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日與諸賢留約三山齋。望月前日遇雪未行。贐此遣愁 經年留約上元遊。會事天公雪壓頭。人跡山深難可到。驢蹄泥滑不肯收。遙憐今夜千峰月。那看明朝百里洲。爲問三山松老友。寒窓誰與讀春秋。靑皐集卷之一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問天下事無窮。而有善變者。有不善變者。故易曰。隨時變易以從道。所貴乎變易者。以其從道也。禮之常變。詩之正變。皆有從道之義歟。君子之三變。何事也。齊魯之一變何謂也。揖遜變爲征伐。井田變爲阡陌。其於道。有從違之。可言歟。不必遠引旁證。只就時事言之。財用昔豊而今嗇。兵備昔强而今弱。人材昔多而今少。如欲變嗇爲豊。變弱爲强。變少爲多。則其道何從。願聞之。 對凡天下萬物之理。窮則變。變則通。不過曰當然而然。所謂當然者。因時制宜。隨時應用。而不失於大中至正之道而已。是以夫子曰。殷因於夏禮。所損益可知。周因於殷禮。所損益可知。如或繼周者。雖百世可知也。蓋忠質文。三者之損益。是變通之大者。至於三綱五常。則天敍天秩。亘萬世不可變易者。故三代。以是因而損之。因而益之。以爲百王不易之法。而治隆於上。俗美於下。有非後世之所能及也。三代以降。時君世主。輒以爲古今異宜。不遵先王之典章。徒尙功利之說。所謂變而通之者。架漏牽補。雖或致少康。能不畔道者鮮矣。何以謂之。理之順者。人情之所趨也。人情之不順者。理之反常也。是以必欲有爲於天下國家者。莫先於道。而所謂道者。應天順人。而亦不過乎日用事物當行之路。而道之所貴者。時而已。不識時宜而欲有爲者。鮮不葛藤而狼貝也。故愚嘗觀易之六十四卦。備言變通之理。而其革舊鼎新之道。尤於澤火一卦。詳言之。革之所以受乎鼎者。可知己。鼎之爲物也久。則在汚。汚而不滌。則汚者愈汚。故聖人之序卦也。必以革之卦。而承乎鼎之後。以寓變通之義焉。信乎天下之事。惟變而通之之爲貴耳。今以其爻而觀之。曰革言。曰改命。曰豹變大人虎變等語。莫非因時之謂。興化推行之道。而其必也有其才有其位然後。方可以赫然起一代之精神。灑然新一世之制作。而其於窮變會通之方盡矣。初之用牛。二之巳日。三之革言。或無其才焉。或無其位焉。三則屬。二則否。初則不可以有位焉。而至於四之陽剛。有大臣之才者也。才足矣。位得矣。又得當革之時。而因以革之。則此所以大變通大振作。得以去故而維新。反亂而爲治也。愚嘗觀其象玩其辭。添以前古。理亂而懲之。凡天下治與不治。莫不由此。而久而窮。窮而變。自非豊亨豫火之時。長治久安之候。得無一事可變通者乎。然而有其才無其位。則違於變通之宜。有其位無其才。則昧於變通之機。自秦以下。蓋無足觀。而愚之慨然。於斯宿矣。乃今執事先生之問。首以變通爲目。噫。是愚生盡言之日。豈敢欲三緘而不磬一得也。四之改命。五之虎變。卽今日其會也。愚慶國祚之無疆也。竊謂變通之時義。大矣哉。蓋物極則窮。而物不可以終窮。故天道有變通之妙焉。法久則弊。而弊不以不更。故人事有變通之機焉。大傳所云。良以此也。然而傾否回秦。乃天道之自然。故機緘焉不忒。革弊更化。在人事之有爲。故得失焉相參。究諸天地。參以人事。則凡天道人事之有異者。從可推知。是以人事旣得。則衰者更張。亂者復治。而有合於陽復之機焉。人事旣失。則衰者愈衰。而有乖於反泰之理矣。當乎變通之時。而求乎變通之宜者。可不修在人之事乎。雖然徒知其變通。而不度其時措之宜。只務乎變通。而不行之以純實之心。則是可謂不善變矣。其不至於紛亂錯戾。而終於蠱壞者。幾希矣。必須酌其時勢之便否。而盡其誠實之功用然後。其於變之之道得矣。故易之言變者。必以時中爲貴。則斯可謂善變者矣。大要不外乎誠之一字。則易之隨時變易者皆。此之謂也。至於禮之常變。自有節文儀則。何莫非道也。至於詩之正。固是道也。而變者。