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눈이 개어【기해년(1659, 36세) 12월】 雪晴【己亥十二月】 눈 개고 구름 사라져 날씨 맑으니태양이 빛을 드리워 광채를 흩뿌리네산천 또렷하여 거울을 펼친 듯하니만상(萬象)이 맑고 텅 비어 온갖 감정 고요해지네 雪霽雲消天氣明太暘垂曜散光晶山川歷歷如開鏡萬象澄虗百感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신여뢰(愼汝賚)162)【이름은 성필(聖弼)이고 호는 경암(敬庵)이다.】에게 화답하다 酬愼汝賚【聖弼號敬庵】 교외의 삶 적막한데 병이 뒤따르니눈과 달의 자태를 지닌 정든 이와 오랫동안 떨어져 있었네얼마나 다행인가 한 수 시를 가지고외로움163) 떨치고서 누워 시 읊을 때가두 번째황폐한 집에 찾아오는 수레 없어 적막함만 뒤따르니쓰러져 가는 누추한 집에 병들어 누운 신세로다옛 벗과 약속하였으나 만나기는 쉽지 않으니아름다운 국화 달 밝을 때가 가장 사랑스럽네원운(原韻)을 붙임형의 높은 의리는 아득하여 따르기 어려우니가을 물과 같은 정신 옥가루 같은 자태로다병들어 폐인이 된 뒤로 문 닫고 지낸 지 오래이니덕음(德音)을 직접 받들 날 언제일까 郊居寥落病相追久隔情人雪月姿何幸一聯詩上語却醒孤索臥吟時其二荒居輪鞅寂隨追蓽戶頹然臥病姿有約故人逢未易最憐佳菊月明時附原韻惟兄高義邈難追秋水精神玉屑姿病廢由來門掩久德音親奉在何時 신여뢰(愼汝賚) 신성필(愼聖弼)을 가리킨다. 여뢰(汝賚)는 그의 자. 호는 경암(敬庵)이다. 감사를 지낸 신희남(愼喜男)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성균관 생원 신광익(愼光翊), 형은 참봉 신성윤(愼聖尹)이다. 외로움 원문은 '고삭(孤索)'이다. 벗들과 떨어져 외로이 산다는 뜻의 '이군삭거(離群索居)'에서 유래한 말이다. 《예기》 〈단궁 상(檀弓上)〉에, 자하(子夏)가 "내가 벗을 떠나 쓸쓸히 홀로 산 지가 오래이다.[吾離群而索居 亦已久矣]"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차를 마시며 飮茶 잣나무 잎 차로 달여 김이 놀을 이루니한 잔 가득한 짙은 색 단사(丹砂)와 같네단심(丹心)은 본래 절로 붉고 윤기 흐르니55)다시 단사로 물들여 온갖 사악함 이겨내네 栢葉煎茶氣作霞一盃濃色似丹砂丹心本自丹如渥更染丹砂勝百邪 붉고 윤기 흐르니 원문은 '단여악(丹如渥)'이다. 붉고 윤기가 흐르는 모습을 뜻하는 말로, 《시경(詩經)》 〈진풍(秦風)‧종남(終南)〉에, "얼굴이 붉고도 윤기 흐르시니, 인군다우시도다.[顔如渥丹 其君也哉]"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솔잎을 복용하며56) 服松葉 늠름한 곧은 마음과 눈 속에서의 모습늦게 시드는 굳은 절개 세한(歲寒)에 돋보이네57)천년의 곧은 기운 내가 복용할 수 있으니만고의 풍상(風霜)도 절로 등한히 여기네 凜凜貞心雪裏顔後凋勁節歲寒間千年直氣吾能服萬古風霜自等閒 솔잎을 복용하며 김만영의 〈남교일기(南郊日記)〉에 의하면, 이 시는 1661년 5월 13일에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늦게……돋보이네 소나무는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논어》 〈자한(子罕)〉에, "한 해가 다하여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안렴 어사(按廉御史) 민공(閔公)177)【정중(鼎重)】이 방문하였기에 절구 한 수를 쓰다 按廉御史閔公【鼎重】來訪。