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淵齋宋先生文 嗚呼。世之隆衰。國之興亡。係乎聖賢之道。行不行而已矣。若使朝著。早從先生之言。而行聖賢之道。則治隆於上。俗美於下。百姓安所。蠻夷畏服。而唐虞之治可挽矣。文武之政可復矣。不此之由。而內有賊臣之措弄。外有夷狄之侵凌。竟致壬午之變。乙未之禍。而乙巳之敗亡。又立至矣。嗚呼痛哉。惟我先生。皓首邱林。所樂堯舜之道。所講孔孟之學而已。不忍坐視國亡。一欲廷請。爲廓淸計。而反被凶賊誣。載惡車。遽爾成仁取義。洪樑壞矣。泰山頹矣。邦國自此無再造之望。人民自此。無生活之氣。士林自此。無依仰之所。道學自此。無依歸之方。嗚呼痛哉。念昔一次承顔。賜款甚厚。屢度上書。垂敎愈勤。而至有續錄之下及。前後受恩。不翅若河海無涯。而顧此痿痺跛躄。未克痛哭靈筵。且數行告哀。未免倩酹。此豈天理民彝哉。伏枕泣血。罔知攸出。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벗에게 주다 贈友 산 속 늙은이 오래도록 계옹(溪翁)17)과 만나지 못하였으니깊은 숲 속에 구름이 몇 번이나 피어났다 사라졌나골짜기 난초와 물가 대나무 위의 저물녘 가을 하늘양쪽에 뜬 밝은 달 어찌 그리 맑고 깨끗한가 山翁久與溪翁別深林幾度雲生滅谷蘭渚竹暮天秋兩邊霽月何淸潔 계옹(溪翁) 김만영과 교유하던 인물로 보이나, 자세한 사항은 미상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전가(田家)의 새해 음악 田家歲樂 크고 작은 쇠징과 길고 짧은 북높고 낮으며 맑고 탁한 소리 뒤섞여 한 데 어우러지네전부(田夫)에게는 본래 밭에서 누리는 즐거움 있으니주(周)나라의 나례(儺禮)58)를 본받아 새해 첫날을 즐기네 大小金鉦長短鼓高低淸濁雜成聲田夫自有田間樂祖述周儺戲歲正 나례(儺禮) 주(周)나라 때부터 시작된 풍습으로, 음력 섣달 그믐날 대궐 안이나 민가에서 마귀와 잡신(雜神)을 쫓아내기 위해 치렀던 의식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겨울날 한가로워 冬日閒意 삼동(三冬)의 눈바람에 문 굳게 닫으니흥에 겨워 세상 밖을 찾아오는 자 누구인가어젯밤 생겨난 하나의 양(陽)을 비로소 만났으니59)작은 화분의 매화 꽃술에서 봄마음 새어 나오네 三冬風雪閉門深乘興何人世外尋始會一陽生昨夜小盆梅萼漏春心 어젯밤……만났으니 음기(陰氣)가 극에 달한 순음(純陰)의 10월을 지나 11월 동지(冬至)가 되면 양(陽)의 기운이 처음으로 생겨나는데, 이때부터 겨울이 가고 봄기운이 생기기 시작하여 만물이 생기(生氣)를 회복하게 된다고 한다. 《주역(周易)》 〈복괘(復卦)〉 공영달(孔穎達)의 소(疏)에, "동지에 양 하나가 생기니, 이는 곧 양은 움직여서 용사하고 음은 고요함으로 돌아가는 것이다.[冬至一陽生 是陽動用而陰復於靜也]"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퇴계 선생(退溪先生)179)의 〈도산서(陶山序)〉180)를 읽고서 나도 모르게 상쾌한 느낌이 들어 절구 한 수를 짓다 讀退溪先生陶山序。不覺爽然。因成一絶。 흰 돌과 맑은 시내 광풍제월(光風霽月)181)의 사이에서하늘이 부자(夫子)로 하여금 참된 한가로움을 기르도록 하였네백 년 전에 남긴 향기 여향(餘香)이 있으니책 속의 정신 마치 얼굴을 뵙는 듯하네 白石淸溪光霽間天敎夫子養眞閒百年遺馥餘芬在卷裏精神若對顔 퇴계 선생(退溪先生) 이황(李滉, 1501~1570)을 가리킨다. 