승려가 매일 스스로 자문자답(自問自答)하기를, "주인옹아! 깨어 있느냐?[主人翁, 惺惺否?]" "깨어 있노라.[惺惺.]"라고 하면서 마음을 다스렸다고 한다. 《心經 卷1》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남산 바위의 노래 南山石謠 우뚝 솟은 저 남산의 바위여높디높고도 고결하도다어이하여 조물주는네게 말할 입을 주지 않으셨는가 節彼南山石峨峨且高潔如何造物者使爾無唇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한가로운 흥취가 일어 閒興 대나무 너머엔 차 끓이는 연기로 푸르고매화나무 가엔 잘 익은 술맛 향기로워라손님이 와서 하는 일이 무어냐 물으면애오라지 한 책상을 가리킬 뿐이라네 竹外茶烟碧梅邊酒味香客來問所事聊指一書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밭고랑의 양귀비화 田間鸎粟 푸른 소매로 붉은 얼굴 가리었는데비 온 뒤라 은은한 향기 풍겨오누나꽃망울 하릴없이 해를 향하고 있지만23)가여워라 여전히 텃밭에 있구나 綠袖掩紅顔微香生雨後芳心空向日可惜依園畝 해를……있지만 원문의 '向日'은 보통은 해바라기 꽃이 해를 향해있듯, 신하가 임금을 향모(向慕)하는 것을 비유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샛별이 창틈을 통해 내 품으로 들어오기에 감회가 일어 明星從窓隙入懷有感 밤에 창틈 앞에 누워있으니샛별이 내 품에 들어와 비추이네어찌 우러러 부끄럽지 않을 수 있으리오일어나 앉아 쇠잔한 몸뚱이를 어루만지네 夜臥當窓隙明星暎入懷何能仰不愧起坐撫殘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봄을 보내며 送春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은 다정도 하여술 마시며 함께 가는 봄을 애석해하네누가 알리오 천지 안에는봄의 은혜가 아닌 날이 없다는 것을 今古人多意啣盃共惜春誰知天地裏無日不春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산새에게 말하다 語山鳥 나는 본래 말수도 적고나는 본래 좋아하는 것도 없단다졸렬함은 산속 중과 비슷하고담박함은 시골 늙은이와 같지세상 사람들 나를 어리석다 하며진흙을 팽개치듯 하였었단다산새야 너는 무슨 까닭으로나와 더불어 노니는 것이냐천지는 넓고도 크나니너와 함께 끝까지 한가히 지내리라 我本小言語我本無耆好踈拙似山僧淡泊如野老世皆謂我愚棄之如泥土山鳥爾何故與我從之遊天地廣而大與爾終悠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큰 거북이 당 아래로 와서 엎드려 있기에 느낀 바 있어 짓다 大龜來伏堂下。感而作。 그대는 네 가지 영물(靈物)40) 가운데 하나이니성왕(聖王)께서 살아계실 적에 네가 상서로운 징조가 되었지41)일로 서생의 방에 와서 절하는가우리 임금께 바쳐 빛나는 덕 기리고 싶네 君是四靈中一物聖王生世爾爲祥如何來拜書生室欲獻吾君頌耿光 네 가지 영물(靈物) 기린, 봉황, 거북, 용을 말한다. 《예기》 〈예운(禮運)〉에 기린, 봉황, 거북, 용 네 동물을 사령(四靈), 즉 네 가지 신령스러운 동물이라 일컫고 군자가 덕치(德治)를 이루면 이 사령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성왕(聖王)께서……되었지 효종(孝宗)이 봉림대군(鳳林大君) 시절 심양(瀋陽)에 있을 때 관상을 보는 사람이 왕을 보고서는 은밀히 말하기를, "참으로 임금 노릇할 사람이다."라 했었다. 연경(燕京)에 들어가서 하루는 피곤하여 누워 있는데 갑자기 오색(五色) 운기가 침실에 가득 서리면서 벽 사이로 거북 한 마리가 머리를 내어 놓고 있었는데 몸체가 매우 컸다. 왕은 꿈인가 의심하여 자세히 보니 꿈이 아니었다. 《孝宗實錄 附錄 孝宗宣文章武神聖顯仁大王行狀》 '네가 상서로운 징조가 되었다'는 것은 이 일을 가리키는 듯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산을 읊다 詠山 세상 밖의 청산(靑山) 몹시도 푸르니흰 구름 천리에 뜬 광경 시야에 펼쳐져 있네그대는 비밀스러운 천기(天機) 함부로 누설하지 말라기이하고 교묘한 솜씨로 당시에 옥을 쪼아 만든 것이네 物外靑山分外靑白雲千里望中平君毋浪泄天機秘奇巧當年琢玉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남 교리(南校理)에게 답례로 주다【당시 남구만(南九萬)135) 공이 암행어사(暗行御史)로서 찾아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謝贈南校理【時南公九萬以暗行御史來訪故云。】 