仍紀一絶。 뜰의 난초 막 자라나고 버들 누렇게 열리니마을엔 사람 없고 험한 산길만 길게 나 있네깊이 사례하네 사군(使君)이 역마를 돌려서궁벽한 시골에 병들어 있는 원헌(原憲)178) 찾아와 준 것을 庭蘭初秀柳開黃門巷無人鳥徑長深謝使君回馹騎訪來愿憲病窮鄕 민공(閔公)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을 가리킨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峯)이다. 1649년 과거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 동래 부사, 병조 참의, 공조 판서, 한성 부윤 등을 역임하고 좌의정에 올랐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노론의 중진들과 함께 관직을 삭탈당하고 벽동(碧潼)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궁벽한……원헌(原憲) 공자(孔子)의 제자 원헌(原憲)이 노(魯)나라에서 몹시 곤궁하게 지낼 적에 자공(子貢)이 사마(駟馬)가 끄는 수레를 타고 원헌을 방문하여 말하기를 "아, 선생은 어찌하여 이렇게 병이 들었습니까?" 하자, 원헌이 대답하기를 "나는 듣건대, 재물이 없는 것을 가난이라 하고, 배워서 그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병이라 한다 하니, 지금 나는 가난한 것이지, 병든 것이 아니라오."라고 하였다. 《莊子 讓王》 곤궁하게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원헌에 빗댄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삼학재(三學齋)에 제하다 題三學齋 푸른 산 서쪽 기슭 들판 동쪽 머리에날개 단 높은 재(齋) 별세계를 차지하였네이 안에 속세 바깥의 일 전하지 말라지금부터 글 읽는 소리218) 천년 넘도록 이어질 것이네 靑山西麓野東頭有翼高齋占別區箇裏莫傳塵外事自今絃誦剩千秋 글 읽는 소리 원문은 '현송(絃誦)'이다. 거문고를 타고 시를 외운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을 닦고 교양을 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예기》 〈문왕세자(文王世子)〉에, "봄에는 시를 외우고, 여름에는 거문고를 탄다.[春誦夏弦]"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도민(道民)215)의 옛 집 벽 위에 제하다 題道民舊居壁上 가을 다한 남쪽 교외 처사(處士)의 집작은 정원 남은 대나무에 푸른 노을 둘러 있네서리 견뎌낸 것은 오직 뜰 앞의 잣나무뿐이니여전히 푸른 잎 떨치고서 가을 국화 마주하네 秋盡南郊處士家小園殘竹抹靑霞凌霜獨有庭前栢猶拂蒼髥對晩花 도민(道民) 김만영이 과거에 우거하던 고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전라도(全羅道)‧남평현(南平縣)〉에, "도민부곡(道民部曲). 