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說 華西先生以爲。宋子所論。心有以氣言者。有以理言者。此二句。實是論心。八字打開。夫心一也。而兩邊分言之。何也。心之爲物。合下於形氣。神理無所不該。動靜體用。無所不管。而常爲一身之主。以提萬事之綱者也。言其本體。則虛靈不昧而已。言其所乘。則動靜之機而已。虛靈故。能具理應事。動靜故。能寂然感通。具理而寂然者。性也體也。應事而感通者。情也用也。知覺云者。是心之神明。所以竗衆理宰萬物者也。而神是理之發用。而乘氣出入者也。故以理言。心亦得。以氣言。心亦得。然認心爲理。而不察乎氣欲之拘蔽。則其發亦不合理。而反害其理。指心爲氣。而不問乎理義之主宰。則所作。徒爲氣役。而反暴其氣。然則心專以理言。專以氣言。皆不可也。彼釋氏之師心。陽明之心理之說。俱以不察其氣。而卒以陷溺於偏見之歸矣。蓋心。以理之主宰而言。所謂天君泰然。百體從令是也。理。以心之條理而言。所謂仁義禮智。各有界限是也。在天地則元亨利貞。生長收藏。性情也。以元亨利貞而能生長收藏者心也。在人則仁義禮智愛惡讓知。性情也。以仁義禮智而能愛惡讓知者心也。體雖具於方寸之間。而與天地同其廣大。故於凡天下之理。莫不涵畜。用雖發於方寸之間。而與天地同其流行。故於凡天下之物。莫不宰制。此心之所以得天地之理。而其妙無窮極焉者也。然而發或不中節。何也。蓋以其有氣故也。氣不能無淸濁粹駁之分。而淸粹者。不隔乎理而助其發揮。故無往而不善。濁駁者。壅閼乎理。而使不直遂。故有時而不善。是以千古聖賢。所以立言垂敎。無非尊德性道問學。而變化氣質。克己復禮而已。大舜所謂人心道心。孔子所謂操存舍亡。孟子所謂小體大體。朱子所謂天理人欲之分。正以此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文氏派譜序 凡譜。以尊祖敬宗。爲第一義。而其收族而加厚親睦。是次第事耳。然族是天倫之屬。譜是天倫之書。容有私僞於其間。則天理熄。而人倫乖矣。然則是豈非修譜之實關義理也耶。吾文氏。自崇禎再辛亥後。大譜派譜。連編累袠。且距辛卯庚子。年未幾何。則必無是役。而亦不能已者。蓋以其兩年所編。免不得恩掩私勝。而致有眞訛相混。繼之以未及廣蒐。而或有見漏者。是以謹次勉修先生以下諸派。湊成卷袠。雖若闕畧於疎遠。而密邇則又該備。蓋親親必自近始。篤於近。所以及遠也。亦何病焉。若有前失之未盡歸正者。則當俟百世。而修忒辨惑。豈非吾門之大幸也哉。於戱。文氏始於武成公。而歷羅及麗。名公碩德。連世不絶。盈千年炳赫於左海。至三憂先生。以倡正學。闢異端爲己任。而與圃牧諸先生。道義契深。及聖祖定鼎。遂杜門丹城山中。植杏築壇。明禮講道。至孫始入我朝。以都承旨致仕。再傳至參議公。始奠居綾城。又再傳至勉修先生。築正路別尊卑。興文學正鄕風。士林建社俎豆之。後亦多蔭。文忠孝德。行之繼承。又不大揚。愈久而愈替。今焉寥寥矣。然吾家靑氈。尙不墜文學之名。而非先生之法服法言。則不敢服不敢道。而以是傳之子孫。以是勉之宗族。毋或違背。則外雖零替。內實立基本之道也。夫貞藏而元生。天理然也。姑擧草木之微而言之。則藏荄晦根。而春始發榮。皆理也。矧乎人參天地。而無一理之不具。無一理之不盡者。心也。以是心事父兄則孝悌。事君上則忠敬。施之宗族。則敦睦。又推而廣之。則無一事一物之能外此而中節者也。吾先世邃學懿德。偉行卓節。畧萃斯編。而蓋是率性遵道之迹也。今玄緖眇裔。咸以祖宗之心爲心。存之養之。講且熟焉。則要不出此。而家可以不墜矣。願吾族。相與之勖焉。越川君一派。亦請合編。收名單而來。僉族見許。是乃江漢之沱潛。復歸于江漢者也。亦豈非篤近及遠之道也耶。若世統之源流。先德之炳燿。已見於舊譜之諸長德序文。則固當因舊用之。不必妄贅。而但合而爲大譜。分而爲派譜則。分合之際。亦不無可言者。