한낮에 쑥대 우거진 집 닫아걸고서 바깥사람 끊으니뜰 가득한 푸른 풀에 절로 봄기운 생겨나네누가 알았으리오 총마(驄馬)136)가 하늘의 손님 따라찾아와 은거하는 백성의 안부를 다정하게 물어줄 줄 晝掩蓬蒿斷外人滿庭靑草自生春誰知驄馬從天客爲訪慇懃問逸民 남구만(南九萬) 1629~1711.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이다. 1656년 과거에 급제하여 교리, 대사성, 함경도 관찰사, 형조 판서 등을 거치고 삼정승을 역임하였다. 남구만은 1659년 4월 호남 암행어사(湖南暗行御史)로서 호남 지역을 순행하였다. 《孝宗實錄 10年 4月 18日》 《韓國文集叢刊解題 4 藥泉集》 총마(驄馬) 대간(臺諫)의 관직에 있는 자가 타는 말을 가리킨다. 후한(後漢) 때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에 제수되어 당시 권세를 휘두르던 환관(宦官)들을 조금도 꺼리지 않았는데, 항상 총마를 타고 다녔으므로 경사(京師)에서는 그를 두려워하며 말하기를 "길을 가다가도 멈추어 총마를 탄 어사를 피하라.[行行且止 避驄馬御史]"라고 한 고사가 있다. 《後漢書 卷37 桓典列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옥전자(玉錢子)46) 玉錢子 팔랑팔랑 한 쌍의 부채 고운 날개 향기로우니숲과 나무 지나 누구를 위해 분주한가섬돌 위의 도인(道人) 요염(妖艶)한 기색 없으니장안(長安)의 도리(桃李) 핀 담장을 찾아가네 雙扇翩翩粉翅香透林穿樹爲誰忙道人階上無妖艶去訪長安桃李墻 옥전자(玉錢子) 채승(綵勝)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채승은 오색 종이나 비단을 잘라 자그마한 깃발이나 제비, 나비, 금전(金錢) 등의 형상을 만든 뒤에 그것을 머리에 꽂는 꾸미개로, 당나라 때 입춘(立春)이 되면 임금이 삼성(三省)의 관원들에게 채승을 차등 있게 하사한 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강가 정자에서 주인의 시에 차운하여 남겨 주고 이별하다 江亭次主人韻留別 솔개 날고 물고기 뛰어 오르는145) 큰 강의 물가조화옹(造化翁)의 참다운 기틀 쉽게 엿볼 수 없네3일 동안 깊이 읊조리느라 한 마디 말도 없었으니이별할 때에 훗날 기약하는 것 잊어버렸네 鳶飛魚躍大江湄造化眞機未易窺三日沉吟無一語別時忘却後來期 솔개……오르는 천지간에 약동하는 만물의 실상을 비유한 말이다.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2장에, "《시》에 이르기를 '솔개는 날아서 하늘에 이르고, 물고기는 못에서 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천지의 도가 높은 하늘이나 낮은 못이나 모두 똑같이 행해지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詩云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강가의 제로(諸老)에게 장난삼아 주다 戲贈江上諸老 말하노니 강가 모래의 갈매기야옥 구르는 맑은 소리 푸른 물가에 울리는구나알려주노니 난초 핀 물가의 두 마리 흰 학아이별 곡조에 바다와 산의 가을 아쉬워하지 말라 爲言江上一沙鷗戛玉淸音響碧洲幸報蘭汀雙白鶴別調毋惜海山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산승에게 주다【산인 희현(煕絢)이 구고(九臯) 서재(書齋)인 양정재(養正齋)에서 나와 종유한 지 오래였다. 연전에 백운산(白雲山)205)에 들어갔다가 다시 나를 찾아와 몹시 간절하게 시를 구하였으니, 허전하고 쓸쓸한 마음이 들었다. 이어 속세 밖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서 부질없이 제하여 주었다.】 贈山僧【山人煕絢。從余于九臯書齋之養正齋久。年前入白雲。又來訪余求詩甚勤。廓然索然。仍居物外之思。漫題以贈之也。】 인간 세상 일마다 치아에 시린 기운 생기니반 이랑의 전원 또한 편안치 않네부러워라 그대 백운산에 높이 누운 뜻이여나는 이제부터 황관(黃冠)206)을 만들고자 하네 人間隨事齒生酸半畝田園亦不安羡爾白雲高臥志我從今欲製黃冠 백운산(白雲山)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多鴨面)·옥룡면(玉龍面)·진상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황관(黃冠) 누런색의 관으로 도사(道士)들이 썼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沈博士宜仲韻 人事不如意負君山路遙未同談警俗空憶氣干霄翰墨留餘染吟哦得易銷何處共斟酒令我病腸澆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