퇴계(退溪)는 그의 호.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다. 1534년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 단양 군수(丹陽郡守), 풍기 군수(豊基郡守), 성균관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벼슬에서 물러나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많은 제자들을 훈도하였다. 도산서(陶山序) 이황(李滉)이 지은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가 지은 연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에 대한 발문으로, 《퇴계집(退溪集)》 권43에 수록되어 있다. 광풍제월(光風霽月) 비가 온 뒤에 맑은 바람이 불고 달이 뜬 깨끗한 풍광을 뜻한다. 고결한 인품을 형용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황정견(黃庭堅)이 〈염계시서(濂溪詩序)〉에서 주돈이의 높은 인품과 탁 트인 흉금을 "흉금이 깨끗하기가 마치 맑은 바람에 갠 달과 같다.[胸中灑落 如光風霽月]"라는 말로 묘사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松李公墓表 公諱斗馨。字汝實。自號曰石松。公山人。恭肅公諱明德。受業牧隱。學邃才良。事我太祖。有功業。是爲中祖。名碩相承。至鞾成均生員。師事安牛山。當丙子虜警。從先生奮義。於公五世祖。高祖諱東榮。曾祖諱萬龍。祖諱鵬齊。考諱處訥。俱隱德。妣綾城具氏。擧三男一女。公其第二房。前妣光山李氏也。公生于正宗壬子。幼而氣魄雋異。才識穎悟。不喜與羣兒遊戱。十二三歲。受讀經傳。深究蘊義。先生長者。期以遠大。十五失怙。二十失兄。三十七喪耦。二十年間。奇禍荐臻。家業剝落。由此而工夫。畧有間斷。然心志旣篤。存養自固。常以心無邪思妄念。耳不聽謠聲。目不視亂色。手足之無妄動。爲平素箴警。以故。隣里效則之。鄕黨稱譽之。嘗戒諸子曰。吾家靑氈。只守儉約而已。爾輩毋或怠忽。以致敗壞也云。圽于乙丑十二月七日。享年七十四。葬于山赤洞。生員公兆下。卯坐之原。配永平文氏義鎭女。先公二年而生。先公三十三年而終。初葬寒泉坊墨房洞。後穿公墓而合窆。擧四男。曰文述曰文一曰文轍曰文伯。文述二男。長允茂次英。文一二男。長根茂次鳳茂。文轍二男。長正茂次學茂。文伯一男。甲茂。允茂二男。長秉福次秉玉。秉玉系甲茂后。英四男。長秉五。次秉模次秉直次秉千。根茂一男二女。男秉烈。女長適鄭淳洪次適文煥。正茂三男二女。男長秉彛次秉心次秉敎。秉心。出學茂后。女長適朴致洪。次適鄭淳達。噫。天胡豐公之賦而嗇公之命也。死喪之威。艱虞之會。竟未究志業而充大之者爲可惜。然壽近八耋而考終。脚下子姓。又繼繼振振。亦不可不謂之餉。公以綿遠之福而將未艾於無窮也。公曾孫秉五。狀公遺跡。請余以不朽之托。余本固陋淟涊。安敢膺是役也。然其在相知。亦難終辭。敢爲之敍次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일가 형제들과 종갓집 터에 있는 배나무 아래에서 함께 술을 마시며 與同宗兄弟共飮宗基梨樹下 우물가의 두 그루 배나무가지마다 흰 눈이 쌓인 듯예닐곱 명 우리 형제들즐거이 꽃 아래에서 술잔을 기울이네 井上雙梨樹枝枝白雪堆六七人兄弟開心花下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어떤 중의 시축에 제하다 【2수】 題僧軸【二首】 바닷가의 산은 창끝 