현에서 서남쪽으로 16리 떨어져 있다."라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寧齋廬次惜別序 寧齋與承鶴。識面今幾年矣。會遇不過滿七除四。然則豈可謂親知乎。曰不然也。士之生此世。相期者志業。相知者信義而已矣。曷若隨俗上下。朝暮追逐。口是而心非者乎。二者旣通乎心。則雖山川之修夐。會合之稀濶。亦可謂神交。而況寧齋之信義志業。域內人士之所咸仰乎。承鶴盈緇衣誠薄者。平生木枘樗櫟之質。爲世所擯棄。硬硬德侶。而獨寧齋惓厚無斁。寧無海上人逐臭之譏乎。但吾知有通家之誼耳。年前先大夫出宰嶠南。捐館于官所。寧齋以純篤之誠。淸嬴之資。作戴星之行。千里返櫬而路且長。不能以時承諱音。久後因西來人轉聞。揆以久要。一番慰唁。禮不可闕。重繭淚洛。聞居沁園。行行出闉。驚浪險津。阻風原野。間關極矣。相守一宵。寒泉之說話未長。家山之夢想遽做。離索之思。非復昔日。而又不能以詩唱酬時節。抑又有一層深感者。何也。先王考尙書公殉節于是都也。吾先考唱宗赴急。齎文而及此。今星霜已經二十餘矣。後生到此。感昔愴今。山川應知當時事兩家子弟之所難忘。而況今日是何等時。變夏胥夷。誰知將來之稅泊耶。臨別書此。慻焉回顧。且以請何以贈我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구암서실(龜巖書室)에 부쳐 제하다 寄題龜巖書室 강가의 푸른 산 몹시도 기이하니책상의 서책 읽느라 세상 인정과 멀어졌네향기로운 창에서 《주역(周易)》 읽느라 주묵(朱墨) 모두 갈았으니216)이슬이 처마 소나무 몇 가지나 적셨는가두 번째몇 겹으로 쌓인 구름 산 작은 재(齋)를 감싸고 있으니안개와 노을 아침저녁으로 소나무 섬돌에 잠겨 있네제생(諸生)은 날마다 시서(詩書)의 비결 강론하니진귀한 편지와 서적 책상 가득 쌓여 있네 江上靑山分外奇一床書史世情虧薰窓點易硏朱盡露滴簷松第幾枝其二數疊雲山擁小齋烟霞朝暮鎖松階諸生日講詩書訣寶?珍編滿案排 주역(周易)……갈았으니 비점(批點)과 관주(貫珠)를 치는 데 필요한 주묵(朱墨)을 다 쓸 정도로 《주역》을 열심히 읽었다는 뜻이다. 당나라 고변(高駢)의 〈보허사(步虛詞)〉에, "동구 문은 깊게 잠겼고 푸른 창은 차가운데, 이슬로 주사 갈아 《주역》에 점을 찍네.[洞門深鎖碧窓寒 滴露硏朱點周易]"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북쪽의 소식을 듣고 뜻을 말하다 聞北奇言志 평생 손오(孫吳)의 병법247)을 배우지 않은 것이 한스러우니공동산(崆峒山)에서 검을 비껴들고서 크게 한 번 소리쳤으면248)때때로 북쪽의 바람 노기(怒氣) 가득 띠었다는 소식 들려오니남몰래 서릿발 같은 칼날 바라보며 긴 한숨 내쉬네 平生恨不學孫吳倚劒崆峒快一呼時聽北風多怒氣暗看霜刃發長吁 손오(孫吳)의 병법 '손오(孫吳)'는 춘추 시대 제(齊)나라 손무(孫武)와 전국 시대 위(衛)나라 오기(吳起)의 병칭으로, 병법가(兵法家)의 대표적 인물이다. 공동산(崆峒山)에서……소리쳤으면 외적(外敵)을 막아 천하를 평안케 하고 싶다는 뜻이다. 두보(杜甫)가 토번(吐蕃)의 침략을 막기 위해 공동산(崆峒山)에 주둔하고 있던 가서한(哥舒翰)에게 보낸 〈투증가서개부이십운(投贈哥舒開府二十韻)〉 시에, "몸을 막는 장검 한 자루를, 공동산에서 비껴들고 싶다오.