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림 속 꺾인 대나무 畵頭折竹 고죽국의 자손으로 태어나고 또 태어나맑은 바람 곧은 절개 각기 명성 전하네수양산에서 굶어 죽은 두 사람358) 백골 되어상산에서 참수당한 안고경359)이 되었네 孤竹兒孫生復生淸風勁節各流名首陽二子爲枯骨頭絶常山作杲卿 수양산……사람 백이와 숙제를 가리킨다. 고죽군(孤竹君)의 아들인 백이와 숙제가 주나라의 곡식을 먹을 수 없다며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굶어 죽었다. 《史記 伯夷列傳》 상산의 안고경 당나라의 상산 태수(常山太守) 안고경(顔杲卿)을 가리킨다. 당 현종(唐玄宗) 때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자 불리한 상황 속에서도 6일 동안 밤낮으로 격전을 벌이다가 마침내는 식량과 화살이 떨어져 성이 함락되면서 포로로 붙잡혔는데, 갖은 악형(惡刑)을 받으면서도 끝까지 굴복하지 않고서 혀가 끊어질 때까지 준열하게 꾸짖다가 참수되어 대로에 효시되었다. 《新唐書 卷192 顔杲卿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칠석 2수 七夕【二首】 은하수 하늘 가운데를 가로질러 흐르니견우와 직녀 헤어져 만고토록 시름하네해마다 가을바람은 끝없이 불어오니벽오동 가지에 또 가을 알리는구나장생전292)에 웃음 끊긴 지 천년 뒤에오작교를 몇 번 건넜던가정위도 동해를 메우지 못하니293)명황이 어찌 봉래산에 도착할 수 있으랴294) 銀河橫絶半天流牛女平分萬古愁歲歲金風吹不盡碧梧枝上又驚秋長生笑罷千年後烏鵲河橋渡幾回精衛未塡東海水明皇安得到蓬萊 장생전(長生殿) 당나라 화청궁(華清宮)의 전각 이름으로, 당 현종(唐玄宗)과 양 귀비(楊貴妃)가 7월 7일에 만난 장소이다. 당나라 백거이의 〈장한가(長恨歌)〉에 "칠월 칠석 장한전에서 한밤중, 아무도 없이 둘이서만 속살거릴 때, 하늘에선 비익조 되고, 땅에선 연리지 되자셨죠.[七月七日長生殿 夜半無人私語時 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라고 하였다. 정위도……못하니 실현 불가능한 일을 의미힌다. 정위(精衛)는 신화에 나오는 물새로, 염제씨(炎帝氏)의 작은 딸인 여와(女娃)가 동해에 놀다가 빠져 죽은 화신이라고 전해진다. 이 새는 원한이 사무쳐 서산(西山)의 나무와 돌을 물어다 동해를 메운다고 한다. 《山海經 北山經》 명황이……있으랴 당 현종이 양귀비를 만날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명황은 시호가 지도대성대명효황제(至道大聖大明孝皇帝)인 당 현종을 가리킨다. 안록산(安祿山)의 난으로 몽진하는 도중에 양귀비가 죽고 말았는데, 당 현종이 도성으로 돌아온 뒤 도사를 시켜 양귀비의 영혼을 찾게 하여, 신선이 사는 봉래산(蓬萊山)에서 양귀비를 찾았다고 한다. 《古文眞寶 前集 卷9 長恨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삼각산 시에 차운하다 次三角韻 이곳은 원래 하늘의 한 귀퉁이요남쪽 누각은 또 성 남쪽의 귀퉁이라내가 날마다 와서 이 누각에 오르건만보고 보아도 어찌 삼각산 볼 수 있으랴 此地元來天一角南樓又是城南角我來日日登玆樓望望那能見三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사슴뿔을 머리에 인 기생을 놀리다 戲妓戴鹿角 범에게 발톱 있고 사슴에게 뿔 있으니뿔난 놈 발톱 없고 발톱 나면 뿔 없네어찌하여 뿔도 발톱도 없는 사람에게머리 위에 지금 뿔 하나 돋아났을꼬 虎有爪兮鹿有角角者無爪爪不角如何無角無爪人頭上今生一介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參奉錫胤再訪 窮廬生色重開筵。