같고가파른 봉우리는 날듯한 형세이네바위 사이엔 내 옛날 자취 남아있는데중은 흰 구름 밟으며 돌아가네두 번째봄눈에 추위가 여전히 매서워뜰의 매화나무 대부분 병들었네산승이 비록 시구를 청하더라도어느 곳에서 새로운 시를 읊을꼬 海上山如戟危峯勢若飛巖間我舊跡僧踏白雲歸其二春雪寒猶重庭梅多病枝山僧雖乞句何處詠新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저물녘의 구름 暮雲 해 저물녘 드넓은 남쪽 하늘에외로운 구름 느릿느릿 홀로 돌아가네앞길이 먼 것은 걱정도 하지 않고오늘 밤엔 바위 사립에 묵으리라 日暮南天闊孤雲惓獨歸不憂前路遠今夜宿巖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섣달 그믐날 밤에 除夕 가는 해를 지키는 것40) 끝내 어려우니내일 아침이면 또 새로운 봄이네돌이켜 생각해보건대 백년 뒤에는마침내 어떠한 사람이 되어 있을꼬 守歲終難守明朝又一春還思百年後竟作如何人 가는……것 음력 섣달 그믐날 저녁에 밤새도록 잠을 자지 않고 돌아오는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말한다. 「풍토기(風土記)」에 "섣달 그믐날 저녁에 밤새도록 잠을 자지 않는 것을 수세라 한다.[至除夕, 達旦不眠, 謂之守歲.]"라고 하였다. 《說郛 卷60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鄭氏旌閭記 宇宙之間。一理而已。天得之而爲天。地得之而爲地。人得之而爲人。是所謂三才。人有是理。張之爲三綱。紀之爲五常。而萬善皆從此出。凡此忠孝烈。乃其目之大者也。一有至行。則自國家有褒美之典。亦其理之常也。一日金君海炫。袖示其曾祖妣烈婦鄭氏行錄一通。而求旌閭記。謹按烈婦。卽丙子倡義。鄭公諱思悌。七世孫也。生而質美德備。自幼愛父母和兄弟。凡百閨範。不煩姆敎而能。及笄。歸于金公命兀。事舅姑極其孝順。待君子相敬如賓。甚得婦道。室家雍睦。隣里欽嘆。但君子早嬰奇疾。積年沈痼。百藥靡效。乃稽顙北辰。求以身代。而至於不可救則潛入寢室。卽以刀割其左股一塊肉以進之。僅延七日。而以乙未八月二十日終。奈命何。鄭氏哀痛罔極。卽欲白裁。親戚長老。曉慰甚切而止之。後年甲子。當其祭日。潔其飯羹。豐其庶羞。以致如在。是夜從容而逝。嗚呼。歷選今古烈行。未有若是之純且摯也。高宗二十三年。丙戌九月日。依該曹啓辭。旌閭如法。於是鄭氏之烈。聞於遐邇。人同秉彛。孰不好懿而樂道之哉。余不敢以衰耗病廢辭。遂記之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勉菴先生。春山影堂。上樑文。 伏以。肖像傳摹。曾在無恙之日。堂宇建搆。寔出慕賢之誠。德儀攸存。山仰冞切。恭惟勉菴先生。當華夷淆雜之日。膺天地正氣而生。家傳楷模。克紹文昌之緖業。學究性理。早升華翁之室堂。曰欽曰恭。願吾君於堯舜。適體適用。承其統於孔朱。用隻身。扶萬古之綱常。爲一國。救當時之弊瘼。知道養德。著發爲文章。竭力致身。純篤乎忠孝。立心則斥邪衛正。明義則討逆攘夷。乃以愛君憂國之誠。早決委身處命之道。屢上疏箚。再遭窮溟圍籬。一竪義旗。竟致惡島易簀。殷師三十百年華脈。賴以彰明。東方二千萬衆蒼生。奈沒依仰。縱有七分貌。繪素之幸。久欠數仞堂。揭處之儀。旣經營之有年。庶遠邇之協議。是知秉彛好德。同出於天。聿見出力僝功。竝爲之地。何如輪奐之爲美。惟其安妥之是圖。望之儼。卽之溫。怳復承於親炙。讀其書講其道。斷無它於常平。奚但感泣吾徒。可以激勵頹俗。恭伸善頌。贊擧脩梁。兒郞偉抛梁東。昭昭朝日上天紅。金鰲山色高如許。認取先生氣像同。兒郞偉抛梁西。滿山松檜月高低。當時心事人誰識忠義堂堂自不迷。兒郞偉抛梁南。嘉木風來爽氣含。克復爲仁無點累。至今追慕溢言談。