豈可盡謂之合於道乎。觀於創善懲惡之論。可以知矣。君子之三變云者。意必以容貌動止進退之節爲言。而其於變易之變。似不當矣。齊行覇道。魯行王道。而王覇之分。如金鐵之純駁。則此夫子之所以發斯言也。至若揖遜變爲征伐。是變易之大。而合乎隨時得中之光。井田變爲阡陌。雖是富國之術。而實違於用天因地之道。故程子以謂揖遜征伐。其揆一也者。以其所遇之時不同也。孟子以闢草萊任土地。謂之服刑者。以其壞先王之法也。然則變易以從道者。曷不順天理人情。而謂之道乎。噫。井田一廢。豪猾兼竝阡陌之弊。至今未革。生民之塗炭極矣。先儒之慨然。有志於復古。不在是耶。惟我東方。地近扶桑。稱文明之國。列聖繼承。明良相佐。治敎遠法三代。超乎漢唐。八方萬民。興於敎化。奈何。淳風日渝。世級水下。庶事漸至於氷泮。衆瘼日就於鱗生。苟欲條條而陳之。日亦不足矣。且停汲古之說。試掉談今之說。可乎。蓋嘗論治不長盛。必有衰亂之日。法不久行。必有弊生之日。董子曰。琴瑟不調之甚者。必更張之。乃可鼓也。然則今日之更張。固不可已也。苟能振而作之。修而補之。克遵先王之典章。以遡三代之治敎。則是固七日來復之幾。千秋必返之常。回漓爲淳。挽衰爲盛。豈不在於今日乎。若夫因仍苟且。度了時月。則衰者益衰。亂者益亂。以至倫常斁絶。廉恥都喪。其不阽於危亡者幾希。此固當改而革之。變而通之。變之善者必至於治。變之不善者。反有害而已。故朱子曰。若不及時行之。雖管葛不能爲。又曰變而失其正。則反不若守故本。舊法之爲穩。人主於此。可不審所以變通之道乎。且執事之問曰。不必遠引旁證。只就時事言之。財用昔豊而今嗇。兵備昔强而今弱。人材昔多而今少。愚謹稽前訓。民惟邦本。食爲民天。兵可一日不用。不可一日無備。賢者國家之器用。然則此固有國者之急務。執事今日之問。抑非救時之急務乎。夫財者。生之有限用。之有節。若無節而用之。雖銅山銀海。將不幾年。而見渴矣。況民力之所以出。皆是膏血。則半絲半粒。豈可無節而用之乎。而今之人。不念民力之艱難。擧皆奢泰。務相誇效。賈生所謂倡優下賤。皆被后餙者。殆近之矣。抑不有上有好下必甚焉之端乎。曾子曰。生財有大道。生之者衆。食之者寡。爲之者疾。用之者舒。則財恒足矣。夫如是則國家之富。可指日而待也。民力之舒。可岐足而望也。然世豈有不讀曾傳者。此爲空文久矣。是曷故焉。讀之者。但習於口。而無誠心故耳。且夫地勢之徧狹有異。貢助徹之典籍莫考。故我國田制。雖倣貢助徹之遺意。而行之已久。田籍或漏。陳荒不闢。則隨時改量。以袪其弊。挽近弊害滋甚。田多荒稅益添。民不聊生。則田制不可不改量。苟能量田制。而得其正。尙勤儉而禁奢華。則家國之財。不患不足矣。愚聞兵以衛農。農以養兵。故古者。藏兵於農。俉散田畝。籍藏軍簿。養兵之道。厚綠而資其家。恩信以結其心。鍊習武備。緩急有需。則是可謂足食足兵之方也。我國旣不藏兵於農。列祖五衛三營之設。束伍宿衛之置。雖倣彍騎長征之法。而昇平日久。民不知兵。故敎術解弛。軍籍漏逸。若有緩急。所謂驅市人而戰者也。然則軍籍不可不査。武藝不可不講。而講武之方。惟在乎爲將者得其人。故人之言。曰將不擇人。是以其卒與敵。蓋武藝雖講。將不得人。則士卒驕泰。將得其人。則士卒精强。此必然之勢也。同是士卒。何以異乎。只在於敎之御之之道矣。至於人材。蓋不借於異代。生一代人。以了一代事。昔之多。非其多也。以其作成之多也。今之少。非其少也。以其無敎而少也。何哉。古者田制旣正。而申之以庠序孝悌之敎。三年而賓興。故思皇多士。生此王國。王國以寧。盛周作成之化也。庠序之敎。雖廢而鄕貢孝廉。朝擧賢良。漢家選擧之法也。降自隋唐。以詩賦取士。至於我朝。亦以科文取人。雖有高才善行者。亦爲習俗所汚。專尙無益之詞章。人材之不興。良有以也。至或不溺於詞章之習。講明性理之學。懷抱經濟之士。非不多焉。而進必以禮。退亦以義。此豈一鄕擧一旌招之所可盡用之耶。惟願倣古賓興鄕貢之例。