泛泛黃花酒共傳。風月多情同此夜。江山有約更何年。待如草率儂無禮。說盡衿期友最賢。千里熲然勞夢想。茝溪流水繞堂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尹季仁。歸九峯山中 君來講道我從容。不覺寒牕炳燭紅。歲華荏苒三冬暮。時象寒威九野同。多夜話心明月下。數堠促駕九峯中。歌闋驪駒還有語。信如季路是豪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公三【恒植】 葭露懷想。歲寒益切。仰惟經體淸健。達煥病伏窮山。杜門塞竇而已。年前兄以先師眞本事。枉駕鄙家。勤意欽感。但世元迂路逶迤。末梢電接。且臨別出言事甚凌。遽竟失好。便至今悢悢。而鄙邊生徒。將擬摸本。可感其緇衣同情。玆作拜床之行。畵手動止。敎導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洪文彦述懷 夙抱詩書老此身。年來計畫在安貧。靑驢背上斜陽客。黃菊籬邊訪主人。迎月三更生竹影。聽琴一曲坐松根。回思同硏曾何日。荏苒光陰已十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尹亨三【滋鉉】 月前。松石奉別。殆夢境若也。隻蹏相訊。亦無便梯。以是悵然者久矣。尊函先至。較其勤慢。不啻若雲泥。何悚感之深也。謹詢菊令。棣體何若。而味道自得。粹盎收效。如口納滋味。百節皆肥者樣耶。爲之欽仰不已。弟昨參二同會末。而意謂尊駕先到矣。竟失所圖。悵何可斗。李相敦聲討。僉議脗合。良覺善善惡惡。天下同情故也。大抵此擧。兄當倡先。而不必違約。然每以姑息爲意。風聞如是。未知然否。想是傳者之訛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亨三 曩也文恒便。惠墨讀之。怳若烏石不遐。海桑之說。聞雖熟而見未曾數前㥘塵。無乃是耶。年來安土重遷。寔出於庸愚拙計。而終犯聖人擇不處仁之戒。咎實在我。目今數三家。家眷各分四散。中心火熱。亂離中事。本如是耶。又未知其地理之如何。人和之如何。是所關慮處也然吉凶禍福榮枯盛衰終不可怨天尤人。而只可反己。亦可歸之於命而已。仰惟履玆。味道啓處。棣樂鄭重。弟經燹餘魂。尙難收斂。悶悶。庭菊數本。幸見棄於人而猶存。可與共晩年趣味。而一本分送。聊符宿年頫敎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亨三 轉眄之頃。歲將窮矣。追念嚮枉。感感無比。伏惟道養有相。棣度增莊。噫。此叔季。萬丈醜塵。揚于宇宙之間。而獨有九節。崔嵬揷雲。不使一點汚穢。往來其間。人謂山高洞邃致然。余曰否否以。其碩人邁軸。而做得此泰平好氣像也。爲之仰賀萬千。弟狀。破牕頹壁。上雨旁風。日受其損。豈眞屋子能然。自顧迂疎。學業日荒世。念日攻。致此蕭散。每中夜起坐。耿耿不寐。無以定懷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洪允心【承源】 懸戀政勤手命。感何云喩。盈幅纚纚。無非腔血中憤發出來。令人動盪衷情。而尤有感慨於陽九蔑貞之日也。嗚呼。樑摧棟折。無復可倣仰。而矧又近遠知舊。長弟棄逝。亦將疇依也。俯仰蹴躑。只待自盡而已。承審經候淸裕。日與僉彦硏經究義。尤有自得意味。臨風健羨倍百。達病情日深。眩暈轉劇。雖尋常文字。未得看過。自顧衰敗。理合如是。而猶能哺啜。苟延殘縷。爲叔世一賤格耳。尊先丈文字。非止素拙於著述。加之賤病如右。未敢運意。