兒郞偉抛梁北。羣巒疊翠無傾側。靜中知覺地雷生。天命流行元不息。兒郞偉抛梁上。雲淡烟消天宇曠。列宿昭回照此間。遙看箕尾森相向。兒郞偉抛梁下。庭開門闢臨荒野。升高亦可自卑先。願使絃誦徧華夏。伏願上梁之後。黍稷馨香。土木鞏固。盛德嵬業。範萬邦而維新。英姿宏儀。歷千載而如在。斯絶學之復續。庶眞儒之代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溪金公墓表 春溪金公。吾先君子執友也。公數往來。余嘗侍立。竊聽其言論緖餘。皆古人邃德善行。美事偉迹。未嘗及詭異怳惚。僭忒鄙倍。竟日竟夕。井井有威儀。嗚乎。先君子已下世。金公之圽。亦忽忽十數年矣。每逢人語及公。則咸稱君子人。玆非忠信篤敬。而致然者耶。公之孫永愚。以狀屬余。以阡表之文。辭非其人。而竟不獲。謹按。公諱翼基。字敬羽。號春溪。光山人也。新羅王子興光爲上祖。高麗文正公台鉉爲中祖。入我朝。有諱文發。以隱逸除黃海觀察。高祖諱震甲。曾祖諱洽。自光山居同福。祖諱邦弼。有二子曰得元贊元。俱隱德。得元無嗣。以贊元子爲後。卽公也。妣金海金氏潭女。生妣昌寧曺氏相周女。以純廟己卯十二月十九日生公。公自幼安重寬敏。未齓而孤。奉偏慈。僑綾城。綾爲母鄕故也。親老身子。躬執樵。稍立産業基地。而官不後正。貢廚不空甘旨。天只以爲安。嘗曰學問。是餘力當務。卽以夜隙冬閒。畧涉經史。取古人嘉言善行。常體驗施爲。尤勤制。喪致哀戚而袒括衰絰。亦不踰法。祭致誠敬而籩豆飯羹。各令務潔。將事之夕。斂衿端坐。到老未嘗少懈。接人則各隨素位喩之。與人子弟言孝悌。與學者言窮理。與農者言竭力。至於少者賤者。莫不隨人諄諄誘掖。及其將終。戒家人曰。交隣之道。以禮而已。又以孫兒託隣友曰。朝夕敎導。俾之寡過云。丙申八月三日。考終于第。享年七十七。葬于宅東數百步許。菊水峰甲原。配昌寧曺氏啓錫女。生卒俱後公四年二年。有一男曰伯鉉。伯鉉有一男三女。男永愚。女具敎春。盧昌植。朴鍾秀。永愚男哲洙。嗚乎。公之德之行。孝悌敬謹而已。是人所同得者。但世衰俗末。鮮能興行。然世之狀人行者。不問其行否。輒謂之通行。當然底道理。例爲稱道揄揚之資。何其誣也。至如公亹亹焉。愼黙思量。敦篤踐履。非善不由。非法不言。眞可謂善人君子也夫。玆將湘東筆。記之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參奉曺公墓表 曺君龍鎭。余晩年友也。袖一冊子。謁余曰。吾曾大夫遺事。備在卷中。願筆其可筆者。以惠墓道顯刻。余旣辭之不獲。謹按。公諱楨鉉。字玉如。號曰愚軒。昌寧曺氏。世居綾城。而其上祖曰。麗朝禮部尙書。諱著。入我朝。有月軒公諱顯。殉節達梁。贈兵曺參議。配侑褒忠祠。有遯菴處士。諱守謙。築亭富春。高尙其志。是其顯祖。一門出處。各盡其道。遐隅華閥。鮮出其右。高祖諱景文。曾祖諱翊彦。祖諱榮黙。司憲府監察。考昶基。贈五衛。將妣南平文氏福啓女。有婦德。生公於純廟乙酉。生而岐嶷。及長而姿質淸粹。容貌魁梧。不以世紛自累。而惟修身齊家之是務。養親而能竭其力。奉祭而克致其誠。處宗族焉。敦睦篤至。在鄕黨焉。信義周洽。收心而常存。戒懼臨事。而不設畦畛。苟其義也。不顧自家利害。不較外至毁譽。嘗戒子孫曰。願汝爲吉人。不願汝爲不吉人。又曰取友。當以正人君子而自益。愼勿使便佞醜類而自損也。哲廟朝有齊郞之命。卒於當宁丙戌。富春洞屈膝峰乙原。是其藏。配朗州崔氏鳳達女。擧二男二女。長曰常燁。季曰斗燁。女長適梁相誠。次適尹致源。長房三男。載愚載轍載驥。次房二男載甲載寅。曾玄不盡錄。嗚乎。公之德行。蓋已詳於遺迹。而及聞之社中父老。咸稱謹愼君子。而無二辭。尤想其溫和之氣。純厚之儀。足以感人深。而彌久愈不衰也。顧余識薄詞拙。有不能以闡發其幽潛者。爲可慨也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嘉善大夫中樞府事兼五衛將文公墓表 公諱應鎭。字贊元。南平人也。我文遠有代序。名碩相望。三憂先生諱益漸。諡忠宣爲中祖。十世祖諱自修。