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愚記 物固有冥頑無覺者。石是己。人固有蠢昧無知者。愚是己。以物之冥頑。遇人之蠢昧。不知石者愚乎。愚者石乎。石亦不覺。愚亦不知。奚知覺之不相謀而不相須也。曰是不難知也。石之爲物也。非堅頑無以自守。築場者必取焉。以之作宮室營城郭無不與焉。石之應人亦勞矣。然風霜雖千百劫於前。不爲之磨泐。歲月益悠久於後。不爲之加損。此石之所以爲物而自守也。今吾子以不愚之愚玄聰絶智。將以寓石之愚。是石之幸。而非吾子之幸。吾子之志。亦可以推矣。不曰捨世之溷淆紛錯。而寧比於石之無知無覺之爲愈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致洪【琦鉉】 老而好學。古人有之。而今於吾兄。迹可見矣。何以知其好學。觀於擇師而敎子。則可槩也。人之敎子。不知擇師而敎人之愛子。皆以離膝爲憂。想兄。則無是二者。苟非好學之篤。其如是耶。令允亦以父兄之志爲志。從師爲樂。而不知離膝之憂。有志者事竟成。其進何可量耶。欽艶無已。謹詢秋高。體候崇謐。皓首劬書。接續眞膄。想益津津。尤不勝懇仰。弟碌碌昨日人耳。秋風亭上。諸賢告歸。自不覺懷緖作惡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松谷李丈【之茂】 海山騰異氣。稟性溫而嚴。幹家服勤儉。察事析鹿纎。善門湊吉慶。壽考康寧兼。遽屬龍蛇歲。四隣驚凶音。榠樹春日暮。南極夜光沈。巷無居人矣。松雲寂寞林。我公卽先友。陪從何處尋。梁山昔日淚。爲公灑不禁。餘生誰毗倚。賢胤共䂓箴。餘蔭賀群玉。古壁歎遺琴。永閟黃泉日。與言哀懷深。雖及素車哭。愧無綿酒斟。丹旐飄前路。佳城是蝦岑。鵲川灘聲咽。麝谷愁雲陰。嗚呼痛矣哉。聊述不諼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述。鄭日新送姜子明詩餘意。送朴生恒鉉。 送君何以贈。爲折臘梅校。前路多風雪。春心愼莫虧。愛玩深有味。此是新翁詩。冠山送君路。正値臘梅時。詩與情景會。賡誦一格奇。紛紛風雪裏。險路多百歧。到此方旋斡。生理自存持。佇待消息好。開花漢水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竹圃梁文 昨臘拜床第。膝癯氣猶溫。汝穎賢星在。襄陽耆舊存。孝友著鄕里。紹述古家門。我公卽先友。同庚情又敦。從容琴碁樂。磊落書劒論。遽抱梁山痛。惟公老林樊。邈然靡逮恨。於此意源源。誰知龍蛇歲。遽然哭梁園。龍空烟雲黑。月落滄波昏。餘生今日淚。悽愴欲斷魂。在世稱完福。克家貽賢孫。從此幽明隔。緘辭終不諼。松下集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顯周 猥承傾盖。曾所不圖。遽爾奉別。嶺湖落落。一副續音。浩不可期。豈謂心畵華幅。難關千里。荐貢敞室哉。所謂人情。所字山海。失其險者此也。仰認傾注。衷情得曷任。因審秋高。節宣有相。體候衛重。尤副遠懷。願聞之至。生年歲以來。世劫也。家憂也。如入萬頃無涯之津。百般勞惱。極其辛酸。而己屬過境。不如都付閣。說令允上舍。少年蜚英。已庸欽艶。而年。來所就。想益崇深。爲之馳仰不已。生病軀殘喘。僅僅友存於千生萬受之中。而舊業殘課。不遑自恤。區區悲悵。遠書難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梁文五 向者。陰山之會。未罄底蘊。餘悵在心。俾也可忘伏詢伊來。體候萬休。凡百酬應之餘。溫習舊業。頗有得力否。子舍所苦。近作何狀。大抵爲學關鍵。切不可悠悠泛泛。平做將去。須別做辛苦。不快活底工夫。久之須自有得力處。子舍資質敏悟。甚不易得。而近來因其所苦。未能猛着精彩。是爲所欠。觀其身氣。近漸克實。稍加提督如何。家兒。讀大學已畢。欲看大學或問。而無其書奈何。或可求而與之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文五 前疏未復。又且承惠。感愧倂臻。頫審秋淸。省歡百福。山陽歸來。想無餘憊。尤副所望。家兒趁時歸巢。以滯症見苦。次兒又以咽痛。彌留。幷爲可慮也。日新兄。與嶠南諸長德。有講聚之約於鳳城之華嚴寺。來十七日。將爲發行。而鄙中諸兄。多以聯鞭爲計。吾兄亦有意耶。然則以其日早發。枉臨鄙中否。餘在奉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文五 見春已久。尙稽握穩。悵黯彌至。昨便得承先施惠問。感浣慰沃。稍紓新年之懸想也。謹詢春意向煖。侍經體候。膺納蔓祉。溯仰不任。弟去年人而已。而所得又是一女孫。奈造翁之不厚我何。但産婦不告病幸也。家兒尙關晉候。以其育身恙而然也。鳳瑞方伯。强於貴齋。想昕夕相從。風味津津在此。雖有少一之歎。在兄豈無得明之喜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李達之 悲風寒月夜。悽望漢陽洲。禍福由人召。剃緇爲國羞。庭柯聞末吉。夜燭講春秋。何日淸區宇。琴書共一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曺道三 大運迫朝夕。碧山合隱居。洞深隣水石。晝靜玩鳶魚。黠虜焉能浼。