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축년 동면(東面) 유도창명회안(儒道彰明會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축년에 東面에서 작성된 儒道彰明會案. 東面의 儒道彰明會 회원들을 명단을 각 里별로 나열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懷甯齋 吾生寄在一枝栖。思到沁園語欲啼。漢北音書時鬱鬱。城東風雨日凄凄。關中自古稱王國。海內如今聽鼓鞞。相望天涯何處是。嗟吾衰未杖淸藜。長安東去賦春暮。貝郡南遷守歲寒。一別鰲西音斷絶。二年海北淚難乾。此間亭子懷君苦。何處江山得洒寬。世亂于今誰憫我。新詩未就倚空闌。往年浩㥘滄桑裏。漂泊東南天地間。憶弟玉川稍定郡。送兒方丈最深山。梅如結子滿枝好。燕似伴春故宅還舊。業眼前烏有盡此。身之外我無關。百年人事各歡悲。結髮相從許我師。德業文章驚此世。風流儒雅老今時蒼。蠅付驥一生願斤。鷃笑鵬萬里思獨。抱瑤琴千載下。世皆信子子無疑。白髮如今臥衡門。風雨連天萬姓村。只信人間當白日。不愁江上向黃昏。一生何幸親顔面。千里時從入夢魂。陽字旨深知己發。分明此外與誰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步小雅趙丈【性憙】寄示韻 白鵝山西矗矗峰。天荒今破碩人逢。栗里歡迎知共樂。藍田禮俗好相容。天姿落落三秋菊。高標亭亭栢丈松。海上何敢來逐臭。還添雅度許過從。高賢布置自安排。聲蹟藹然七郡來。庶見蒼生蘇蔀屋。也知畵手寫雲臺。春早梅花消息斷。秋深蘭佩晩香培。如今風雨東林下。莫使棟樑老草萊。落日看山倦騎驢。小奚隨後策空徐。一竿江畔漁郞逐。十日沙門老衲如。孔融座上三盃酒。公擇家中萬卷書。行藏也復多人識。苦羨山中賦遂初。人間名字等浮雲。鳥獸應知不可群。聲價何須左氏賦。增刪更效后山文。彾㣔半世雲泥隔。憔悴一生岐路分。忽忽窮愁今四十。流年如水坐無聞。分甘苦海是身微。陌上行塵飄忽飛。酪酊醉來心亂緖。登臨去看淚添衣。承顔有日尋常慕。開口無時安適歸。竝世須知多慰幸。德音願續莫相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泉齋記 秋城之東南一區山曰萬德。鶴其洞。吾先祖秋城公子萬年衣履之藏也。雲仍曾無居是洞者。中年鶴泉主人兄。自長田移寓於此。其始來也。愛其山。不野而隱境。不深而轉。土沃而衍。民朴而淳。取一蟹舍以寄身。粵明年。築一齋於舍之南。蓋欲以會賓朋接事務之廳事。而命名曰鶴泉。揭額焉。泉下友奇公筆也。旣而一年而二年。二年而三年。蒙孩漸長。則因爲隷業之所。以望其成就焉。一日翁謂承鶴曰。君其記我齋乎。我之苦心所望者。君亦知之。庶或因此。而開發其端耶。承鶴作而對曰。是則何敢竊有一事仰質者矣。余嘗讀書于夢漢閣。孰知鶴之爲洞。而泉在百武外於齋。無乃不相當乎。翁曰不然也。吾飮此泉。已近二十稔。雖曰吾泉。孰云不可。然其命號之意。不在是也。曰翁之心。我知之矣。在易曰鳴鶴在陰。又曰山下有泉曰蒙。其取諸此乎。然則洞之久在荒僻之隈。至今日而名始顯者。抑亦有待焉。翁之取號。取其名之相符。而寄吾意焉。洞之遇主使。吚唔之聲不絶。則非但爲主人之幸。而別爲鶴泉賀也。泉乎泉乎。彼涓涓者。不舍晝夜。盈科而後進。童子之學。亦猶是。而在於無間。斷耳須於吚唔之暇。從容邂逅。想像乎先祖之遺風。沈唫乎乃翁之命號。則善端必有油然而發。如泉之始達。句能不失。則其終也。如鶴之鳴陰。翁之蒙養之道得之矣。吾將拭目。而竢其效也。童子宜各勉焉。主人翁誰也。苟鶴之袒免兄。翁之年踰歐翁稱翁之年故稱翁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忠義齋記 錦山之多忠義。固天使之歟。若言往蹟。指不勝屈。而潘南朴氏。三世忠義。鬱而不彰久矣。其實蹟逸於兵燹。世人罕知。四尺之封。亦爲失傳。爲雲仍者。齎恨久矣。後承烘緖與諸族。志其先蹟之搜訪。得於各家之散出者。眉巖草廬。兩先生之筆。足以徵信。又得臨淮公碣銘。據此而尋墓。乃豎豊碑。又得松沙之筆。樹三世忠義碑於遺墟。築壇於其上。建齋于其右。以享春秋。列郡士林實左右之。