以廣求賢之路。則何患乎人材之不多哉。今者別試誠。曠世之盛典。而愚生遐方之人。得從諸君子之後。執事者賜之坐。又使之盡言。然蒭蕘之說。不識時宜。妄以仰對。而亦有所不得盡者。大言之則激。小言之則泛。雖欲盡披肝膈。亦末由也。故欲言而止者。非一二也。倘賜從容之暇。則豈復隱乎。雖然惟其變通之道。必以時中爲要。則如曰隨時也。如曰對時也。裁而正之。推以行之。必以誠字爲本。莫若自上無患窮之不變。而惟誠之未盡。罔憂變之不通。而惟恐誠之未純。執事者。承布德意。廣求一代之賢俊。責以一代之制作。則其窮則變。變則通而道。必得其宜。而節用愛人養兵養士之方。卽無往而不逢其源矣。先賢嘗言。純心要焉。用賢急焉。倘執事先生。取以入告上猷則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밤을 읊다 詠栗 빽빽한 밤 가시 세 봉우리를 감싸니자모성(子母城)280) 안에 그 봉분을 파묻었네끊임없이 생성하는281) 무한한 뜻 머금고서눈바람 참고 견디며 한겨울을 지낸다네 森森戈戟擁三峯子母城中窆厥封含得生生無限意忍穿風雪過隆冬 자모성(子母城) 내성(內城)과 외성(外城)이 있는 이중성(二重城)을 말한다. 밤을 감싸고 있는 껍질을 성에 비유한 것이다. 끊임없이 생성하는 원문은 '생생(生生)'이다. '생생'은 만물이 끊임없이 생겨나는 모양으로, 《주역》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끊임없이 낳는 것을 '역'이라 이른다.[生生之謂易]"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한가로운 뜻 閒意 작은 창 남쪽으로 열자 해가 참으로 밝으니한가로이 책장에 기대자 온갖 감정 고요해지네눈과 귀로 아무 것도 보고 듣지 않으니때때로 산새만 처마를 향해 우네두 번째세상 사람 사이에서 한 구역 차지하며 밭 갈고 샘 파니322)담소와 근심 기쁨 자유로이 오고 가네누가 알겠는가 이 속에 참된 뜻이 있어때때로 말없이 푸른 산을 대하는 줄을 小窓南闢日正明閒倚書籠百感平耳目見聞無一物有時山鳥向簷鳴其二一區耕鑿世人間語笑憂歡任往還誰識此中眞意在有時無語對靑山 밭……파니 태평 시절을 만나 한가로이 살아감을 말한 것이다. 요 임금 때 어느 노인이 지었다는 〈격양가(擊壤歌)〉에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쉬며 샘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 밥 먹으니, 임금의 힘이 내게 무슨 상관이랴.[日出而作 日入而息 鑿井而飮 耕田而食 帝力於我何有哉]"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종형【한장(漢章)】에게 부쳐 은빛 붕어를 보내주지 않음을 조롱하다 寄宗兄【漢章】嘲不送銀鯽 묻노니 요즈음 집안 여러 사람들의 안부 어떠한가한번 이별한 뒤로 편지 한 장도 없었네예전부터 고향 강에서 나눈 정 몹시 두터웠으니작은 두 마리 물고기로 소식 전해주는 일323) 아끼지 마시기를 此時僉履問何如一別由來斷絶書從昔故江情大厚不慳傳信小雙魚 작은……일 원문의 '쌍어(雙魚)'는 두 마리 물고기라는 말로, 서신(書信)을 의미한다. 진(晉)나라 육기(陸機)의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에, "멀리서 온 손님 잉어 두 마리 전해 주네. 