故忘僭而如右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褒忠祠遺墟碑 湖南搢紳章甫之魁偉傑特爲世表範者。從古何限。而至若壬燹諸公。衛國死綏。尤凜凜烈烈。始錦山不利。叔祖敬菴公諱弘獻。收散亡餘卒。推日休堂崔公諱慶會爲盟主。屢戰屢捷。獲醜甚多。轉以晉州。爲嶺湖咽喉。入守力戰。城圮而陷。崔公口占一絶詩曰。矗石樓中三壯士。一盃笑指長江水。長江之水流滔滔。波不竭兮魂不死。因投江。敬菴公同抱而死。卽萬曆癸巳六月二十九日也。事聞上震悼。贈崔公左贊成諡忠毅。贈敬菴公司憲府持平。建祠綾州。賜額褒忠。前此乙卯。月軒曺公諱顯。奉命達梁島夷入寇。公堅城血戰。罵不絶口而死。贈兵曹參議。後以士論。配侑是祠。三公竝享。春秋苾芬。及至叔季。國政不振。祠宇見掇。神人有憾。紀綱罔扶。余弟奎煥。曾謁勉翁。語及院墟荒茀。勉翁慨然久之。因命使章甫。設壇崇慕。蓋有年矣。今又將伐石厝之。請余記其事。余尤感愴。不敢以不敏辭。抆淚畧書始末。徵文者。余晩友曺圭晢。蕫役者。其父益燁。及吾族子載益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富春亭遺墟碑 此。處士遯菴曺公諱守謙字明吉所築。富春亭遺墟也。夫士之或出或處。各有所由。迹雖異而心未嘗不同。是以出可以致君澤民。處可以正風勵俗。然則其所以鏟光晦迹。亦豈徒爾哉。蓋世之貪慕富貴。冒進功利者。往往有枉道逢迎。邪辟由徑。而崎嶇反側。卒致禍患者多矣。所以子陵。高臥不屈。而激頑立懶。助成東漢風俗之美。人才之盛。顧不大有力於世敎哉。今遯菴。生於千幾百年之後。德崇望嵬。脗然無間。眞所謂其道果同。雖異世。亦且神交者也。使東方士子之出處者。俱法遯菴。而心迹相符。則豈有今日敗亡哉。憤庸憤痛。嗚乎。歲月寢久。亭旣傾圮。墟亦荒茀。其裔孫。昌燁益燁龍鎭。鳩工伐石。圖所以警樵牧。屬予記之。辭之不獲。敢此畧敍其大致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滄厓堂遺墟碑銘【竝序】 宗人武烈甫。抱滄厓堂序。若䪨帖而來諗曰。堂是吾曾大父諱載馨。爲講學牖蒙而設也。方其始也。掄材僝功之勞。儲書裒圖之博。可謂勤且摯矣。乃今歲月寖久。爲風雨霜雪之所剝傷。鼠牙雀角之所侵凌。而免不得墟而荒茀矣。復欲建立。則海氛日迫。林誦頓絶。士友之力。無復可恃。而殘孫弱裔。獨難擔負。每過舊址。徊徨屢周而已。因潸然出涕。余亦愀然良久。曰蓋凡一氣震蕩。海宇變動。則山川猶不免湮。矧臺亭室堂之寄在流峙間。等一浮菌者乎。凡塗墍茨瓦。有不頻加修葺。而能不傾壞者乎。雖然棟宇之成。氣也物也。詩書之敎。理也心也。氣有時而變易。物有時而興廢。勢固然矣。若夫心理。則不以古今爲成壞。不以治亂爲存亡。人能操而存之。循而行之。則庶事就緖。百廢俱興。而固然之理。自有所不能已矣。然則理之所在。氣亦運行。今君能以祖先之心爲心。則亦何患乎堂宇之不復起也。若其堂址之久荒廢。爲心大戚。則姑卽築壇立碑。以限樵牧。可也否武。烈復起而請曰。願得一言而銘之。辭不獲已。乃爲之銘曰。塾規維何。聖賢遺敎。學徒斯何。衣冠進趨。海桑一變。人歸堂圮。孫曾克肖。立石敬慕。我其銘之。以警來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밤중에 앉아 읊조리다 夜坐口號 밝은 달빛 아래 산은 아무런 말 없는데살랑 부는 바람에 대나무 소리 들려오네깊은 밤중에 홀로 앉아있자니누가 이내 심정 알아주리오 月白山無語風微竹有聲夜深成獨坐誰識我心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산을 바라보며 看山 만고에 푸르른 산꼭대기를뜬구름 몇 번이나 다녀갔는가높다란 산은 끝내 변치도 않고아무런 말없이 우뚝 그저 서 있누나 萬古靑山上浮雲幾去來孱顔終不變無語立崔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金君汝充序 閼逢困敦之秋。