始知賁然之地。山川增彩。迺曰逃召齋之於太宗。有子陵之契遇。賜第不受。擬栗齋之於端宗。有六臣之孤忠。投緩歸養。臨淮先生之從身不仕。與梅月秋江同歸。嗚呼。士之遭時不幸。獨行其志。獨其身而沒者。何限。惟公三世不食之報。愈久愈昌。其麗千百。顯晦其有時乎。一日。烘緖君訪不佞于寂寞之濱。徵其齋記。始以不文辭。竊念臨淮公當光廟兩丁間。身處草茅。秉野史之筆。發明吾先祖讓寧大君。被誣於奸臣。假名投疎。昭如日星。可徵百世。則於公之後事。百身相役可也。義難終辭。因記顚末以爲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鳴鶴齋記 潭陽郡治之東。未十里。里曰鶴洞。鞠氏世葬之阡在焉。鞠氏本麗季罔僕尙書公之后。入我朝。坐國制降定。擯于潭。累世墳墓多失傳。至鶴洞之阡。始爲守護。以其世則十餘代。年又幾百載矣。厥後子姓寔繁。號曰東西鞠皆共祖焉。墓儀齋室久未遑。爲雲仍之恨。近者。有宗之支者埰聲。治産積居。致累巨萬。慕先之誠。敦族之誼。人所稱道。不惜數萬財。築齋室于墓下。以新觀瞻。又付水田一千五百餘坪。以奉永久香火之計。鞠氏諸宗曰。此可以無憾矣。凡人所鮮行之事。不可以無記。命基柱來徵文于不侫。辭不獲已。迺與基柱言曰。埰聲奉先之道。可尙而知之。以當分職事。於斯人贊美。何爲必有聞風而興起者焉。善俗自生。尙書公之祖武。可以克修。鞠氏之門。其將庶幾乎。齋成之日。不待燕雀之賀。而爲是之賀耳。抑又有一說焉。扁曰鳴鶴。知其義而然歟。在易之中孚九二爻辭。善則千里之外應之者也。鞠氏之善。兆於此乎。拭目而竢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朴使相四首 林白湖【悌】滿紙皇華雲漢詞眼中猶對鳳鸞姿平呑怨水靈均壘直壓淸風吉甫詩千里夢想欹枕處百年勳業倚樓時洪鍾撞後羞鳴瓦抹月如吾敢自奇范老胸中數萬兵憶曾都下慣雄名長城有寄詩書將絶繳無勞劍戟鳴樽蟻屢開旗影轉海鯨難動陣雲平炎荒詎試鹽梅手未久虞庭乃載賡半夏南州苦爵蒸玉樓仙節憶陪登關河齊色雲初歛霄漢歸心鶴擬乘孤寺香燈淹病客一篇珠玉當淸氷投壺祭幕應無事借著從當運百勝抱膝楓湖歲月淹質頑仁義柰沈潛心存報國空彈鋏性僻看山不下簾男子行藏終有定雲林鍾鼎若爲兼誰人與我同襟抱共倒千觴也未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朴使相五首 白湖江寺幽樓嘆久淹惜無雷雨起溷潛溪風颯颯初飛磬山靄霏霏欲滿簾牢落壯心貧不屈寂寥身事病相兼巖僧夜夜懸燈宿一卷㮙伽聽不嫌按節江關今仲淹幕賓風流古陶潛知延撫陜懷長算惓鳥閒雲八卷簾南嶺北京歸夢共碧梧蒼竹雨聲兼欲生倘忝英雄話煮酒靑梅却不嫌寂寂誰憐我獨淹一林啼鳥玩幽潛自非珠履三千客曾入仙樓十二簾豪興轉隨詩興逸淸狂添得醉狂兼洞雲官樹今寥落枕上歸魂雨作嫌匡廬一榻歲將淹却欠坡翁友道潛碧樹晩風披短褐靑山微雨捲疏簾茶鐺琴匣生涯足虎略龍鞱事業兼自有丈夫方寸地許身知已更何嫌脩門抱玉幾時淹碌碌端宜山野潛靜聽水聲臨小榻厭看雲態下重簾儒冠坐誤流年急詞客傷時病渴兼倘借淸都紫霞液醉經千日豈無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六年 月 日光州牧考辛酉式成籍戶口帳內 西面柒石里山村住 第卅五統第二戶 將仕郞梁宅湖 年五十九癸亥 本濟州 父 學生德元 祖 學生建厦 曾祖 學生鳳遠 外祖 學生金君弼 本金海妻姜氏 歲四十四戊寅 籍晉州 父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行彌鎭水軍僉節制使德輝 祖 贈嘉善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斗東 曾祖 贈通政大夫工曹參議碩龍 外祖 學生魯斗善 本咸豊 率子 幼學聖翼 年二十二庚子賤口秩 婢愛正 年乙未 母私婢允化 私奴大男 迯婢卜今 年二十三己亥 奴卜述 年二十一辛丑 婢卜丹 年十四戊申 父私奴貴卜年五十五丁卯 母班婢 年五十二庚午等 戊午戶口相準者統主 金[着名]兼官[着押][潭陽府使之印][周俠改印]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7년 