아이 불러 요리하게 했더니, 그 가운데 한 자 비단 글 있네.[客從遠方來 遺我雙鯉魚 呼兒烹鯉魚 中有尺素書]"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나자정(羅子整)96)의 만휴당(晩休堂) 시에 차운하다 次羅子整晩休堂韻 옥처럼 솟은 푸른 산 금강(錦江)의 남쪽사람에 바람과 달을 겸하여 세 가지를 훌륭하게 이루었네세상인심 다 이야기하려니 말이 모두 고통스럽고한가한 흥 맛보니 맛이 다시 달콤하네몇 이랑의 좋은 밭 이미 충분함을 알겠고술잔의 진한 술에 약간의 취기를 느끼네강 건너에 때때로 어옹(漁翁)이 찾아오니마주해 농사 이야기 나누면서 옛 이야기도 섞어 하네원운(原韻)을 붙임몽호(夢湖)의 북쪽과 곡강(曲江)의 남쪽언덕 너머 쓸쓸하여 집 두세 채 뿐이네당에서 만년에 휴식하며 이 몸 장차 늙어갈 것이요마을은 작은 골짜기라 물맛 오히려 달콤하네기러기 산 너머로 날아가니 가을 소리 벌써 이르렀고물고기 갈대 옆에서 노니니 낚시하는 흥 무르익네지난 일 이제 와서 어찌 차마 말하리오새로 지은 시나 그런대로 벗과 함께 이야기하네 玉立靑山錦水南人兼風月好成三世情說盡言全苦閒興嘗來味更甘數畒良田知已飽▦盃醇酒覺微酣隔江時有漁翁至對打農談雜古談附原韻夢湖之北曲江南隔岸蕭然家兩三堂以晩休身且老村爲尺谷水猶甘鴈拕山外秋聲早魚戱蘆邊釣興酣往事如今那忍說新詩聊與故人談 나자정(羅子整) 나반(羅襻)을 가리킨다. 자정(子整)은 그의 자. 과천 현감(果川縣監), 정읍 현감(井邑縣監), 마전 군수(麻田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映碧亭 聯珠山水畵難形。盡在烟花百里寧瑞石風光要再見。歸程更上碧江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兒冠禮 兒子勝冠十五年。筮賓筮日喜無邊。於渠始識成人道。曷計外廷一笑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日新及詠亭諸友。遊南山。 雨後江南物態生。林林景致不能名。悠然胷次風乎日。會得曾翁千載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 夏秋以來。未修一書。悵鬱何言。刊役近復設施否。目今世風日渝。無可把玩。而能擔負得。斯文大事。以圖傳遠計。此不能無慰慰者耳。弟夏秋以來。健日恒少。此生良苦。前月初間。大振逝去。殊可痛惜。奉老流離。家破身亡。此何景色。切切思之。只自哽塞。而身故如右。尙未能奔哭矣。鄙族仁煥。前月望間。又逝去。痛傷何已。其老成操履。衰世罕見。於尊兄。雖無雅分。而何異相熟。襄日在邇。或述數行侑文。以垂慰問之意否。敢此忘僭仰懇。未知尊意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益見【仁煥】 月前躬造仙庄。登木美亭。見其展拓意象。遠大䂓模。則可知主人翁。自植立如此。尤可歎羡。自顧賤宗。雖極愚陋。思欲涵暢餘波。以爲畢生相從之許者。謂何如哉。竊想晩景滋味。在於訓子課孫。而木美亭中。又有幾箇美質。可以磨礱成就者耶。一區木美。不惟爲吾門之望。而安知他日又不爲魯之靈光耶。所禀詠歸會事。分付子姪。聽其意而指導之爲好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族姪益見 今春講會。大擬枉屈。使此間諸生。洽受薰沐之化矣。令姪來袖。致一幅翰命。知以有事停止恨恨。