愧且悚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아버지의 시에 차운하다 嚴君次韻 재루에서 비 개인 뒤 술 단지를 여니 齋樓雨後一樽開뜬 산 기운이 푸른 괴목을 에워싸네 正是浮嵐捲翠槐비갠 풍경 눈에 들어오니 끊임없이 읊조리고 霽景入眸吟不盡거문고 타며 천 잔 술 기울기에 딱 알맞네 鳴琴端合倒千杯 齋樓雨後一樽開, 正是浮嵐捲翠槐.霽景入眸吟不盡, 鳴琴端合倒千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季膺【永福】 危病垂死。與世相隔。蓋已八稔矣。樑摧之痛。亡國之恨。何時可洩。間從尊伯氏往覆中。諦識安候。而克未各幅存訊。似涉太簡而欠敬。然果是病未能也。仰惟履玆。棣體葆重。令胤課讀。年來篤實。躍躍向上耶。守先王之法。師先聖之言。杜門善身。敎誨子姪。尤豈非今日當務耶。遠切仰祝。弟病情如右。不必煩溷。而但所恨者。未克入貴庄。展拜影堂。只切羹墻之慕而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朴進如 咫尺燕越。書面之隔。動至幾旬朔。同衰暮貽阻絶。尤非此時可堪。不審暮者。體宇動止端重。時加溫知。優優自得。不以外至閃倐。足以動其中。而不害其眞樂耶。夫存遏衛闢。固士子之守死硬着。而所不能自已者也。至如達煥之病淹垂死者。未足與議於樹風立紀之末也。歎歎奈何。慕賢契。今始修案。尊啣。亦依敎參錄。而修約日字。則以春三旬六。秋九旬六。爲準定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洪士珍【承渙】 峽居吟病。兼以離索。止誦多病故人疎之句而已。適承崇椷。感浣罔喩。拜審侍候貞吉。實符願聞。達宿疾復肆。僅守虛殼而已。書末頫詢謹悉。聖賢千言萬語。無精粗巨細。若眞看得破。則內外本末。一以貫之。何必求視聽於聾盲哉。尊師遺集梓役。近將施設耶。鄙先考祭文。或有見存於本稿耶。此處只有謄書。而遺却本文。故未得送呈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士立 朋知泰平。眞新年第一佳語也。承書慰喜。謹審重省候節寧謐。而矧又瓦喜。烏得不賀。工夫之進修。在我而不在人。亦爲己而非爲人。則豈可因循退托。抛棄好歲月耶。朱子臨簀授門人曰。天地之所以生萬物。聖人之所以應萬事。直而已。明日又請。則曰道理只如此。但須刻苦堅固。此豈非後學終身佩服者乎。鄙狀衰病。一倍轉劇。措躬無術。良憐良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殷夫【淳弼】 一封珍函。可敵百朋。承審侍奉安衛。實副仰禱。達年來病殼。澌敗日劇。目前事百不記一。安敢以耄荒之言。動煩聽聞耶。但學者事。不必外求。而求諸心。則萬理咸備。始以致曲而盡其誠意。則業不期進而自進矣。然其樹立之難易遲速。只在執心之緊慢。用工之勤惰而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淳宗 去蜡月惠函。至今慰感。敎喩。一周天下。大賢之門。一洗心塵。講明吾道。如掃風雲。白日突出者。其志壯矣。然蓋吾道。決非一超可入。故聖賢敎人爲學。循循有序。始爲之小學而勉其收心養性。因其成功而及之大學。則先致知以至誠意正心修身。其等有不可躐者。故程朱每言積累漸次底工夫。此可深爲佩服。若其就正之日。將吾所讀經書傳記。證其所得。訂其差謬。則甚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형문을 건너 송별하다〉 시에 차운하다 次渡荊門送別韻 천지에 집 없는 나그네변방에서 검 하나 차고 떠도네뜬구름은 모두 북쪽으로 가고강물은 절로 동쪽으로 흘러가네꽃 떨어지는 새벽에 봄 생각나고달 밝은 누각 아래에서 고향 그리워하네꿈속 일인 듯 아득하니한강에서 배 타고 피리 불었었지 天地無家客關河一釰遊浮雲俱北去逝水自東流春思落花曉鄕心明月樓悠悠夢中事笙笛漢江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