이태선(李泰譱) 시초방매명문(柴草放賣明文) 복본(複本) 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李泰譱 山場主畝長石里幼李泰譱[手決]證參幼梁敬昊[手決]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 3월에 유학(幼學) 이태선(李泰譱)이 누군가에게 무장(畝長) 상석촌(上石村) 뒤 저항이등(猪巷二嶝)에 있는 산장(山場)의 시초(柴草) 1,500묶음을 300량에 방매(放賣)하면서 작성한 명문(明文)의 복본 증삼(證參): 유(幼) 양경호(梁敬昊) 매매사유: 要用所致 추기: 此亦中舊文記一張付於都文故不得出給事 산경계: 南西李泰譱山東李治弘山北李德川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伍拾肆年 月 日光州牧考己酉式成籍戶口帳內 西面大枝山村住 第十七統第二戶 幼學梁宅興 年肆拾柒癸亥 本濟州 父 學生進泰 祖 學生建厦 曾祖 學生鳳遠 外祖 學生金君弼本金海 妻姜氏 年參拾貳戊寅 籍晉州 父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將行彌鎭水軍僉節制使德輝 祖 贈嘉善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斗東曾祖 贈通政大夫工曹參議碩龍 外祖 學生魯斗善 本咸豊賤口秩 婢愛正 年七十五乙未 母私婢允化 父私奴大男 迯居南平等 丙午戶口相準 印統主 李[着名]牧使[着押][光州牧使之印][周俠改印]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양택호(梁宅湖)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 梁宅湖 兼官[着押]統主金[手決] 印 1顆周挾改印 1顆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1년 광주목에서 양택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01년(순조 1) 광주목에서 양택호(梁宅湖)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호주(戶主)의 정보 및 그의 사조(四祖)와 가족정보, 소유노비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6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1년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97년 오충사(五忠祠) 임원록(任員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五忠祠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97년 3월 이후 오충사(五忠祠)에서 작성한 임원록(任員錄) 오충사(五忠祠) 임원(任員)인 원장(院長), 원사(院司), 장의(掌議), 직월(直月)의 성명·본관·임명일자·주소 등을 기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2004년 제관록(祭官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2004년에 祭官 10명의 명단을 작성한 祭官錄.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執禮, 祝官 등의 명단을 기록함 *고문서 ID 23 主簿公別廟祭官錄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