[防身一長劍 將欲倚崆峒]"라 하였다. 《補注杜詩 卷17 投贈哥舒開府二十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늦게 일어나 晏起 봄날의 고뇌 게으름이 되고 게으름은 나태함이 되니잠에서 깬 숲속 창가엔 해가 이미 붉게 물들었네산새 마치 안타까운 마음 있는 듯 어지럽게 울어대니가지 하나에 꽃잎 떨어져 동쪽 바람 타고 내려오네 春惱成懶懶成慵睡起林窓日已紅山鳥亂啼如有惜一枝花落下東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玉潭記 吾師友松沙子傷時。入山結茅三聖腰。日與諸生講道。其中有時。葛巾藜杖。逍遙於山椒水涯。或採藥蒔花。或探勝尋幽。攀佳木之繁陰。坐豊草之幽香。見岳色聞泉聲。溯源而入深或竟日忘歸。若將忘世。不知老之將至也。越三年戊戌春。乃得玉潭於山之趾。初爲林薄所翳。葛虆所覆之未見也。用斧斤。剪其翳而撤其覆。則半畝方塘寒碧空。涵澄數沙如鏡面。照物姸媸莫逃。兩岸壁立如削玉。上有一道飛瀑。瀉入潭面如噴玉。眞造化奇功。遺置絶崖。尙不得遇人者耶。傍岸四顧。境不深而幽。環立之峰。頭頭呈奇。列置之石。盤盤可愛。松沙子坐而樂之。走書於余。誇其美。且道玆山舊有梅月之蹟。題詠三山玉潭瀑㳍者。亶在是矣。今旣得之。願與知者共之。於是乎。聞而樂之。以四月望。扶病策驢。未十里遇雨而止。翌抵山下。聞昨會潭上者。可八十人之多。觴詠未半。爲雨所驅。盡宿齋中云。余披雲直上。松翁知我來。而邀於山門。諸益尙多留者。爲我設昨會之未圓。咸曰風雨人海。一經熱閙。君之未前。良亦不偶。余曰。雨爲名區一洗。無乃俗客太多耶。相視而笑。翌日復遊于玉潭之上。距盤石而瞰周荒陂。而顧瞻碧崖翠壁之下蒼藤古木之間。源遠而流長。遂成奇絶之觀境。轉而路回。可作幽勝之遊。一掬玉瀑。坐潭頭而嗽。玉潭之稱果不虛矣。世間樂好水石。如梅月之淸流。嘗至乎此。以潭之淸。得梅月之題。未可謂不遇。然名不顯而晦者久矣。顯晦無乃數存者耶。今旣得梅月之眞跡。又得松沙子爲主人。非潭之幸也耶。僉曰諾。顧而樂之。行盃石上。酒半。主人問余曰子眞和樂乎。此否曰知之矣。昔人不曰。不得於朝則山林。此眞山林之樂耳。得於朝者。何暇於樂此。此非樂其樂而寓樂焉。主人翁笑而不答。於是乎。作而前曰滄浪之水濯纓濯足。惟主人公自知之。余將膏車秣馬。從子於潭之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도화선(桃花扇)에 장난삼아 제하다【선생의 당시 나이 19세였다.】 戲題桃花扇【先生時年十九】 흰 구름 도화동(桃花洞)에서 처음 나오니골짜기 안의 복사꽃 흰 구름을 물들였네구름이 초강(楚江) 상수(湘水) 여인의 대나무 위를 지나니대나무 사이엔 아직도 순(舜) 임금의 훈훈한 바람 둘러져 있네219) 白雲初出桃花洞洞裏桃花染白雲雲過楚江湘女竹竹間猶帶舜風薰 구름이……있네 순(舜) 임금이 죽자 아내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초나라의 상수(湘水)에 몸을 던져 죽었는데, 그 눈물이 대나무에 얼룩져서 반죽(斑竹)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또 '순(舜) 임금의 훈훈한 바람'은 순 임금이 지었다고 전하는 〈남풍가(南風歌)〉에, "훈훈한 남풍 부니, 우리 백성의 울분 풀어 주기를. 때에 맞춰 남풍 부니, 우리 백성의 재산 늘어나기를.