號勉修齋。以德行見擢。歷典二邑。乍試而歸。興文學正鄕風。士林建祠俎豆之。諱潤修。義副尉。諱士元靖陵參奉。諱昌後。社稷參奉。俱以孝行應選。於公爲九世八世七世祖也。曾祖諱世昇。祖諱鳳雲。考諱福奎。俱隱德。前妣樂安吳氏泰禧女。妣驪興閔氏時來女。以正廟甲寅生公。賦性純質。體宇寬厚。幼失怙恃。未得致喪。及長以爲至恨。遂追服。盡哀致毁。無異初終。且家雖窘跲。不以爲憂。惟以義方敎子。而戒之曰。專務衣食。不知文學。則難乎爲人。蓋衣食。養口體。文學。固心志。口體小心志大。大小之分。緩急先後。係焉。日加勸督。至使學業成就。處宗族焉盡敦睦。居鄕黨焉主忠敬。壽至九旬。志不少衰。以年德行誼。聞于朝。授通政大夫。後贈是官。哲廟乙亥。卒。以禮月葬于丹陽面眞谷乾坐原。配貞夫人。長澤高氏夏鎭女。孝敬溫貞。婦德咸宜。合塋。生三男二女。男長永夏。次永愚。次永武。女朴相台。李茂赫。長房三男。業休鍾休台休。次房二男達休京休。季房四男淇休周休章休玉休。曾玄以下不盡記。嗚乎。公律身以勤儉。御家以溫和。發言處事。必當於理。待人接物。一主於誠。而燕謨攸貽。子孫振振。天必福善之驗。豈不信然哉。公曾孫中煥。狀來曰今將樹石以表阡隧。願族兄記其陰。余不敢牢辭。畧敍其事行。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文公墓表 公諱桂珪。字在玉。其第三子炯。狀公行。過予而泣告曰。炯惡時文弊。不敢爲此擧。以故。墓道無表。至使平日眞實履歷。竟泯泯焉。大是不孝。獲戾幽明。夫追慕記實。古君子亦有已行。則此可足法。蓋吾先府君。早貧失學。而性惟質慤。勤儉又堅確。自持於凡忮求邪僻之事。俚俗鄙倍之言。一不萌乎心。出乎口以至浮華奢靡。是非毁譽。無一接乎耳目。惟以力農勸學。爲家政而曰。富貴不可强求。惟讀書質義。以立門戶。乃人生第一事。以是敎小子。畧無毫忽差緩。山塾稍間。或日暮人罕。則必躬送至齋。或連日風雨。得未下齋。則必親齎飯而至。或諸兄使執家務。必禁而絶之。或小子怠惰放肆。則不少假借。必加嚴責。曰勤學勅行。以做好人。是人子大擔負。汝胡不黽勉。退亭公以後。家世零替。文獻無述。汝須勤謹。勿失靑氈可也。嘗侍側讀史。至陳平家貧好讀書章。因戒之曰。古人尙然。近世吾鄕。南進士熤亦然。汝勿以貧窶廢業也。閔公祐植。曾爲塾師而同閈。使之逐日往候。聞隣坊有日新鄭公學邃行高。使爲之異日就正計。有年少文行者。則必使之從遊。有老成可師者。則必使之往學。素位淸寒。百經艱難。而晩又疾病。猶不留意藥餌。至若文墨載籍。惟力所逮。莫不準具。一心勸學。老愈不衰。中歲移家別庄。以其遠兄弟。乃復還家舊居。聯床湛樂。友愛周洽。事伯氏如嚴父。進退惟命。未嘗失和也。甲辰正月二十一日。考終于家。以禮月葬于小淸洞坐原。文爲南平人者。自新羅武成公諱多省始。至麗季。有三憂堂先生諱益漸。是爲中祖。至諱存道號退亭。從學牛山安先生。壬燹擧義。卽公七世祖也。高祖諱潤德。曾祖諱聖鳳。祖諱昌伯。考諱永化。妣密陽孫氏。生考諱永黙。生妣河東鄭氏。以憲廟己酉九月二十四日生公。配長興魏氏漢祚女。有四男。長斗烈。繼伯父桂洙。次甲烈次炯次台烈。台烈。繼季父桂琪。斗烈一男在德。甲烈一男在謹。台烈二男竝幼。嗚乎。公躬執稼漁樵。以資經濟。而居家篤於孝友。敎子嚴於課讀。持身以勤儉。接人以忠厚。是皆出於天賦。而不能自已者也。其視今人。誦書業文。沾沾自喜。而輕儇浮媠。反無以異於市井之人者。奚翅相去遠矣哉。炯旣順志篤學。敬謹自操。在德幼開爽劬書。炯又敎之有方。將有進就不已。是豈人智力所可及哉。蓋繇公至誠積久。必有感應。而速於影響者也。予本昧乎文辭。又不慣爲諛墓。不敢爲此役。然今狀辭旣詳且實。無有纖毫容私。可以警夫世之誣人致餙者。而又使夫好文刻畵者。亦有愧焉。然則夫人有實行。而誦說之。雖芻蕘。皆可得以爲之。余何敢辭。