族從子惺甫。做四益於冠山之仙嵒。歲將窮。使其生徒汝充。齎華椷。度峻嶺。間關而來。及其告歸也。慨無以助信。敢將平日所聞者。而贐之曰。夫人之所以爲學。心與理而已。心雖一身之主宰。而其體之全。則天下之理。無不涵具。理雖萬物之分殊。而其用之妙。則一人之心。所能宰制者。以其一源故也。是以存此心。而使虛靈知覺之體。常炯然而不昧。窮是理。而使萬事萬物之則。皆較然而呈露。則德可以充。而學可以修矣。然是豈巧智之私。所能億度而强探也哉。蓋存心之道。莫切於主敬。窮理之要。莫先於講學。主敬則私意退聽。而天理自明矣。講學則聞見博洽。而睿智益明矣。然此非一朝一夕。所可襲取。只自積累多後。可以見功。其存之也。收其心而不放。因其已知已能。而日又涵泳之不可有頃刻之或馳騖也。其窮之也。本乎是心而思索。將其未知未能。而日又推明之。不使有毫釐之或差謬也。此其存養之要法。學問之頭腦。又使之日用之際。念念在玆無少怠惰。則自此而發者。其必中節矣。臨別悵悵。蕪說止此。不以昏耄而棄之。則幸也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樂堂金公墓碣銘【幷序】 公諱甲龍。字伍鉉。號樂堂。金海人。高麗寶文閣大提學。諱柱國之後。我朝仁廟。贈右議政。諡襄毅。諱應瑞之十世孫也。高祖諱延采。通政大夫。曾祖諱林龜。祖諱吉煥。副護軍。考諱鳳三。號瑞山。妣白川趙氏。泰鎭之女。純廟庚辰三月九日。生公于順天住巖坊竹林里第。賦性明敏。八歲入小學。日記數百言。而篤知愛親敬長之道。旣長力。學以忠信。不欺爲田地。而自夫發動。勇往直前。有不知。知之必行。有不行。行之必篤。惟盡在我而已。尤謹於事親。而不踰敬。不違志。而安其居處。旨其飮食。凡所就養。一出於誠敬。鄕黨咸稱其孝。轉聞于朝。除朝奉大夫童蒙敎官。壬申六月十二日終于正寢。享年知命有三。葬于同坊九山里案山酉坐原。配光山金氏在鎬之女。有女士之風。率三子。定居于綾州之校洞。蓋孟母徙舍學宮之傍之意也。公之後十年而卒。墓在懷德面圓山里右麓子坐原。丙子秋。玄孫孝根。遷公之墓。葬其配右。有三男。長海元童蒙敎官。仲湖雲。季海雲敎官。有子膺喆戶曹佐郞。嗚乎。公之言行。必多警世勵俗。而世遠文缺。存者無幾。雖若可恨。然卽此而可以知全鳳矣。遂爲之銘曰。天生斯民。其理本實。孰無此性。或鮮不失。嘉哉金公。能保帝畀。凡厥行爲。眞實無僞。爲人云何。是謂善士。我將銘石。以示千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處士洪公墓誌銘 故處士愚齋洪公。諱祐錫。字文玄。實吾黨中君子人也。嘗遊余塾。昕夕相依。寢食相隨。匝一歲同周旋。而硏經究義。考推該偏無所遺。每出言。亦無毁譽人。疑若不分是非。因叩其中。公私之幾。善惡之分。已較著。蓋其天性。簡重愼黙。重以學問有素。端本畜德而致之。此非君子人而能然乎。以是誦之勤。及其胤子承源。袖其遺集若遺事以謁之。尤有感愴者存。謹按。公自幼。器度不羣。甫授學。才藝聰敏。容止敬謹。其叔父鳳南公。甚器重之曰。是吾家龍文也。及長。敦篤乎六經。旁通乎百家。學優才備。以膺公車。其遇不遇。命也。奉身極儉。衣服。止冬綿夏麻。器皿。止陶匏磁碗。異域珍怪閃詭之物。絶不近之。室堂之間。只列圖書几案而已。事父母。能竭志體之養。奉祭祀。克致如在之誠。御家有法度。嚴內外之別。盡正邪之辨。至使巫尼輩。不許入壺內。至若敎生徒訓子姪。諄諄然導之以孝悌忠信。而不使有雜戱。中歲喪耦。宗族知舊。勸以卜姓。輒引以取失節者。已亦失節之訓而却之。嘗語人曰。富字。浮也。視如浮雲。貴字。鬼也。視如鬼關。財字。災也。視如烖孽。其嘉言善行。類難殫記。蓋公性行淳慤。儀度厚重。持身也恭儉。