良箴祗信書。歲寒誰共守。松籟灑衿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從斗三 令從叔喪事。此何事。病患雖云沉痼。體字本自壯實。素養又有定力。豈料今秋遽至於斯境。恨未能秋抄躬晉。穩攄平生情蘊耳。彼蒼者天。何不慦遺此一耆舊於吾門耶。自歎吾門之祚薄而已。復何怨尤。理當以承計日。匍匐奔慰。而身家不健。尙爾未遂。情禮都虧。悲愧萬萬。示喩滅燭云云。可認其出於衷情。說道者。以父兄兼師傅。考質焉。依靠焉。則安得不如是乎。雖然。知其擔負之難。而尤用十分惕勵。自力救拔。方在此時逡循。家風繼聲趾美。非斗三伊誰。願勉力孜孜。以免吾門之無人焉。遙遙慰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景純【在德】 室邇人遐。懸戀方切。謂表惠翰入手。始識二堅不媚。近始見和。驚喜俱至。大抵左右姿稟純美。甚合學問田地。如加百千之功。慥慥不掇。則前頭步趍。曷可量哉。與家兒俱是同隊人。則幸須扶之翼之。至於究竟所就。亦不失爲同隊人。如何。可惜光陰。枉費於呻吟中。想不少矣。惟早早收拾精神。與家兒昕夕連丌。是企耳。餘非鈍卿可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仁和【軫業】 睠彼砥湖。我思方勒。一角亦珍緘。翩然來至。披玩慰浣。曷勝云喩。但推借過當何如。是其妄耶。平日不妄語。須是立誠居業之大要。而學者工夫。下手依據之方。捨是奚以哉。願座右。一切刋去此等枝葉。而於日間大小大事。却只將做去這裏如何。竊覸左右。資稟淳眞。衰世罕見。令季儀範。又且溫良。令人可愛。善門洪福。仰認其未艾也。景純。可與共學。而同堂佔畢。其麗澤之滋。玉石之攻。想不淺淺矣。相觀同勗。以副期待之意。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차운한 시를 부기하다 권응인 附次韻 權應寅 비 갠 산의 모습 싱그럽고푸른 이내 산허리에 피어오르네절로 새로운 그림 펼쳐지니어떻게 다시 묘사할 수 있으랴 山顔霽色新暖翠蒸巖腹自有展新圖何由更描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심약이 운을 부르다 심약은 누구의 호인지 알지 못하겠다. 審藥呼韻【審藥未知誰號。】 마음껏 술 마시며 미친 듯 노래한 삼십 년부질없이 책과 검 들고 풍진 속에 시달렸네먼 변방에서 우연히 마음 아는 벗 만났으니양관에 벗이 없다 말하지 마오206) 縱酒狂歌三十春空將書釰困風塵天涯邂逅知心友莫道陽關無故人 양관에……마오 당나라 왕유(王維)의 〈원이사 안서를 보내다[送元二使安西]〉 시에 "그대에게 다시 한잔 술 권하나니, 서쪽으로 양관을 나서면 벗이 없으리[勸君更盡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4월 1일 四月一日 병으로 띳집에 누워 밖에 나가지 못하고문 닫으니 비바람은 산마루에 가득하네어떤 사람이 와서 봄이 간 곳 물으니이미 복숭아꽃 떨어져 물결 따라 흘러갔다오207) 病臥茅堂不出遊閉門風雨滿山頭有人來問春歸處已放桃花逐水流 이미……흘러갔다오 봄이 가버린 것을 도화원(桃花源) 고사에 빗댄 것이다. 동진(東晉) 때 무릉(武陵)의 한 어부가 시내를 따라 한없이 올라가다가 문득 복사꽃이 만발한 선경(仙境)을 만났다. 어부가 복사꽃을 따라 들어가서 진(秦)나라 때 난리를 피해 들어와 대대로 살고 있던 사람들을 만나 대접을 받고 수일 후에 배를 얻어 타고 되돌아왔는데, 그 후로는 다시 그 도화림(桃花林)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陶淵明集 卷5 桃花源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백탑사 누각256)에 오르다 이하 42수는 연행 때 지은 것이다.257) 登白塔寺樓【以下四十二首燕行時作】 높은 열두 난간258) 공중에 기대있으니누각에 올라 동서남북 바라보노라나그네 길 삼천 리 하늘로 이어지고고향은 만겹 구름 저편에 있누나 十二危欄倚半空登臨南北更西東天連客路三千里雲隔鄕山一萬重 백탑사 누각 백탑사(白塔寺)는 요양성(遼陽城)에 있는 절로, 옛 이름은 광우사(廣祐寺)이다. 백탑사에 망경루(望京樓)라는 누각이 있다. 이하……것이다 정문부는 1610년(광해군2)에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북경에 다녀왔다. 열두 난간 굽이가 많은 거대한 누각을 형용하는 말로 흔히 사용된다. 송나라 장선(張先)의 〈접련화(蝶戀花)〉 시에 "누각 위 동풍에 봄이 얕지 않으니, 열두 난간에 진종일 주렴이 걷혔어라.[樓上東風春不淺, 十二闌干, 盡日珠簾捲.]"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