[南風之薰兮 可以解吾民之慍兮 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이라 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禮記 樂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李白樂府愛其旨深思遠竊其意成句 日暮蒼梧望九疑。雲冥鬼嘯去安之。龍魚鼠虎吾知否。痛哭皇英遠別離。洪水滔天浪湧波。茫然四顧風沙多。臨流欲渡狂癡叟。妻止不聽苦渡何。有口莫言釼閣巒。股戰脅息坐長歎。危乎高處誰能到。世上無如蜀道難。不可奈何安若命。鴻毛輕視古猶今。陽春自與風雲會。長嘯隆中梁甫唫。國家本爲蒼生計。不喜邊功不是探。乃是用兵安得己。驅來萬里戰城南。將進酒兮將進酒。人生易老盡歡何。皇天生我才無用。身後留名安足多。儒生本分但言天。白首窮經誦聖賢。請看騎射快男子。猛氣自生遊獵篇。龍翼虎文非凡品。所思惟在玉山禾。世無伯樂鹽車下。一唱三歎天馬歌。投水徒悲弔屈子。秋風高擧憶張翰。孤高雪月莫相比。誰識今人行路難。白鷺白兮心不白。不如五德司晨知。七子平均不噎鳥。試聽行路白鳩辭。獨灑何由國恥雪。有人來獻一神鷹。不顧鴟鳶雲夢澤。爲君一擊九天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出塞曲八首 亡命去何之。擧頭望山河。離親棄墳日。常恐有網羅。國脈今已絶。忡忡憂慮多。異域風霜飽。行將且枕戈。去家經歲久。歲月空自欺。骨肉恩斷絶。男兒恐失時。秦庭哭無施。岐路泣素絲。萬丈沖天氣。晝夜思搴旗。嗚咽復嗚咽。世事難着手。國恥何由雪。十年亦已久。豈愛誓死志。此外復何有。莫說麒麟閣。不是圖不朽。世界羞恥心。同胞憤惋身。生死安足顧。白人莫怒嗔。同志日漸多。寄書海內親。古來成事者。無不經苦辛。莫萊英雄起。收拾陸海軍。不日圖復志。義聲天下聞。博海無內外。助順千百群。揚威征不服。佇見樹功勳。不下三寸舌。如何不取長。結怨蕩國力。射殺左賢王。卽墨一孤城。能復舊燕疆。天意將祚宋。智將豈殺傷。風潮已翻洋。義氣將催山。須識大經濟。恩怨兩國間。復尋澶淵盟。保全各自還。勿失平和策。豈知是龍攀。單于恃驕僙。終然執迷昏。漢軍入王庭。追亡更逐奔。虜王非難事。繫頸懸轅門。歸來大樹將。笑避洪功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族弟敬順詩序 學可求而言可求乎。求於學者。所以自廣而及人也。求於言者。所以資人而益己也。其資人之少也。不如自廣之多也。明矣。雖然。亦有說焉。求言者。卽所以求學。有求之而無不得焉者。未有不求而有得焉者。人必曰先覺之可資。先覺何嘗覺余。覺之在余。不恥問亦聖人之求耳。求之有道。求之於言者。涉卑近而告之。以可言者。又世未見多人也。求之於學者。憚深遠而前聖之垂訓。六經中自有餘師也。病世之學者。樂其近而憚其遠。口耳是尙。離眞失正。指沙爲玉。以紫亂朱。三敎莫知。百僞造作。甚者。晝夜不分。東西無定。此所以不知躬行踐履之爲貴。而惟言之是務求言之難而言者之難得。如是哉。吾從敬順志于學。求學而未通。求言于余。余非工於言者。又求詩于余。余非能於詩者。此亦有志於求而未得者。而敬順之求則不然。夫言文者導辭。言詩者達情。敬順欲其導辭余乎。達情余乎。敬順曰不然。我李之枝幹。布滿域內。若路人者。不億其麗。而吾宗黨之同此鄕井。世不失和。十世而若袒免者。豈不可書。豈不爲異日可誇。惟是言之求。而導達辭情。不在於是耶。是之請書也。於是乎樂聞其說。援筆而題長歌短辭。以塞其求詩。可云乎哉。若吾所謂導辭者。卽古文辭之指歸。而尤難於古歌詩之自鳴。皆亦非有言者所能然。余亦有聞乎此矣。前賢云文藝末事。而其爲之之難。又如是。漢以下諸儒。未嘗無文章。文章豈少忽哉。亦在於敬順求之之何如。亦以是自勗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 歲戊辰十月二十有九日。靑皐李公歿。越二年庚午。始克安厝于所居里負乾原。