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海史安進士登聞一亭 可是黃梅雨霽初。感君高躅入吾廬。窮耽詩境思猶苦。行到溪山興復餘。一杖尙懸謀醉酒。百城未及且看書。農歌互答豊年像。數畝生涯正不虛。征衣挽得日將西。坐見風簾落燕泥留。待東山初月上。不愁前路暮雲低。碧梧葉大傾空砌。白鳥群飛隔小溪。晩向窮途多磽确。莫辭此地共提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知名 維患己不知人。不患人不知己。莫我知之人。吾未見其內美。名之所歸。謗之所生。所以哲人。潛夫其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好惡 見善而好。君子能之。無惡而惡。少人所爲。維好維惡。君子是則。福可以進。禍可以息。對彼渥丹。其中難諶。無是無非。平正我心。心與身謀。自持如愚。罔或敢忘。庶幾免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難 曰寡好不遵。道燥招敗。寬無違。察未形。審其幾。宜知懲。莫害能。孜孜焉。蓋以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具瞻汝 歲初賁枉。幸得半日傾倒。亦可以少紓前日艶仰之懷。今且一幅德音。獲之不意。篆感萬萬。但示喩。以遊從講討之意。縷縷見屬。仰諗至意。自幸其托契有在也。切念兄天姿端慤。學識明敏。則所以取友而輔仁者。擇之宜亦審矣。今乃有何所取於賤陋者。旣枉而又書之。縷縷謙屈。以至於此也。愧懼增劇。講閣。定于會話里。而三月講會。則會于新閣爲議耳。澹對軒講會。亦欲往參否。新兄。與此間朋友。同往爲約。其時聯鞭爲好耳。餘在講會日拜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 文彥奎 嗚乎哀哉。死生有命。脩短有數。在世稱賢。上天作仙。年未五旬。路出九原。空樑月落。古床琴斷。世德著於士林。風韻懸於鄕坊。泥上鴻爪。形獨歸於地下。草頭麝香。名猶存於人間。白雲悠悠。空寄千載之魂。靑山渺渺。只見一杯之封。含淚題挽。九原難作。執紼送訣。餘生誰仰。山嚬水咽。萬事一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李枝茂 七松松下子。四十五年秋。朝耕董召南。夜讀歐陽修。千金置田宅。三玉守箕裘。松下問童子。落月滿空洲。玉京添鶴駕。陽界減花籌。回憶十年契。茫若先天遊。詠亭文酒歇。瑞石杖屨休。幽明千古隔。臨挽淚如流。仙鄕何處在。咫尺卽瀛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崔濟立 千里聞風景仰久。嶺雲湖月兩傷神。如今風雨乾坤暗。不見當時抱膝人。三山歸路渡龍江。十日綾城酒滿缸。主人誰復如公者。松下琴書晝掩窓。聽話溫溫難出口。只看和氣襲人裾。脊樑誰識梗於鐵。擔負如山不少趄。枕漱東過松石奇。畵中山水共傾巵。雲空日落春花老。黯然金陵傷別時。意外凶音何處至。西風千里但含愁。詠亭淸晝佳山夜。堪嘆新翁無與儔。自歎柔弱策余步。此是前秋告訣書。幽明一語千金重。佩服平生抑有餘。松下集附錄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畝不須問瘠肥。恨無日月舊時輝。靑城五國臣民恥。安得淸河一洗歸。 新詩入眼露眞心。知有芳隣隱在林。超脫塵紛吟弄意。可欽吾友用工深。海氛雜錯極天盈。鼓發蚊䖟晝夜鳴。周宣不作鄒賢沒。空慮蒼生悵倚楹。【周宣王攘夷狄。孟子闢異端。】大明文物好乾坤。淪入腥羶不守魂。運會循環君識否。盛衰治亂互相根。天地心兮復有陽。大和將見育群芳。丈夫力學當需用。師聖友賢務直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贈李幼常【侙】 病枕支離守洞天。故人見訪渡重川。鬂毛颯颯凄相對。馬島風霜問幾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蘭山金大疋。【永柱】貽不佞以一絶詩。因責之以和。强拙而吟。 遯世固窮老竹林。外夷亂華水如深。今來邂逅宜相勖。願使常存理義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四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雲齋【永祚】遊 江天秋欲暮。正値別離時。幾切平生慕。幸同數日追。豈贈驛梅信。更題甘菊詩。春秋今夜讀。此會一何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朴生源默 非誠皆妄僞。孤根亦難任。坑塹當衽席。淵氷卽几衾。兢兢能若此。何難秀穹林。所懷只在此。送去蒼葭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大原寺 行路再尋天鳳山。猶存古寺白雲閒。十年前日同三友。一榻今宵對兩顔。曇樹雨過花欲老。層巒霧罷王如刪。招提信宿仙緣否。堪笑世情夢裏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枕漱亭韻 移營爽塏更離塵。亭與賢孫共百春。泉石中間高尙志。江湖遠處卧閒身。琴書世世家聲在。臺榭嵬嵬古貌新。枕漱生平無限意。羹墻於此舊名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舜煥 竊嘗聞。羅山宗氏。家世儒業。不墜先德。向風欽慕。爲日久矣。早擬一者躬造。以獲其觀感之萬一。而迄今未能者。寧不爲恨乎。不謂去冬尊駕辱臨。見其白首風儀。磊落不群。昔日之仰止羅山。復高一層矣。獻發未幾日。子舍又且賁枉。兼致翰命。仍審靜養德候。履元崇康。實愜遠祝。國禎年進業退。無足仰聞。令允穩藉愷悌。樹立家計。豈可憂哉。慰賀慰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丈乃善【佑鍾】 每因新兄。得聞吾丈老成敦厚之德。所以平日私心。常切瞻慕。而但窮居落落。百故鞅掌。尋常日用。頓無開睫暇隙。是以。未嘗一日。拜及於門屛之下。情私愧懼。謂當何如。伏惟陽月。靜養百福。國禎一向憒憒。無路自拔。只切使我如此。不如無生之歎也。然區區一念。不欲遽棄而從今依賴之方。惟望吾丈之不遐。如何如何。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