接物也溫和進學也。旣明體而適用。處事也。輒觀理而順應。凡所云爲。無少差謬。且其從遊趨向。皆國內碩德。或往復講磨。或追逐考質。所以造詣。晩尤高明。嗚乎。若使國家。任賢使能。如古昔盛時。而道尊德備者。日以陳善閉邪於吾君之側。又甄拔如公。勤儉禮義忠厚者多少人。布列中外。各隨其才以任之。則外敵何由以覬覦。賊臣何由以措弄。以至販君賣國。使五百年禮義掃地。三千里生民塗炭。至此之極耶。可悲惜也。公以憲宗癸卯生。終于今上戊申三月十日。得壽六十六。葬梅山嶝負癸之原。豐山之洪。爲我東著姓。其上祖曰。麗朝都僉議舍人侃。文章節行負重名。世稱洪厓先生。有諱治。以行義除厚陵參奉。諱埈聯中生進。諱景古號枕漱亭。隱德贈參判。諱履洙號竹窩。以孝贈敎官。高祖諱永漢。鰲樵其號也。羲禹。壽榮。圭周。其父祖曾三世諱也。皆不仕。妣全州李氏父光植。文安公思哲后。繼妣金海金氏父基白。齊河東鄭氏在信女。有婦德。擧一男二女。男承源。女長適曺秉覲。次適李三煥。孫泰植觀植晉植漸植。承源請余狀其德。然處士鄭公。已得安且成三字。余何敢贅焉。矧此愚陋。素拙文辭。加之病廢者。難以膺不朽之役。然平生知舊。如公之賢。歲寒相守之計者。亦不可無一言。而幽明相慰。玆敢摭實觕。記其大都。以貢幽誌。而銘之。銘曰。姿之厚兮其德邃。篤人倫兮守帝畀。勤謹恭儉又敏文。剌史不薦朝不聞。晩見亂華深杜門。獎進生徒送餘春。一朝翩然謝垢氛。我銘其藏詔冥。漠令聞令譽永無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눈 감고 짓다 瞑作 이곳은 어디이며나는 또한 누구인가아스라이 한바탕 꿈속이니가짜도 아니요 진짜도 아닐세 此地是何地我亦如何人茫茫一夢裏非假亦非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술이 없는 아쉬움을 달래며 寬無酒 술이 어찌 근심 잊게 하는 것이랴도리어 정신을 해칠까 걱정이라네세상 근심거리 참으로 풀 수 있다면굴원은 반드시[어떤 본에는 '亦'으로 되어있다.] 깨어나지 않았으리라31)한겨울에 큰 눈이 내려 사방이 꽉 막힌 채 열흘을 보내고 있자니, 추위가 두려워 움츠리고 있으면서 머리도 문 밖으로 내지를 못하였다. 동자를 시켜 이웃마을에 술을 구해 오게 하였는데, 얻지 못하고 그냥 돌아왔다. 이에 장난삼아 시 두 수를 지어 한편으로는 한스러워 하고, 한편으로는 이내 아쉬움을 달래었으니, 또한 무료한 생활 속에 한 번 웃을 거리로 삼을 만하다. 酒豈忘憂物還憂伐性靈世憂誠可解屈子必【一作亦】无醒【窮冬大雪。 閉塞經旬。 畏寒悚悚。 首不出門。 使僮子乞酒隣村。 不得而還。 戱題二絶。 一恨一寬。 亦可爲無聊中一笑具也。】 굴원(屈原)은……것이리라 굴원이 소인의 참소에 의해 쫓겨난 후 근심 걱정으로 나날을 보내면서 「이소(離騷, 근심을 만났음을 뜻함)」를 지었고, 또 그가 지은 「어부사(漁父辭)」에는 "뭇사람이 다 취했는데, 나 혼자만 깨어 있다.[衆人皆醉, 我獨醒.]"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벽에 쓰다 書壁 외물은 모두 외물이요천금은 그저 천금일 뿐모름지기 최고의 보물 있음을 알아야 하니하나하나 내 마음에 맹서해야 하리라 外物皆外物千金我千金須知至寶在一一誓吾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밤에 앉아 있자니 감회가 일어 夜坐有感 꿈에서 깨니 창문 밖은 조용하고텅 빈 뜰엔 학이 아직 잠들지 않았네싸늘한 밤이라 벌레 소리 작아지고드넓은 하늘엔 기러기 소리 낭랑하여라듣고 보는 이 없는 데서도 경계하고 삼가며3)단정히 생각하며 현묘한 도에 드네문득 아침과 낮 동안의 일이 부끄러우니재계하고 전현에게 부끄러움을 고하네 夢覺窓櫳靜庭空鶴未眠夜寒虫語拙天闊鴈聲圓戒愼無聞見端思入妙玄却慚朝晝事齊告愧前賢 듣고……삼가며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장에 "군자는 그 보지 않는 바에도 경계하고 삼가야 하고, 그 듣지 않는 바에도 두려워한다.