海觀尹先生題其墓曰朝鮮逸士。哲嗣博士君。屬余紀其實。余豈其人哉。而況公自不朽。何待人之不朽之哉。辭之固而請益勤。遂撮其狀。公諱承鶴。字子和。靑皐其別字也。以太宗元子讓寧大君爲初祖。三傳至秋城守諱緖。坐誣獄。謫昌平縣。賜環不歸。戒子孫不仕。高祖定魯有文行。曾祖世容。號囂囂堂。祖奎亨與蘆沙奇文簡公。爲道義交。使其子進士最善。師事之。寔厥皇考而號曰石田。丙寅江都之役。倡義勤王。俎豆于高山祠。妣星州李氏贈持平箕大女。繼妣平澤林氏。以哲宗丁巳生公。公生而淸贏。幼而失恃。進士公憐之甚。不使就傳。十二歲始入學。聰慧强記。拔乎等夷。旣冠隨進士公。摳衣於蘆沙之門。學業日進。令聞夙鬯。高宗壬午選賢良。湖南伯趙公康夏以公擧。對策于殿庭。指陳利病。精暢切實。遂發解額。癸未丁父憂。服吉仍不赴擧。絶意榮道。甲午東匪大擾。其魁全琫準欲與淸將袁世凱合勢。將使有識爲之介。而聞公名大索之。公避于方丈山中。亂已而還。及乙未之變。奇公宇萬擧義於長城。公馳馬赴其幕。時羽檄旁午。奇公口號。公手書。日數百紙。翩翩可觀。未幾。因朝令解兵。仍與奇公進闕下。封章討逆。爲奸細所阻搪。噫。事之不濟。天也。然可以有辭於後世矣。配朴氏。籍潘南。父寬壽。先公七年歾。別葬與公墓相望。一男光秀。六女適奇洛度。奇人度金學舜高在烈朴弘鉉梁會炳。副室男敦秀明秀中秀。三女朴仁喆洪起淡。餘未字。光秀男焃焃男漢基淳基中基。公天性至孝。而以蚤喪父母爲終身痛。語及必涕淚汍瀾。每憂先兆不利。三世六墓累遷。恊吉而後已。目見宗國板蕩。而擧義未伸。常懷忿慨。嘗辟于學軍二部。而幷不就。杜門息交。手不釋卷。究經義之微粤。劈禮說之聚訟。而至兵禪方技之書。靡不涉獵。爲文章必中繩尺。每春秋暇日。歷遍泓崢。飄然有出塵之想。發乎吟咏者。傷時病俗。往往有五噫之音。哀郢之思。公之爲公。槪可知己。且哲嗣欲討乙巳締約之賊。謀不成。逮獄久而後。僅以身免。然則公之義擧。上有所受。下有所傳。此可謂世類也。嗚呼。不亦美哉。銘曰。天潢名家。一士愷悌。石田肖子。蘆門高弟。夙生講討。曰義曰禮。剛方正直。執厥大體。天步方蹶。憂必京京。傳檄募旅。矢心廓淸。萬事瓦裂。歸掩柴荊。木石爲鄰。猿鳥與盟。向平五嶽。恣意相羊。鳴其不平。有詩盈囊。海翁題墓。昭視無彊。何俟朽筆。始乃流芳。甲戌小春。安東金密漢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先皇帝十九年壬午。命中外選賢良之士。全羅監司趙公康夏。以靑皐李公擧孝廉。薦于朝。公白衣赴殿試。對策數萬言。明白剴切。可擧而措之。不爲空言。而已得選文科初試。時公年二十六。名聲日峙。翌年遭外艱。服闋。以前試赴禮部不利。遂絶意榮途。以歲戊辰十月二十九日卒。士友相與弔曰。斯文喪矣。會葬于其所居里。長田聞一亭畔負亥原。判書尹公用求題其墓曰。朝鮮逸士。其子博士君。以在洪四十年受知於公。賚狀屬爲序。謹按。公諱承鶴。字子和。靑皐號也。太宗元子讓寧大君。其始祖。三傳秋城守諱緖。坐誣獄。謫昌平縣。仍家焉。世襲儒學。至諱世容。蘆沙奇先生銘其阡。諱奎亨。與蘆翁爲道義交。諱最善。號石田。進士擧義。赴丙寅夷難。師蘆翁。得其傳而侑其院。寔公曾祖祖禰。妣星州李氏。贈持平箕大女。有閨範。平澤林氏。繼妣也。公以哲宗丁巳三月十九日生。幼而聰慧超倫。九歲失恃。哀毁如成人。旣冠以親命學于奇先生。先生期勉甚重。人以四世師友乎蘆門。比朱門蔡氏三世。尤有光於是。公益自奮勵。責成德學仁義之實。充積於內。乙未。賊臣戕弑母后。公聞變。痛哭曰亂逆。春秋法。人人得誅。卽往謀於松沙奇公宇萬。結義旅討賊。湖嶺多饗應。自上遣宣使。諭以邇來變故。朝廷處分已定。義兵可止。公遂忍痛而歸。其後。有學部之辟。終不就。深自鞱晦。克闡家學。其所以篤倫正義。惓惓有沒世不忘者。初非有所勉慕而强爲之也。以至博士君。亦謀誅五賊。事覺被謫。抑非公不敎之敎耶。猗歟。三世義節。又可以觀公矣。公爲人剛直。理事處物。極其周詳。