遂敍次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잠에서 깨어 일상을 적다 睡罷書事 인간 세상만사 사절하고서물 위 정자에서 한가히 잠이 들었네강천에 뜬 봄날 해는 중천인데우는 학소리에 꿈에서 막 깨었네 謝絶人間事閒眠水上亭江天春日午鳴鶴夢初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천지음 3수【감회가 일어 짓다】 天地吟 三首【◎有感而作】 천지는 어찌 그리도 궁한가이 인생 이제 다 끝났도다시름겹게 세상 밖 바라보니구름 사이로 산빛은 푸르기도 하누나두 번째한 마디 말없이 홀로 앉았으니마주 보이는 푸른 산 높기도 하여라고금의 일들 곰곰이 생각해보니천지도 작디작은 추호일레세 번째내가 천지 속으로 온 것망망 바다 나는 갈매기 한 마리일레라고개 들어 바라보니 끝도 없는 세계요만만년 세월 지내 온 태허라네 天地一何竆此生今已矣愀然望世外山色雲間翠其二獨坐一無語靑山相對高細思今古事天地亦秋毫其三我來天地裏蒼海一輕鷗擧首無竆界太虗萬萬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성석전(成石田)182)【로(輅)】의 〈전가잡흥(田家雜興)〉에 화운하다 和成石田【輅】田家雜興 비 내린 뒤 잔잔한 바람 낮잠을 깨우니작은 상엔 쓸쓸하게 고시(古詩) 몇 편 남아 있네성근 울타리엔 해 길고 정원의 닭 울어대니한가로이 남쪽 교외 향해 논을 바라보노라 雨後微風起午眠小床寥落古詩篇踈籬日永園鷄叫閒向南郊看稻田 성석전(成石田) 성로(成輅, 1550~1615)를 가리킨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중임(重任), 호는 석전(石田)·삼일당(三一堂)이다. 1570년 진사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뒤에 사옹원(司饔院)과 제릉(齊陵)의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를 본 그는 벼슬을 싫어하였고, 또 동문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서 더욱 세상과는 인연을 끊었으며, 지은 시고(詩藁)마저 모두 태워버렸다고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성암(惺菴)220)【내가 성암에 대한 만시(挽詩)를 지었는데,221) 지나치게 칭찬하고 인정하였다고 의아해 하는 자가 있었으므로 여기에서 언급하였다.】 惺菴【余作惺庵挽詩。人有疑其過稱許。故於此言之。】 성암의 학문은 내가 잘 아는 바이니칭찬한 말 애초에 사사로이 아첨한 것 아니었다네세상길 어지러워 지혜로운 눈 가진 이 없으니옥돌 속의 좋은 옥을 여러 사람이 의심하네 惺菴學問我能知稱美元非阿所私世路紛紛無智眼璞中良玉衆相疑 성암(惺菴) 이수인(李壽仁, 1601~1661)을 가리킨다. 성암(惺菴)은 그의 호.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안(幼安)이다. 전라남도 강진 출신. 1633년 과거에 급제하여 전적, 병조 좌랑, 정언을 역임하였다. 1642년 재차 전적에 제수되었으나 사은한 뒤 바로 전리(田里)로 내려갔으며, 이후로도 여러 차례 벼슬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내가……지었는데 《남포집》 권2와 권4에 〈만이성암(挽李惺庵)【수인(壽仁)】〉이라는 제목의 만시가 실려 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