[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당질【이상이다】에게 주다 贈堂侄【履相】 너는 나이 열두 살 무렵이 되자고금의 책을 곧잘 이해하였지학업은 모름지기 아는 것이 넓어야 하고심성은 힘써서 처음을 회복하여야 하네몸을 다스림은 매우 독실하고자 하여야 할 것이요뜻을 세움은 삼가서 허술하게 하지 말거라나에게 있는 것이 참된 실제가 아닐진대무슨 수로 아름다운 명성을 얻으리오 汝年成一紀能解古今書學業須知博心源務復初治身要至篤立志愼毋踈在我非眞實何由得令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가을 국화 秋菊 인간 세상의 좋은 계절로는 가을이 제일이고천하의 이름난 향기로는 국화가 가장 낫네방 하나 띳집에 두 가지 즐거움을 겸하였으니이 늙은이의 신세 더는 근심이 없다네【가을 하늘이 막 개어 제철 맞은 국화가 향기를 내뿜었다. 먼지 한 점 없는 방 안에 우두커니 홀로 앉으니, 이 몸이 어지러운 세상 속에 떨어져 있는 줄 알지 못할 지경이었다.】 人間勝節最三秋天下名香菊是優一室茅茨兼二樂此翁身世更無憂【秋天初霽。時菊揚芳。一室無塵。塊然獨坐。不知此身落在紛埃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늦은 오후 日晏 눈 감고 아침 내내 꼿꼿이 앉아 있으니고요한 가운데 선천(先天)1)이 있음을 비로소 알겠네해가 창 밖에 높이 떠 발을 걷고 바라보니구름 가의 푸른 산 아득히 늘어서 있네 瞑目終朝坐兀然方知靜裏有先天日高窓外開簾看雲際靑山列百千 선천(先天) 우주의 본체와 만물의 본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북송의 소옹(邵雍)이 진단(陳摶)의 학문을 터득하여 《주역》을 설명하면서 복희(伏羲)의 역(易)을 선천, 문왕(文王)의 역을 후천(後天)이라 하였으며, 〈복희선천괘위도(伏羲先天卦位圖)〉를 만들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농사지을 시기에 소를 잃어 말을 팔아 소를 사들이고서 장난삼아 절구 한 수를 짓다 臨農失牛。賣馬買牛。戲成一絶。 젊은 시절의 간담(肝膽) 몹시도 어리석고 광망하니마구간의 발 빠른 명마53)처럼 사방에 뜻을 두었네오늘 너를 팔고 다시 송아지를 샀으니이제부터 곧장 농장에서 늙어가고자 하네 少年肝膽太愚狂櫪上風驃志四方今日賣渠還買犢從玆便欲老農庄 발 빠른 명마 원문은 '풍표(風驃)'로, 곧 '추풍표(追風驃)'의 준말이다. '추풍(追風)'은 '바람을 뒤쫓는다'는 뜻으로 명마를 의미하며, 옛날 준마(駿馬)의 이름이기도 하다. 두보의 시 〈도보귀행(徒步歸行)〉에, "처자가 산중에서 하늘 보고 통곡하고 있으니, 공의 마굿간에 있는 추풍표가 필요하외다.