節躬以禮。御家以嚴。奉先克孝。以至累世葬域。皆擇吉安厝。信乎。本立而道生者。推之群行。寧有不盡其美乎。博通經史。雖兵農學說。亦窮硏其趣。所爲文不甚用意而工筆。亦天然則體。寧齋李學士建昌。嘗稱靑皐君子性。文章不須讓人。此可謂知言矣。夫仁潘南朴氏。寬壽女。配德無違。窆與公墓。隔溪相望。一男光秀。卽博士。文行著世。六女奇洛度。奇人度。金學舜。高在列。朴弘弦。梁會炳。副室金氏三男敦秀明秀中秀。三女朴仁喆洪起淡。餘幼。博士一男焃。焃三男漢基淳基中基。嗚呼。公學有淵源。身扶倫常。一試而其言不見用。一擧而其義不得伸。寔爲千古志士之恨。然而惟其所守者。確乎不拔。皭然不滓。以永終譽。則其遺風餘韻。直與蒼蒼泱泱者。高且長矣。嗚呼偉哉。尹公逸士之稱。斯其爲知德也夫。癸酉冬十月日月城金在洪謹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泉齋記 秋城之東南一區山曰萬德。鶴其洞。吾先祖秋城公子萬年衣履之藏也。雲仍曾無居是洞者。中年鶴泉主人兄。自長田移寓於此。其始來也。愛其山。不野而隱境。不深而轉。土沃而衍。民朴而淳。取一蟹舍以寄身。粵明年。築一齋於舍之南。蓋欲以會賓朋接事務之廳事。而命名曰鶴泉。揭額焉。泉下友奇公筆也。旣而一年而二年。二年而三年。蒙孩漸長。則因爲隷業之所。以望其成就焉。一日翁謂承鶴曰。君其記我齋乎。我之苦心所望者。君亦知之。庶或因此。而開發其端耶。承鶴作而對曰。是則何敢竊有一事仰質者矣。余嘗讀書于夢漢閣。孰知鶴之爲洞。而泉在百武外於齋。無乃不相當乎。翁曰不然也。吾飮此泉。已近二十稔。雖曰吾泉。孰云不可。然其命號之意。不在是也。曰翁之心。我知之矣。在易曰鳴鶴在陰。又曰山下有泉曰蒙。其取諸此乎。然則洞之久在荒僻之隈。至今日而名始顯者。抑亦有待焉。翁之取號。取其名之相符。而寄吾意焉。洞之遇主使。吚唔之聲不絶。則非但爲主人之幸。而別爲鶴泉賀也。泉乎泉乎。彼涓涓者。不舍晝夜。盈科而後進。童子之學。亦猶是。而在於無間。斷耳須於吚唔之暇。從容邂逅。想像乎先祖之遺風。沈唫乎乃翁之命號。則善端必有油然而發。如泉之始達。句能不失。則其終也。如鶴之鳴陰。翁之蒙養之道得之矣。吾將拭目。而竢其效也。童子宜各勉焉。主人翁誰也。苟鶴之袒免兄。翁之年踰歐翁稱翁之年故稱翁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下集序 盖自儒門多歧各師其師。能好其所當好。惡其所當惡。而不失性情之正者。時亦鮮矣。當此之時。苟有一介人。斷斷焉。無他技。其心休休然。見善如已出。好學如不及。有以爲斯文之羽翼。吾黨之依賴者。雖在所不知何人。尙可執鞭而願從。況聲氣之相孚。而道義風節言足聽聞者乎。松下安君文成。故家蘆門私淑。而亦其脚。下群彦之視以爲畏友者。其工也。近思小學其行也孝友睦婣。其志也。寧學古人而未至。不欲以今人自居。使天假以年。克關志業。則其所以扶持世敎。開發後蒙。有不可量矣。而顧乃與伯豊正思輩人。同歸於苗而不秀者。是何豊於前。而嗇於後也。念昔庚寅之歲。君不余鄙夷。古道先施。奬借拂拭。殆不堪當。而自幸桑楡老境。偶托蓬麻之列。往復上下。未始不爲歲寒一遇。而少微一沉。大暮不晨。居已爲六七年光陰。嗟乎。世之人。有財賄充牣。黃潤比筒而居者。亦有重金疉組朱。丹其轂而馳者。身死之日。名隨滅而無構焉者。淊淊皆是。視君之生。在已。盡樂道之樂。在人。盡好賢之實。而名足以垂後者。其高下得失。何如也。撫占傷今。合有一言記述。而顧語拙。未足以發其志意。又日新松沙僉君子。大筆揄揚。自可百世。設或强作諒無居諸公辭意之外者。因循不敢。今於嗣胤之懇。自有所感者存焉。書此而歸之。君諱國禎。字舜見。居綾州七松。自號松下居士云。上之四十年歲在甲辰孟春之晦。月城崔益鉉書。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