承審養德崇康。是爲慰豁。國禎。頑喘苟存。而闋期不遠。隕廓之痛。益復罔涯。白雅與令姪。百里應講。少年志尙。豈不嘉哉。以其稳藉端慤。若能牢立脚跟。則所以長進。何可量耶。益加提撕警策。如何。敎中類編。適此無有。而未能求送耳。澹軒追入。從後相議如何。松沙適因凰山石役。未能枉參。甚孤所望也。三亭石級役。旣已差退。則期於秋享前竪立。切望切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文啓元 月前。得拜惠書。摩挲披玩。感仰尤切。但違便稽謝。是爲可愧。謹詢臘沍。體候珍重。弟頑縷僅支。而歲幕百感。何可盡喩。羲經之課。賴諸益勸勉。或時對丌而一月之中。妥帖者。一日也。擾攘者。二十九日也。此生此身。恐未得出脫於塵海窠臼。奈何。敎中以物處物。勿與俱往之語。常常思惟。不欲遽忘。而尋常時日之間。只見一心走了。百妄紛作。日入黑窣窣地。全未知白淡淡之爲何意也。或可恕諒。更有一副敎術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其瞻汝【赫謨】 前書未復。又得枉顧。使僻陋之地。累次燭跋。此何等榮光耶。其時返駕。想應觸暮見窘。追慮未釋。竊念吾兄。脫出於時俗奔競叢中。而味衆人之所不味。區區愛仰之心。實不尋常。德哉。每誦吾兄之言曰。居於僻隅。恨無朋友相聚之樂。驟聽則似然。而深思則有不然者。職事餘暇。掃室靜坐。兀然對案。則明師賢友。立立於黃卷中。如聽提耳之誨。更何離索云爾耶。敢以不逮之言。如是倒瀉。或可休咎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보(朝報)를 보고 감회가 일어 見朝報有感 성주(聖主)께서 부지런히 힘쓰시어 태평성대 이루시니요(堯)임금 뜰에서 차례로 영웅호걸을 천거하네일찍이 듣건대 북해(北海)에서 낚싯대 도로 거둔다 하였는데지금 보니 남양(南陽)에서 또 농사일을 그만두었네97)마을의 노랫소리 늙은이나 어린이나 함께 부르고산림에서 살아가는 생활 공명(功名)의 길과는 다르네시골 사람들이 바라는 일 더 남은 것이 없으니강한(江漢)의 풍파에 영원토록 놀라지 않는 것이네 聖主孜孜致太平堯庭次第進豪英曾聞北海還收釣今見南陽又輟耕里巷歌謠同老少山林經濟異功名野夫所望無餘事江漢風波永不驚 일찍이……그만두었네 강태공(姜太公)은 위수(渭水)에서 낚시를 하다가 주나라 문왕(文王)의 초빙을 받아 낚싯대를 거두고 벼슬길에 나갔으며, 남양에 은거하던 제갈량(諸葛亮)은 유비(劉備)의 초빙을 받아 출사하였다. 태평성대인 까닭에 재야의 인재가 모두 조정에 등용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漢館與植齋對話【奇宰】 蓬門投筆走名都。大陸長風與子圖。竝世相從齊李杜。臨文馳逐駕黃蘇海。內親朋隨處在人。間知己豈專無。前頭闊步須勞力。肯作江南一野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松沙陪月皐。南洲昆季。與山陽昇平諸益遊松廣寺留別【壬辰】 山海東來及早秋。送君今日下頭流。何幸名區三日雨。摠關別意一江頭。峰色蒼蒼松下塔。溪聲枕邊樓。丁寧留約花開路。明月雙溪續此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甯齋宥還同出貝州路中口號 行旆堂堂好伴春。春風料理意初新。卽今惜別知多士。從此無憂望美人。日下天長高擧翮。江深烟際擉遊鱗。不須更說間關路。袞職明時一視均。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