[妻子山中哭向天 須公櫪上追風驃]"라 한 대목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새벽 생각 曉思 원기(元氣) 흘러넘치고 이슬이 하늘을 적시니흰 구름 날다가 무거워서 바위 가에 기대 있네세상 사람들 아직 연정에 끌린 꿈54)에 매여 있으니오직 새벽닭만이 번갈아 울면서 새벽을 전하네두 번째이슬 기운 쌀쌀하고 천지는 텅 비었으니산천 드넓어 은은한 바람 일으키네누가 내 마음의 곡절을 알아줄까아득한 대해(大海) 동쪽에 홀로 서 있네 元氣淋漓露濕天白雲飛重倚巖邊世人尙緣牽情夢惟有晨鷄迭唱傳其二露氣凄凄天地空山川虛曠起微風何人識得吾心曲獨立茫茫大海東 연정에 끌린 꿈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꾸는 속된 꿈을 말한다. 당나라 온정균(溫庭筠)의 〈효선요(曉仙謠)〉에, "안개가 어지러운 속세의 수많은 집을 뒤덮으니 세상 사람들 아직도 연정에 이끌린 꿈꾸고 있네.[霧蓋狂塵億兆家 世人猶作牽情夢]"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광곡자(廣谷子)의 시에 차운하다【광곡은 종제 해영(海英)이다. ◎경술년(1670, 47세)】 次廣谷子韻【廣谷。卽從弟海英也。◎庚戌】 쓸쓸한 띳집 외딴 봉우리에 의지해 있으니언제나 장강(長江)과 상담(湘潭)에서 누운 용164) 일으킬까어젯밤엔 벽력치고 비 내렸는데봉호(蓬戶) 애써 밀치고서 긴 대나무 지팡이 짚었네 蕭然茅屋倚孤峯何日江湘起臥龍霹靂一聲前夜雨強排蓬戶曳長筇 장강(長江)과……용 '누운 용'의 원문은 '와룡(臥龍)'으로, 은거하고 있는 뛰어난 인재를 비유하는 말로 흔히 사용된다. 삼국 시대 촉한(蜀漢)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이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로 출사하기 전 남양(南陽) 융중(隆中)의 초가에서 은거하며 '와룡선생'으로 불린 데서 유래한 말이다. 그러나 '장강(長江)' 및 '상담(湘潭)'과 관련된 용 고사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장강과 관련해서는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에 한 무제(漢武帝)가 심양(潯陽)의 장강에 배를 띄우고서 교룡(蛟龍)을 쏘아 잡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또 상담은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무고를 당하여 쫓겨나 있던 곳이므로 유배되어 있는 이를 '상담의 와룡'에 비유하기도 한다. 예컨대, 남구만(南九萬)의 《약천집(藥泉集)》 〈진이사소(陳二事疏)【시월십구일(十月十九日)】〉에, "내치고 올려 줌에 일정한 기준이 없고 화와 복에 일정한 문이 없어서 천한 사람들이 높고 귀한 지위를 가리켜 마치 여관방의 품팔이꾼처럼 여기고, 먼 지방 사람들이 변방으로 귀양 오는 자를 마치 깊은 못에 누워 있는 용처럼 여긴다.[黜陟靡常 禍福無門 賤人指高位 有如逆旅之傭夫 遐荒視流竄 皆若湘潭之臥龍]"라 한 대목이 보인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